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

연구분야 : A020202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고려시대사

클래스 : 문헌명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2852

STNet ID : 1001840

한자 : 三國遺事
기타 : Samkukyusa
기타 : Samgukyusa

y02-01 문헌명

저작자

일연 (一然)

저작년_t

1281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시도지정유형문화재 (市道指定有形文化財)

유형/장르

책(冊) (冊)

소재지

범어사 (梵魚寺)

지정호수_t

부산유형문화재 31호

지정일자_t

1999. 11. 19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우적가 [ 遇賊歌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원왕생가 [ 願往生歌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가락국기 [ 駕洛國記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박혁거세 신화 () [ 朴赫居世神話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원가 () [ 怨歌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김현감호 [ 金現感虎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단군신화 () [ 檀君神話 ]

hasIngredient (성분/재료)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모죽지랑가 [ 慕竹旨郎歌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x01-02 국가명 국가명

아라가야 () [ 阿羅伽倻 ]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박제상 [ 朴提上 ]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y01-02 가상인물 가상인물

지귀 [ 志鬼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도솔가 [ 兜率歌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서동요 [ 薯童謠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충렬왕 (1274~1308) [ 忠烈王 ]

RT (관련어)

 

 

삼국사 (한국) [ 三國史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안민가 [ 安民歌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효행 설화 () [ 孝行說話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균여전 [ 均如傳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해동고승전 [ 海東高僧傳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첨성대 [ 瞻星臺 ]

RT (관련어)

 

y02-06 문서(보고서)명 문서(보고서)명

삼국사기 () [ 三國史記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선화공주 () [ 善花公主 ]

RT (관련어)

 

e02-02 패턴 패턴
e02-02 패턴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향찰 [ 鄕札 ]

RT (관련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금당 [ 金堂 ]

RT (관련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a04-03 교재·자료 /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고대 한일관계사 () [ 古代韓日關係史 ]

RT (관련어)

관련 문헌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화랑도 () [ 花郞徒 ]

RT (관련어)

관련 문헌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난생 신화 () [ 卵生神話 ]

RT_Y (◄관련어)

관련 문헌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풍요 (향가) [ 風謠 ]

瞻星臺의 數理的 哲學

Philosophy of the draft of Chumsungdae

경주사학 | 31 | 2010 | 기타인문학

瞻星臺의 數理的 哲學

Philosophy of the draft of Chumsungdae

경주사학 | | 31 | 2010 | 기타인문학

글쓰기 전략으로서의 詩歌運用 양상 —傳文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 of Verses As a Writing Strategy: Centered on Biographical Texts

한국시가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朴·昔·金 시조신화의 대비를 통화 본 新羅 始祖 관념의 형성 단서

신라문화 | 40 | 40 | 2012 | 역사학

『오대산사적기五臺山事跡記』「제1조사전기第1祖師傳記」의 수정인식 고찰 ― 민지閔漬의 오대산불교 인식

A Consideration on Corrective Recognition of Jeil Josa Jeongi inOdaesan Yujeoggi ― Minji's Recognition on Odaesan Buddhism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불교전래 과정의 서사문학적 수용과 그 의미 -≪삼국유사≫ 설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iterary sense and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 Focused on the tale of Samkookyoosa -

한국언어문학 | 79 | 2011 | 한국어와문학

地藏思想과 삼계교 - 지장계 경전을 中心으로 -

A Study on Ideas of Kstigarbha and "Kstigarbha's Sambookyung" or " Kstigarbha's Three Way Buddhist Guidelines"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5 | 2011 | 정토학

환단고기에 나타난 곰과 범의 철학적 의미-그 연구방법론을 겸해서-

在桓檀古记看到的熊ㆍ虎之哲学的意味

仙道文化 | 9 | 2010 | 기타철학일반

환단고기에 나타난 곰과 범의 철학적 의미-그 연구방법론을 겸해서-

在桓檀古记看到的熊ㆍ虎之哲学的意味

仙道文化 | 9 | | 2010 | 기타철학일반

이차돈 순교유적과 유물에 대한 고찰

Study of the Martyrs Ichadon remains and monument

불교미술사학 | 11 | 2011 | 미술사

한국 문화로서의 불교 ― 20세기 초 한국에서의 불교의 정체성 ―

Buddhism as the Cultural Tradition of Korea: The Identity of Buddh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Korea

종교연구 | 60 | 2010 | 종교학

서구학계와 한국학계의 한국 고대사연구 ―영어권 학자의 한국 삼국시대사 사료의 해석을 중심으로 ―

Studies on Ancient Korean History in the West: Focussing on the Interpretation of material of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English Language Scholarship

