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

연구분야 : A110108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국어사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484

STNet ID : 1001018

한자 : 鄕歌
음차어 : Hyangga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사뇌가 () [ 詞腦歌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고전 시가 [ 古典詩歌 ]

isKindOf (상위 유형)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신라악 [ 新羅樂 ]

N1:종류

hasKind (종류)

 

 

십구체 () [ 十句體 ]

hasKind (종류)

 

 

팔구체 () [ 八句體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양주동 [ 梁柱東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균여전 [ 均如傳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만엽집 () [ 萬葉集 ]

RT (관련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d04-01 기법/방식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이두 () [ 吏讀 ]

RT (관련어)

 

 

삼대목 () [ 三代目 ]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e02-02 패턴 패턴
e02-02 패턴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향찰 [ 鄕札 ]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월명사 [ 月明師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원가 () [ 怨歌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모죽지랑가 [ 慕竹旨郎歌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보현십원가 () [ 普賢十願歌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처용가 [ 處容歌 ]

hasInstance (사례)

 

Y02 창작물명 창작물명

제망매가 [ 祭亡妹歌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도솔가 [ 兜率歌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도이장가 [ 悼二將歌 ]

고전시가 작품에 사용된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

The Function of Pre-final Ending '-o/u-' in Korean Classical Poetry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시가 작품에 사용된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

The Function of Pre-final Ending '-o/u-' in Korean Classical Poetry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高麗 佛敎詩에서의 소통․수용 문제와 宗敎詩史의 단서

The Matters in Communication and Accommodation of Buddhist Poems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Clue of the History of Religious poems

한국시가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高麗史』 「樂志」에 나타난 三國~高麗歌謠의 相

Image of Samgukgayo and Goryeogayo in 『Goryeosa』 「Akji(樂志)」

고전과 해석 | 10 | 2011 | 국문학사

길과 향가에 대한 고고민속학시론

Study on the Road and HyangGa-Archeological Folklore about play and travel-

비교민속학 | 43 | 2010 | 역사학

길과 향가에 대한 고고민속학시론

Study on the Road and HyangGa-Archeological Folklore about play and travel-

비교민속학 | | 43 | 2010 | 역사학

한국 현대 시조의 위상과 ‘2차 시조부흥운동’

The status of Korean modern Sijo(時調) and ‘the 2nd Sijoh renaissance campaign’

비평문학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전시가 분야에 대한 회고와 전망 —향가, 고려가요, 시조, 가사를 중심으로

Retrospect and Prospect of the Classical Verse Branch —focused on Hyangga, Koryeo-gayo, Sijo and Gasa

반교어문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삼국유사 효소왕대 죽지랑조의 서사적 의미소통과 <모죽지랑가>

The Communication of Narrative Meaning of Hyosowangdae-Jukjirangjo and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국유사 효소왕대 죽지랑조의 서사적 의미소통과 <모죽지랑가>

The Communication of Narrative Meaning of Hyosowangdae-Jukjirangjo and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안민가>의 창작 동기와 의미 해석

On Two Questions Related to Chungdamsa(忠談師)'s Anmin-ga(安民歌)

한국문학논총 | 57 | 2011 | 한국어와문학

향가 형성의 음악적 기반

A Study of The Musical Basis on Which Hyang-ga Was Formed

한어문교육 | 23 | 2010 | 국어교육

향가 형성의 음악적 기반

A Study of The Musical Basis on Which Hyang-ga Was Formed

한어문교육 | 23 | | 2010 | 국어교육

고대국어 주격조사 형태와 그 음운론적 해석 - 향가를 토대로 중세국어와 연계하여 -

The Nominative case-form in Ancient Korean and its phonological interpretation - In connection with Middle Korean based on Hyang-Ga -

온지논총 | 27 | 2011 | 기타인문학

박희진 ‘신향가집’의 창작 방법과 작품 유형

The creative methods and work patterns of Park Hui-jin's New Hyangga Collection

우리어문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박희진 ‘신향가집’의 창작 방법과 작품 유형

The creative methods and work patterns of Park Hui-jin's New Hyangga Collection

우리어문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향가 현대시화의 맥락과 방법

The motif and method to create modern poems based on Hyangga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향가 현대시화의 맥락과 방법

The motif and method to create modern poems based on Hyangga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信忠掛冠’조에 내재된 진의와 <怨歌>의 시적 기능

The intrinsic true meaning of ‘Sinchung gwaegwan’ and the poetic function of

우리어문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信忠掛冠’조에 내재된 진의와 <怨歌>의 시적 기능

The intrinsic true meaning of ‘Sinchung gwaegwan’ and the poetic function of

우리어문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향아 연작시 「신곡조향가」의 원전 변형 방식

On the Transformations of Hyangga in Hyangga of New Tunes Series Poem by Lee Hyang-a

우리어문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均如 鄕歌 請轉法輪歌의 내용 이해와 語學的 解讀

对均如的乡歌请转法轮歌内容的理解与从语学的角度而解读

구결연구 | 28 | 2012 | 한국어와문학

향가 「원왕생가」, 「찬기파랑가」와 만해(萬海) 한용운의 시(詩)에 나타난 ‘달’의 의미

The Meaning of 'Moon' in Hyangga 「Wonwangsaenga」, 「Changiparanga」 and in Poems of Manhae Han Yong-un

