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사기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A020202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고려시대사

클래스 : 문서(보고서)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0025

STNet ID : 1001770

한자 : 三國史記
기타 : Samguksagi

y02-06 문서(보고서)명

저작자

김부식 (金富軾)

시대1

고려 (高麗)

장르/유형

역사서 (歷史書)

저작년_t

1145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기전체 () [ 紀傳體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2-01 문헌명 문헌명

난랑비서 [ 鸞郎碑序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정사 [ 正史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박혁거세 신화 () [ 朴赫居世神話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온달전 [ 溫達傳 ]

hasComponent (구성요소)

 

 

고구려본기 () [ 高句麗本紀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신라본기 [ 新羅本紀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6 문서(보고서)명 문서(보고서)명

백제본기 (삼국사기) [ 百濟本紀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x01-02 국가명 국가명

아라가야 () [ 阿羅伽倻 ]

hasIssue (이슈/주제)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신궁 [ 神宮 ]

hasIssue (이슈/주제)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사도성 [ 沙道城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2-01 문헌명 문헌명

계림잡전 [ 鷄林雜傳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삼국사 (한국) [ 三國史 ]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박제상 [ 朴提上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고승전 [ 高僧傳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효행 설화 () [ 孝行說話 ]

RT (관련어)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미륵사 () [ 彌勒寺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y02-01 문헌명 /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삼국유사 () [ 三國遺事 ]

RT (관련어)

 

e03-02 각국어 각국어

고구려어 [ 高句麗語 ]

RT (관련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a04-03 교재·자료 /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고대 한일관계사 () [ 古代韓日關係史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연개소문 () [ 淵蓋蘇文 ]

RT (관련어)

 

y02-06 문서(보고서)명 문서(보고서)명

해동고기 () [ 海東古記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삼국사절요 [ 三國史節要 ]

RT (관련어)

 

y02-06 문서(보고서)명 문서(보고서)명

삼한고기 () [ 三韓古記 ]

朴·昔·金 시조신화의 대비를 통화 본 新羅 始祖 관념의 형성 단서

신라문화 | 40 | 40 | 2012 | 역사학

廣開土王陵碑 이전의 朱蒙 神話 -策略的 영웅들의 행방-

Jumong Myth before the Stele for King Gwanggaeto

어문논집 | 63 | 2011 | 한국어와문학

<동명왕편>의 기술성의 성격과 의미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Literacy in (東明王篇)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명왕편>의 기술성의 성격과 의미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Literacy in (東明王篇)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660년 신라와 백제의 국경선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Border Line between Silla and Baekje in 660

신라사학보 | 20 | 2010 | 역사학

660년 신라와 백제의 국경선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Border Line between Silla and Baekje in 660

신라사학보 | | 20 | 2010 | 역사학

唐에서 再建된 百濟

Baekje Reconstructed in the Tang Domain

인문학논총 | 15 | 1 | 2010 | 기타인문학

唐에서 再建된 百濟

Baekje Reconstructed in the Tang Domain

인문학논총 | 15 | 1 | 2010 | 기타인문학

백제 건국신화의 연구 -일본의 도모신화를 중심으로 한 고찰-

A Study on the Foundation Myth of Baekje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0 | 2012 | 한국어와문학

일연의 글쓰기에서 정치적 감각 ― 삼국유사 서술방법의 연구ㆍ2

然の書き込みで政治的感覚

한국언어문화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연의 글쓰기에서 정치적 감각 ― 삼국유사 서술방법의 연구ㆍ2

然の書き込みで政治的感覚

한국언어문화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구려 전기의 사면령

A Decree of Amnesty in the Early Years Political History of Koguryo

민족문화 | 34 | 34 | 2010 | 기타인문학

고구려 전기의 사면령

A Decree of Amnesty in the Early Years Political History of Koguryo

민족문화 | 34 | 34 | 2010 | 기타인문학

장수왕의 외교정책: 고구려 “자주외교”의 두 얼굴

Foreign Policy of King Jangsu of Goguryeo: Two faces of Goguryeo's Independent Diplomacy

국제정치논총 | 50 | 2 | 2010 | 정치외교학

장수왕의 외교정책: 고구려 “자주외교”의 두 얼굴

Foreign Policy of King Jangsu of Goguryeo: Two faces of Goguryeo's Independent Diplomacy

