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가야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클래스 : 국가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8660

한자 : 阿羅伽倻
기타 : Aragaya
동의어(UF) : 안라국(安羅國)
동의어(UF) : 아야가라(阿耶加羅)
동의어(UF) : 안라(安羅)
동의어(UF) : 아시라국(阿尸良國)
동의어(UF) : 아나
동의어(UF) : 아야
동의어(UF) : 아시라
동의어(UF) : 아라

x01-02 국가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육가야 () [ 六伽倻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6 문서(보고서)명 문서(보고서)명

삼국사기 () [ 三國史記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일본서기 () [ 日本書紀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y02-01 문헌명 /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삼국유사 () [ 三國遺事 ]

RT (관련어)

 

x01-02 국가명 국가명

일본 () [ 日本 ]

토기를 통해 본 대가야

A Study on Dae Gaya through Pottery

영남학 | 46 | 2010 | 유교학

토기를 통해 본 대가야

A Study on Dae Gaya through Pottery

영남학 | | 46 | 2010 | 유교학

阿羅加耶의 殉葬 -大型 殉葬墓를 中心으로-

Sacrificial burial of Ara-Gaya - Focused on large size sacrificial burial tomb -

영남고고학 | 55 | 2010 | 역사학

阿羅加耶의 殉葬 -大型 殉葬墓를 中心으로-

Sacrificial burial of Ara-Gaya - Focused on large size sacrificial burial tomb -

영남고고학 | | 55 | 2010 | 역사학

아라가야 수혈식석곽묘의 유형화를 통해 본 신분질서

The status order through the typology of Ara Gaya stone-lined pit burial tomb

문물연구 | 22 | 22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