아시아문화연구 | 22 | 2011 | 기타인문학

한중간(韓中間) 불경(佛經)설화의 수용방식과 변이양상-관불삼매경(觀佛三昧經)의 불영담(佛影談)을 중심으로-

국제어문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중간(韓中間) 불경(佛經)설화의 수용방식과 변이양상-관불삼매경(觀佛三昧經)의 불영담(佛影談)을 중심으로-

국제어문 |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

경주 지역 설화의 양상과 특성 − 특히 『한국구비문학대계』와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ales in Gyeongju(경주) - focusing on and

동방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경주 지역 설화의 양상과 특성 − 특히 『한국구비문학대계』와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ales in Gyeongju(경주) - focusing on and

동방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羅唐戰爭期 文豆婁 秘法과 海戰

The Mundra Secret Magic and naval battle During Na-Dang War

신라문화 | 37 | 2011 | 역사학

徐廷柱 詩에 나타난 불교적 세계관

Buddhistic view of the world shown in the poetry of Seo, Jeong-ju

한국사상과 문화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徐廷柱 詩에 나타난 불교적 세계관

Buddhistic view of the world shown in the poetry of Seo, Jeong-ju

한국사상과 문화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皇龍寺址 木塔의 比例

Ratios of the imperial dragon temple's wooden pagoda

경주사학 | 32 | 2010 | 기타인문학

皇龍寺址 木塔의 比例

Ratios of the imperial dragon temple's wooden pagoda

경주사학 | | 32 | 2010 | 기타인문학

신화적 상상력을 활용한 경계를 넘는 독서토론과 융합적 글쓰기 연구 - <삼국유사: 기이편>에 기술된 다문화 상상력을 중심으로 -

A Study about an Integrated Writing and Reading Debate beyond Major Boundaries using a Mythical Imagination -Focusing on a multicultural imagination described in Samgukyusa: Strange Stories-

시학과 언어학 | 21 | 2011 | 기타인문학

최치원의 역사인식 연구

A Study on Choi Chi-Won's Historical Cognition

민족문화 | 34 | 34 | 2010 | 기타인문학

최치원의 역사인식 연구

A Study on Choi Chi-Won's Historical Cognition

민족문화 | 34 | 34 | 2010 | 기타인문학

‘단군신화’의 한국어 교재 수용 양상 고찰 및 수록 기준 모색 : 원전 수용방식을 중심으로

A Review of a Aspect of ‘Dan Goon myth’ in Korean Language Text Book and a Search of a Standard for ‘Dan Goon myth’ in Korean Textbook

한국학 | 33 | 4 | 2010 | 기타인문학

‘단군신화’의 한국어 교재 수용 양상 고찰 및 수록 기준 모색 : 원전 수용방식을 중심으로

A Review of a Aspect of ‘Dan Goon myth’ in Korean Language Text Book and a Search of a Standard for ‘Dan Goon myth’ in Korean Textbook

한국학 | 33 | 4 | 2010 | 기타인문학

효행 설화 연구 - 『삼국사기』, 『삼국유사』에 나타나는 효행 양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ilial Story - Focusing 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Actor and Target in the 『三國遺事』(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三國史記』(Historical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동양고전연구 | 48 | 2012 | 기타인문학

황룡사지 목탑과 장육존상의 위치관계

Position of the Imperial Dragon Temple's Pagoda and its Sixteen Feet Bronze Buddha

경주사학 | 33 | 2011 | 기타인문학

불교문화콘텐츠 개발과 스토리텔링

Development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and Storytelling

동양문화연구 | 6 | 2010 | 기타인문학

불교문화콘텐츠 개발과 스토리텔링

Development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and Storytelling

동양문화연구 | 6 | | 2010 | 기타인문학

일연의 글쓰기에서 정치적 감각 ― 삼국유사 서술방법의 연구ㆍ2

然の書き込みで政治的感覚

한국언어문화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연의 글쓰기에서 정치적 감각 ― 삼국유사 서술방법의 연구ㆍ2

然の書き込みで政治的感覚

한국언어문화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청소년의 다문화 의식 함양을 위한 『삼국유사』의 창의적 글쓰기와 독서토론 연구-중학교 교과 <서동요> 교육의 미디어 활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A Study about Creative writing and Reading Discussion of Samgukyusa to build up Juvenile Multicultural Consciousness : Focusing on the Media utilizing possibility of Sudongyo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다문화콘텐츠연구 | 11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삼국유사에 나타난 민간신앙 ― 산신신앙을 중심으로 ―