국제정치논총 | 50 | 2 | 2010 | 정치외교학

청소년의 다문화 의식 함양을 위한 『삼국유사』의 창의적 글쓰기와 독서토론 연구-중학교 교과 <서동요> 교육의 미디어 활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A Study about Creative writing and Reading Discussion of Samgukyusa to build up Juvenile Multicultural Consciousness : Focusing on the Media utilizing possibility of Sudongyo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다문화콘텐츠연구 | 11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高句麗 王號와 葬地에 관한 檢證

Verification of the Names of Kings in Goguryeo and their Burial Grounds

경주사학 | 34 | 34 | 2011 | 기타인문학

서구학계와 한국학계의 한국 고대사연구 ―영어권 학자의 한국 삼국시대사 사료의 해석을 중심으로 ―

Studies on Ancient Korean History in the West: Focussing on the Interpretation of material of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English Language Scholarship

아시아문화연구 | 22 | 2011 | 기타인문학

檀君 國祖 意識과 境域 認識의 變遷 -『舊三國史』와 관련하여-

Consciousness of Dangun(檀君) as the Country Originator and Transition in the Boundaries - In the Relation with Gu-Samguksa (Ol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

한국사상사학 | 40 | 2012 | 역사학

『삼국사기』지리지 溟州 영현 棟隄縣의 위치 비정과 의미

A Study of Dongje-hyun of Myoung-ju in Unified Shilla Period

韓國史學報 | 38 | 2010 | 역사학

『삼국사기』지리지 溟州 영현 棟隄縣의 위치 비정과 의미

A Study of Dongje-hyun of Myoung-ju in Unified Shilla Period

韓國史學報 | | 38 | 2010 | 역사학

현행(2011년) 중・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고대한일관계사 서술은 사실을 반영하고 있는가?

Do the Descriptions of Ancient Korea-Japan Relations of Current National History Textbooks for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Reflect Historical Truth at All?

신라사학보 | 24 | 2012 | 역사학

<황조가>의 배경 연구

A Study on the Background of Hwangjoga

한국시가문화연구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황조가>의 배경 연구

A Study on the Background of Hwangjoga

한국시가문화연구 |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崇福寺 伽藍配置의 檢討

A Study on the Structure of Sungbok-sa

경주사학 | 33 | 2011 | 기타인문학

최치원의 역사인식 연구

A Study on Choi Chi-Won's Historical Cognition

민족문화 | 34 | 34 | 2010 | 기타인문학

최치원의 역사인식 연구

A Study on Choi Chi-Won's Historical Cognition

민족문화 | 34 | 34 | 2010 | 기타인문학

百濟 始祖 溫祚 說話에 대한 檢證

Verification of the Tale of Onjo(溫祚), the Founder of Baekje

한국사상사학 | 36 | 2010 | 역사학

百濟 始祖 溫祚 說話에 대한 檢證

Verification of the Tale of Onjo(溫祚), the Founder of Baekje

한국사상사학 | | 36 | 2010 | 역사학

An Introductory Study of the “Annals of Koguryŏ” in the Samguk Sagi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 15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삼국사기』 열전에 보이는 4~5세기 신라인의 활약상

Great Activities of the Silla's Heroes during the 4th~5th Century shown in the Bibliography Part of Samguksagi

신라문화 | 38 | 2011 | 역사학

삼국시대 색채어의 종류와 길흉표현기능에 관한 연구:삼국사기를 중심으로

The Expression of Goodness and Illness of Color Words in the Samkook Age of the Korean History

한국언론학보 | 55 | 3 | 2011 | 신문방송학

百濟의 瑞祥과 王權

Auspicious things and royal authority in the period of Baekje

백산학보 | 93 | 2012 | 역사학

<최고운전>과 『삼국사기』 <최치원전>에 그려진 최치원의 인물 형상

The Character of Choi, Chi-won of and in 『Samkook Sagi(三國史記)』

고소설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神母 認識을 통해서 본 中世 東아시아의 記錄精神

The recording mind of East Asia in the Middle Ages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sacred mother

동아시아고대학 | 21 | 2010 | 기타인문학

神母 認識을 통해서 본 中世 東아시아의 記錄精神

The recording mind of East Asia in the Middle Ages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sacred mother

동아시아고대학 | | 21 | 2010 | 기타인문학

고구려어의 속격조사

The Genitive Particles of the Koguryo Language

어문학 | 114 | 2011 | 한국어와문학

5~6세기 삼국의 접경에 대한 역사지리적 접근

한국고대사연구 | 58 | 2010 | 한국고대사

5~6세기 삼국의 접경에 대한 역사지리적 접근

한국고대사연구 | | 58 | 2010 | 한국고대사

효행 설화 연구 - 『삼국사기』, 『삼국유사』에 나타나는 효행 양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ilial Story - Focusing on the Communication with the Actor and Target in the 『三國遺事』(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三國史記』(Historical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동양고전연구 | 48 | 2012 | 기타인문학

