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승전

연구분야 : A081200 인문학 > 불교학 > 불교문헌학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1365

한자 : 高僧傳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2-01 문헌명 문헌명

해동고승전 [ 海東高僧傳 ]

RT (관련어)

 

y02-06 문서(보고서)명 문서(보고서)명

삼국사기 () [ 三國史記 ]

위진남북조시대 阿育王像 전승과 숭배

A Study on the Transmission and Worship of the Asokan Statue in the Period of Wei, Jin Kingdoms and Northern & Southern Dynasties

불교미술사학 | 11 | 2011 | 미술사

『高僧傳』에 나타난 懺悔의 실천 연구

Study on Penitence Practice shown in

禪學(선학) | 30 | 2011 | 응용불교학

『고승전』에 나타난 行儀 용어 분석

An Analysis of the terminology "ceremonial performance" presented in Gao seng chuan

禪學(선학) | 27 | 2010 | 응용불교학

『고승전』에 나타난 行儀 용어 분석

An Analysis of the terminology "ceremonial performance" presented in Gao seng chuan

禪學(선학) | | 27 | 2010 | 응용불교학

高僧傳과 高僧文集의 集成 ─韓國高僧集의 集成 및 간행을 위한 試攷

Goseung-jeon(高僧傳)and the collection of Goseung-munjip(高僧文集) —A draft for a collection and publication of Korean Goseungjip(韓國高僧集)

불교학연구 | 32 | 2012 | 불교학

東晉․宋齊 佛敎의 地域別 展開 樣相 ― 釋慧皎의 『高僧傳』을 중심으로 ―

Regional development of Buddhism in Eastern-Jin and Song-Qi ― Focused on 『The Biographies of Eminent Monks』 by Huijiao ―

중국고중세사연구 | 25 | 2011 | 역사학

고승전의 선정 및 삼매에 대한 분석적 고찰

Analysis of Seon and Samadhi in Gao-Seng-Chuan

보조사상 | 34 | 2010 | 종교학

고승전의 선정 및 삼매에 대한 분석적 고찰

Analysis of Seon and Samadhi in Gao-Seng-Chuan

보조사상 | 34 | | 2010 | 종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