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식

연구분야 : A020202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고려시대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7625

한자 : 金富軾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백운소설 () [ 白雲小說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인종 (1122-1146) [ 仁宗 ]

RT (관련어)

형제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부일 () [ 金富佾 ]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묘청 [ 妙淸 ]

檀君 國祖 意識과 境域 認識의 變遷 -『舊三國史』와 관련하여-

Consciousness of Dangun(檀君) as the Country Originator and Transition in the Boundaries - In the Relation with Gu-Samguksa (Ol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

한국사상사학 | 40 | 2012 | 역사학

6세기 '삼국사기' 불교관련 기사 存疑 6세기 '삼국사기' 불교관련 기사 存疑

신라문화 | 39 | 2012 | 역사학

『三國史記』 列傳에 나타난 정치적 좌절의 양상과 김부식의 시각 -勿稽子傳과 實兮傳을 대상으로-

The Political Frustration expressed in the Chronicle of the Three Kingdom(三國史記) and the Viewpoint of Kim, Bu Sik(金富軾), the Editor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0 | 2012 | 한국어와문학

『三國史記』 列傳에 나타난 정치적 좌절의 양상과 김부식의 시각 -勿稽子傳과 實兮傳을 대상으로-

The Political Frustration expressed in the Chronicle of the Three Kingdom(三國史記) and the Viewpoint of Kim, Bu Sik(金富軾), the Editor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0 | 2012 | 한국어와문학

『高麗圖經』「人物」條를 통해 본 인종 초 정국의 일면

The aspects of In the early year of In-Jong(仁宗) through The 「People」Chapter on 『Koryeodokyeong(高麗圖經)』

역사교육논집 | 48 | 2012 | 역사학

An Introductory Study of the “Annals of Koguryŏ” in the Samguk Sagi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 15 | 1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