475-551년 한강 하류 유역 領有國 문제에 관한 考察

A Study of the Territory Domination over the lower reaches of the Han River in A.D. 475-551

한국학 | 33 | 1 | 2010 | 기타인문학

475-551년 한강 하류 유역 領有國 문제에 관한 考察

A Study of the Territory Domination over the lower reaches of the Han River in A.D. 475-551

한국학 | 33 | 1 | 2010 | 기타인문학

신라 건국과 斯盧 6村

Foundation of Silla and Salo Six Village-groups

신라사학보 | 23 | 2011 | 역사학

4∼5세기 『삼국사기』의 승려 및 사찰

The Relationship between Gaya and Three Kingdoms during 4th through 5th Centuries, Seen from the 『Samkuksaki』

신라문화 | 38 | 2011 | 역사학

『三國史記』 高句麗本紀 4∼5세기의 기록에 대한 검토 -국내 전승의 원전에서 채록한 기록을 중심으로-

A Review on Records from the 4th~5th Century Goguryeobogi inn Samguksagi -Focusing on Extracts from Domestic Original Texts-

신라문화 | 38 | 2011 | 역사학

고대 한국의 자연재해 분석-신화적 사상을 중심으로

Analysis of Natural Disasters in the Ancient Korea-Focusing on the Mythological Thoughts

한국지형학회지 | 18 | 4 | 2011 | 지리학

『삼국사기』의 삼국인식

Ident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in Samguksagi (三國史記) : An Institution of Time and Space

韓國史學報 | 41 | 2010 | 역사학

『삼국사기』의 삼국인식

Ident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in Samguksagi (三國史記) : An Institution of Time and Space

韓國史學報 | | 41 | 2010 | 역사학

독도영유권의 역사적 문헌에 대한 선행연구의 검토 - 조선전기 이전까지를 중심으로 -

A Review on the Precedent Study of the historical records of Dokdo Sovereignty

한국해법학회지 | 32 | 2 | 2010 | 법학

독도영유권의 역사적 문헌에 대한 선행연구의 검토 - 조선전기 이전까지를 중심으로 -

A Review on the Precedent Study of the historical records of Dokdo Sovereignty

한국해법학회지 | 32 | 2 | 2010 | 법학

三國史記의 氣象異變考

A Study on the climate articles of Samguksagi

민족문화논총 | 45 | 2010 | 기타인문학

三國史記의 氣象異變考

A Study on the climate articles of Samguksagi

민족문화논총 | | 45 | 2010 | 기타인문학

4∼5세기 『삼국사기』의 승려 및 사찰

The Relationship between Gaya and Three Kingdoms during 4th through 5th Centuries, Seen from the 『Samkuksaki』

신라문화 | 38 | 2011 | 역사학

『三國史記』 高句麗本紀 4∼5세기의 기록에 대한 검토 -국내 전승의 원전에서 채록한 기록을 중심으로-

A Review on Records from the 4th~5th Century Goguryeobogi inn Samguksagi -Focusing on Extracts from Domestic Original Texts-

신라문화 | 38 | 2011 | 역사학

신라 무인담의 전승 양상과 의미-『삼국사기』소재 전공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nsmission and Meaning of Shilla Soldier tales

국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효를 주제로 한 서사의 소통-조선전기까지의 서사를 중심으로

Circulation of the ‘Hyo(孝)’ subject narrative in the age of the Koryeo and the early Morning Calm Dynasty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효를 주제로 한 서사의 소통-조선전기까지의 서사를 중심으로

Circulation of the ‘Hyo(孝)’ subject narrative in the age of the Koryeo and the early Morning Calm Dynasty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제 온조왕대 강역획정 기사의 제설 검토

The Examination of Studies about the Article of Territorial Demarcation in the Times of King On-jo of Baekje

백산학보 | 87 | 2010 | 역사학

백제 온조왕대 강역획정 기사의 제설 검토

The Examination of Studies about the Article of Territorial Demarcation in the Times of King On-jo of Baekje

백산학보 | | 87 | 2010 | 역사학

『三國史記』 所載 泥河의 위치 비정

Determining the location of ‘Ni River’ mentioned in SamGuk-SaGi

한국사연구 | 150 | 2010 | 역사학

『三國史記』 所載 泥河의 위치 비정

Determining the location of ‘Ni River’ mentioned in SamGuk-SaGi

한국사연구 | | 150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