Folk Faith in Samgugyusa - in the Sansin(山神, Mountain God) Faith

한국사상과 문화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국유사에 나타난 민간신앙 ― 산신신앙을 중심으로 ―

Folk Faith in Samgugyusa - in the Sansin(山神, Mountain God) Faith

한국사상과 문화 |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三國遺事≫에 나타난 고전시가 수용 방식과 현대적 의의

Reception Attitude for Korean Classical Poetry and Songs in ≪Sam-guk-yu-sa(三國遺事)≫ and Modern Meanings

국어교육 | 138 | 2012 | 한국어와문학

일연의 소원성취적 향가 논평

Wish Fulfillment Comments on Hyangga by Ilyeon

한국언어문학 | 78 | 2011 | 한국어와문학

불교영험담의 비교연구 - 二世父母孝行談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Buddhist Youngheom-stories - Focusing on the stories of taking good care of one's two parents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

『三國遺事』에 반영된 고려 국내 유통 「慈藏傳」의 복원과 그 의미

『三國遺事』中折射出的高麗國內所流通之「慈藏傳」的內容及其意義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三國遺事』에 반영된 고려 국내 유통 「慈藏傳」의 복원과 그 의미

『三國遺事』中折射出的高麗國內所流通之「慈藏傳」的內容及其意義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

삼국유사 효소왕대 죽지랑조의 서사적 의미소통과 <모죽지랑가>

The Communication of Narrative Meaning of Hyosowangdae-Jukjirangjo and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국유사 효소왕대 죽지랑조의 서사적 의미소통과 <모죽지랑가>

The Communication of Narrative Meaning of Hyosowangdae-Jukjirangjo and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화원형의 의의와 「삼국유사」

Study on Meaning of Cultural Archetype and Samkukyusa

漢文學報 | 24 | 2011 | 한문학

『삼국유사』찬자의 상고기 정치체에 대한 계승 인식

『三國遺事』 撰者の上古期の政治體についての繼承認識

韓國史學史學報 | 23 | 2011 | 역사학

『삼국유사』 신주편 연구

A Study on Sinju-pyeon in Samgukyusa

석당논총 | 52 | 2012 | 기타인문학

崇福寺 伽藍配置의 檢討

A Study on the Structure of Sungbok-sa

경주사학 | 33 | 2011 | 기타인문학

미디어 콘텐츠로 현현되는『삼국유사』의 대화적 상상력 연구 - 『삼국유사』 담론의 현대적 해석을 중심으로 -

A study about Dialogic imagination of represented in Media Contents -Focusing on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

서강인문논총 | 30 | 2011 | 기타인문학

<단군신화(檀君神話)> 영역자(英譯者)의 시각(視角) 일고찰

A Study on the Translator’s Viewpoint of “Myth of Dangun” in English

국제어문 |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

효를 주제로 한 서사의 소통-조선전기까지의 서사를 중심으로

Circulation of the ‘Hyo(孝)’ subject narrative in the age of the Koryeo and the early Morning Calm Dynasty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효를 주제로 한 서사의 소통-조선전기까지의 서사를 중심으로

Circulation of the ‘Hyo(孝)’ subject narrative in the age of the Koryeo and the early Morning Calm Dynasty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국유사 소재 김유신 설화 고찰 ― ‘영웅-되기’의 조건과 영웅성을 중심으로 ―

국어문학 | 49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국유사 소재 김유신 설화 고찰 ― ‘영웅-되기’의 조건과 영웅성을 중심으로 ―

국어문학 | 49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소설 속 불교적 인물의 성격과 역할 - 說話와 17세기 이후 古小說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

The personality and role of Buddhist characterin the old novels -focused on contrast between folk tales and old novels after 17thcentury-

우리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신라 건국과 斯盧 6村

Foundation of Silla and Salo Six Village-groups

신라사학보 | 23 | 2011 | 역사학

『삼국유사』에 재현된 여성의 양성성에 대한 현대적 문화 담론 연구 ― <기이편>에 등장하는 여성을 중심으로 ―

A Study about the Modern Cultural Discourse of Female Androgyny in SamgukYusa ― Focusing on Females in the Strange Stories―

인간연구 | 20 | 2011 | 철학

「삼국유사」 소재 ‘郁面婢念佛西昇’에 대한 페미 니즘적 조명

A Feminist Reading of Ukmyŏn Story in the Samguk Yusa

여성문학연구 | 27 | 2012 | 한국어와문학

신라 불교사에 나타난 願力의 의미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The Significance of Vows as Seen from the History of Silla Buddhism: Centering around the Samguk yusa

