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죽지랑가

연구분야 :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4344

STNet ID : 1003164

한자 : 慕竹旨郎歌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IngredientOf (인공물 전체)

 

y02-01 문헌명 문헌명
y02-01 문헌명 /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삼국유사 () [ 三國遺事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향가 () [ 鄕歌 ]

R1:개념적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효소왕 (692-702) [ 孝昭王 ]

RT (관련어)

 

 

죽지랑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찬기파랑가 () [ 讚耆婆郞歌 ]

향가의 제재로서 화랑 형상의 문학사적 의미

Literary Historical Meanings of the Figures of Hwarang as the topics of Hyangga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향가의 제재로서 화랑 형상의 문학사적 의미

Literary Historical Meanings of the Figures of Hwarang as the topics of Hyangga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향가의 제재로서 화랑 형상의 문학사적 의미

Literary Historical Meanings of the Figures of Hwarang as the topics of Hyangga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향가의 제재로서 화랑 형상의 문학사적 의미

Literary Historical Meanings of the Figures of Hwarang as the topics of Hyangga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국유사 효소왕대 죽지랑조의 서사적 의미소통과 <모죽지랑가>

The Communication of Narrative Meaning of Hyosowangdae-Jukjirangjo and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국유사 효소왕대 죽지랑조의 서사적 의미소통과 <모죽지랑가>

The Communication of Narrative Meaning of Hyosowangdae-Jukjirangjo and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국유사 효소왕대 죽지랑조의 서사적 의미소통과 <모죽지랑가>

The Communication of Narrative Meaning of Hyosowangdae-Jukjirangjo and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국유사 효소왕대 죽지랑조의 서사적 의미소통과 <모죽지랑가>

The Communication of Narrative Meaning of Hyosowangdae-Jukjirangjo and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국유사 효소왕대 죽지랑조의 서사적 의미소통과 <모죽지랑가>

The Communication of Narrative Meaning of Hyosowangdae-Jukjirangjo and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국유사 효소왕대 죽지랑조의 서사적 의미소통과 <모죽지랑가>

The Communication of Narrative Meaning of Hyosowangdae-Jukjirangjo and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