고전 시가

연구분야 :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23

STNet ID : 1000099

한자 : 古典詩歌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고전시 [ 古典詩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고전 문학 () [ 古典文學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한국문학 () [ 韓國文學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시가 () [ 詩歌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향가 () [ 鄕歌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고려가요 () [ 高麗歌謠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고대 가요 [ 古代歌謠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연시조 [ 連時調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별곡 (고전시가) [ 別曲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고전 () [ 古典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전고 [ 典故 ]

한국고전시가의 영어 번역의 양상과 문제점 - 황진이 시조 작품을 중심으로

Aspects and Problems of Translating Korean Old Songs into English - Focusing on Jini Hwang's Sijo Works

어문학 | 114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전시가와 대중문화의 공감과 소통

The Communication and the Sympathy of the Classical Poetry in the Mass media

우리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학 수용과 생산의 매개 : 고전시가를 대상으로 한 쓰기의 교육적 탐색

The Medium of the Reception and the Production of Literature : Educational Explorations of Writing Targeting Classic Poetry

새국어교육 | 92 | 2012 | 국어교육

고전시가 분야에 대한 회고와 전망 —향가, 고려가요, 시조, 가사를 중심으로

Retrospect and Prospect of the Classical Verse Branch —focused on Hyangga, Koryeo-gayo, Sijo and Gasa

반교어문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불륜담’의 시대적 변전 양상 고찰 - 조선 후기 문학과 현대문학의 비교

On Study about Periodical Changing Aspect of ‘A Story of Infidelity’

비교문학 | 52 | 2010 | 인문학

‘불륜담’의 시대적 변전 양상 고찰 - 조선 후기 문학과 현대문학의 비교

On Study about Periodical Changing Aspect of ‘A Story of Infidelity’

비교문학 | | 52 | 2010 | 인문학

고전시가 쓰기 교육 연구 (2) - 소악부 소재 한역(漢譯) 고전시가의 재구(再構)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Writing a Classical Poem (2)

국어교육 | 132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시가 쓰기 교육 연구 (2) - 소악부 소재 한역(漢譯) 고전시가의 재구(再構)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Writing a Classical Poem (2)

국어교육 | | 132 | 2010 | 한국어와문학

≪三國遺事≫에 나타난 고전시가 수용 방식과 현대적 의의

Reception Attitude for Korean Classical Poetry and Songs in ≪Sam-guk-yu-sa(三國遺事)≫ and Modern Meanings

국어교육 | 138 | 2012 | 한국어와문학

인문교양으로서의 고전시가 강좌의 한 예 - ‘이중자아’와 ‘금지된 사랑, 불륜’ 모티프를 대상으로 -

Example of the Classical Poetry Curriculum as Liberal arts

韓國古典硏究 | 22 | 2010 | 고전산문

인문교양으로서의 고전시가 강좌의 한 예 - ‘이중자아’와 ‘금지된 사랑, 불륜’ 모티프를 대상으로 -

Example of the Classical Poetry Curriculum as Liberal arts

韓國古典硏究 | | 22 | 2010 | 고전산문

高等 『文學』 敎科書 所載 古典詩歌를 통한 文學敎育 方法의 摸索 - 스토리텔링의 방법에 기대 -

Education Plans of the Classic Poems inside the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Using the Method of Storytelling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어국문학』에 반영된 고전문학 연구의 흐름

Tendency of Research on Classical Literature Reflected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국어국문학 | 160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전시가와 민족정서 교육-1920년대 시조 및 민요 재발견의 공과(功過)를 바탕으로-

Korean Classical Songs and National Emotion Education -Based on the Merits and Demerits of Rediscovery of Sijo and Minyo in 1920's-

고전문학과 교육 | 22 | 2011 | 인문학

고전시가 율격의 교육 내용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Contents of Meter in Korean Classical Poetry

국어교육연구 | 29 | 2012 | 국어교육

고전시가 쓰기 교육 연구 (2) - 소악부 소재 한역(漢譯) 고전시가의 재구(再構)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Writing a Classical Poem (2)

국어교육 | 132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시가 쓰기 교육 연구 (2) - 소악부 소재 한역(漢譯) 고전시가의 재구(再構)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Writing a Classical Poem (2)

국어교육 | | 132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시가 작품에 사용된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

The Function of Pre-final Ending '-o/u-' in Korean Classical Poetry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시가 작품에 사용된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

The Function of Pre-final Ending '-o/u-' in Korean Classical Poetry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시가 교육에서 학습자의 정서와 비평-정서 비평을 제안하며-

The Criticism on Learner's Emotions in Classical Poetry Education

고전문학과 교육 | 24 | 2012 | 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