한국불교학 | 63 | 2012 | 종교학

아름다움의 서사를 활용한 기이함과 신성성의 기호학적 소통 구조 연구 - 『삼국유사』속 여성의 기술을 중심으로 -

A Study about the Semiotic communicative Structure of the Strangeness and the Sacred utilizing beauty Narratives — Focusing on the female description of

기호학 연구 | 31 | 2012 | 언어학

『삼국유사』 감통편의 담화기호학적 연구

The Semotic of Discourse of Kamtonpunin Samkukyusa

구비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경험-학습’ 이론에 비추어 본 『삼국유사』 설화의 수양론적 특징 - 낙산사⋅분황사⋅금산사에 얽힌 세 설화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 of cultivating theory in fables of Sam Guk Yu Sa(三國遺事;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reflected to "Experience-Learning" theory - In the central figure of Three Fables with Naksan temple, Bunhwang temple, and Geumsan temple

한국철학논집 | 32 | 2011 | 한국철학일반

불교신격과 재래신격의 만남 -『三國遺事』를 출발점으로 삼은 試論-

Encountering between Buddhism Divinity and Traditional Divinity -Comments on Samgukyusa(三國遺事) as a Starting Point-

고전문학과 교육 | 20 | 2010 | 인문학

불교신격과 재래신격의 만남 -『三國遺事』를 출발점으로 삼은 試論-

Encountering between Buddhism Divinity and Traditional Divinity -Comments on Samgukyusa(三國遺事) as a Starting Point-

고전문학과 교육 | | 20 | 2010 | 인문학

≪三國遺事≫ 避隱篇 信忠掛冠條의 분석과 그 의미

The Sections of Shinchoonggwagwan in the piece of Pieun of Samgukyusa Analyze and its Implications

신라사학보 | 25 | 2012 | 역사학

『三國遺事』와 『潛夫論』의 고조선 인식

The Understandings of the Old Choson in the Samguk yusa and the Qianfu lun

단군학연구 | 22 | 2010 | 기타역사학

『三國遺事』와 『潛夫論』의 고조선 인식

The Understandings of the Old Choson in the Samguk yusa and the Qianfu lun

단군학연구 | 22 | | 2010 | 기타역사학

神母 認識을 통해서 본 中世 東아시아의 記錄精神

The recording mind of East Asia in the Middle Ages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sacred mother

동아시아고대학 | 21 | 2010 | 기타인문학

神母 認識을 통해서 본 中世 東아시아의 記錄精神

The recording mind of East Asia in the Middle Ages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sacred mother

동아시아고대학 | | 21 | 2010 | 기타인문학

‘信忠掛冠’조에 내재된 진의와 <怨歌>의 시적 기능

The intrinsic true meaning of ‘Sinchung gwaegwan’ and the poetic function of

우리어문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信忠掛冠’조에 내재된 진의와 <怨歌>의 시적 기능

The intrinsic true meaning of ‘Sinchung gwaegwan’ and the poetic function of

우리어문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국유사』 소재 ‘眞聖女大王居陁知’ 조 설화의 검토

A Study of the Tale of ‘Queen Jinseong and Geotaji’ in Samgugyusa(『三國遺事』)

한국민족문화 | 38 | 2010 | 기타인문학

『삼국유사』 소재 ‘眞聖女大王居陁知’ 조 설화의 검토

A Study of the Tale of ‘Queen Jinseong and Geotaji’ in Samgugyusa(『三國遺事』)

한국민족문화 | | 38 | 2010 | 기타인문학

「삼국유사」에서 정치․종교 지도자가 추구한 인간상과 교육적 함의

The Educational Meaning and an Image of Men that Political and Religious Leaders seek in SamGukYuSa(三國遺事)

동양문화연구 | 8 | 2011 | 기타인문학

『삼국유사』에 수록된 시가와 배경설화의 교육적 의미

Review for Educational Meaning in Poetry and Fables of Sam Guk Yu Sa(三國遺事;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한국교육사학 | 33 | 2 | 2011 | 교육학

『삼국유사』『興法』ㆍ『塔像」 篇의 脫神話化 전략

Strategies of Demythologization in 「Heungbeop (興法)」 and 「Tapsang (塔像)」 of Samgukyusa

어문학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국유사』『興法』ㆍ『塔像」 篇의 脫神話化 전략

Strategies of Demythologization in 「Heungbeop (興法)」 and 「Tapsang (塔像)」 of Samgukyusa

어문학 |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국유사 편찬의 유기성 문제

Samguk-yusa, Textually Integrated Or Not?

역사학연구 | 40 | 2010 | 역사학

삼국유사 편찬의 유기성 문제

Samguk-yusa, Textually Integrated Or Not?

역사학연구 | | 40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