인문학연구 | 21 | 2012 | 기타인문학

<普賢十願歌>의 漢譯 양상 연구 -향가와 한역시의 구조 비교를 중심으로-

Chinese Translated Poetry of -focus on the comparison of structure-

어문학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普賢十願歌>의 漢譯 양상 연구 -향가와 한역시의 구조 비교를 중심으로-

Chinese Translated Poetry of -focus on the comparison of structure-

어문학 |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p/, /m/ 교체의 허실과 향가 執音乎에 대하여

The truth of interchange /p/, /m/ and On Hyangga ‘執音乎'

우리말글 | 52 | 2011 | 한국어와문학

향가 <제망매가>의 실체와 현대변용의 면모

The truth of in Hyang ga and the aspect of modern transformation

동방학 | 22 | 2012 | 기타인문학

서정주 향가 취재 시편의 동기와 작법

Motivations and Methods of Creating Lyrical Parody Poems of Hyangga Composed by Seo Jeong-ju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서정주 향가 취재 시편의 동기와 작법

Motivations and Methods of Creating Lyrical Parody Poems of Hyangga Composed by Seo Jeong-ju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

부사격조사 ‘-矣/-衣’, ‘-希’, ‘-未’의 비교 고찰 -≪三國遺事≫ 所在 鄕歌를 中心으로-

A Study for comparing ‘-矣/-衣’, ‘-希’, ‘-未’ with the transcriptions of that in Hyang-ga.

한말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부사격조사 ‘-矣/-衣’, ‘-希’, ‘-未’의 비교 고찰 -≪三國遺事≫ 所在 鄕歌를 中心으로-

A Study for comparing ‘-矣/-衣’, ‘-希’, ‘-未’ with the transcriptions of that in Hyang-ga.

한말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향가의 연결어미 -아 표기에 대하여

郷歌現連結語尾 「-아」表記様相

구결연구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향가의 연결어미 -아 표기에 대하여

郷歌現連結語尾 「-아」表記様相

구결연구 |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鄕歌 記述 양상에 관한 비교 연구 - 萬葉和歌와 비교를 통해 -

Comparative research on the aspect of description of Hyangga. -related with Manyowaka-

한민족문화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鄕歌 記述 양상에 관한 비교 연구 - 萬葉和歌와 비교를 통해 -

Comparative research on the aspect of description of Hyangga. -related with Manyowaka-

한민족문화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향가의 제재로서 화랑 형상의 문학사적 의미

Literary Historical Meanings of the Figures of Hwarang as the topics of Hyangga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향가의 제재로서 화랑 형상의 문학사적 의미

Literary Historical Meanings of the Figures of Hwarang as the topics of Hyangga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鄕歌 音步律考—普賢十願歌를 中心으로—

Reconsideration of the Metrics of the Hyangga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고전과 해석 | 10 | 2011 | 국문학사

향가 문법 형태의 표기에 반영된 고형(古形)과 개신형(改新形)

The old and renovated grammatical morphemes that is scribed on the Shilla Hangga

동악어문학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향가 문법 형태의 표기에 반영된 고형(古形)과 개신형(改新形)

The old and renovated grammatical morphemes that is scribed on the Shilla Hangga

동악어문학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鄕歌의 분절과 음보율의 양상을 통해 본 율격의 관습

The rules of versification on Hyangga in its segment and foot

Journal of korean Culture | 17 | 2011 | 현대시(국문학)

<普賢十願歌>와 禪詩를 통해 본 종교시의 서정성 문제

Matters of Lyric of the Religious Poetry through Bohyunsiwonga and Seonsi

고전문학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普賢十願歌>와 禪詩를 통해 본 종교시의 서정성 문제

Matters of Lyric of the Religious Poetry through Bohyunsiwonga and Seonsi

고전문학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연의 소원성취적 향가 논평

Wish Fulfillment Comments on Hyangga by Ilyeon

한국언어문학 | 78 | 2011 | 한국어와문학

향가의 서정주체와 불국사·석굴암의 조성 방식

Lyricism subject of Hyang-ga and development of Bulguksa and Seokguram

우리말글 | 53 | 2011 | 한국어와문학

향가와 속요의 추상적 심상과 그 시적 성취에 관한 재론

Review about the Abstract Image of Hyang‐ga and Sok-yo and Poetical Achievement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대 동아시아 문학 속의 향가 -향가와 『萬葉集』의 표기법과 歌論 비교를 중심으로-

Hyang-ga in the Context of Ancient East Asian Literature focused on Descriptive Method and Theory of Poem of Hyang-ga and Manyoshu

한국시가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借字表記 ‘內’와 鄕歌의 解釋

A Study of Hyang-ga(鄕歌) on the Decipherment of ‘內’ in Hyangchal(鄕札) Script

진단학보 | 110 | 2010 | 역사학

借字表記 ‘內’와 鄕歌의 解釋

A Study of Hyang-ga(鄕歌) on the Decipherment of ‘內’ in Hyangchal(鄕札) Script

진단학보 | | 110 | 2010 | 역사학

<서동요>에 나타난 민요적 성격

The Characteristic of folk song in

고전문학과 교육 | 22 | 2011 | 인문학

향가에 나타난 밤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Night Expressed in Hyangga

한국사상과 문화 | 62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