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 마리 양을 탄 신선이 내려오다: ‘오양선(五羊仙)’ 이야기의 베트남, 중국, 한국에서의 변용
神仙乘着五只羊从天上而来
비교문학 |
57 |
2012 |
인문학
다섯 마리 양을 탄 신선이 내려오다: ‘오양선(五羊仙)’ 이야기의 베트남, 중국, 한국에서의 변용
神仙乘着五只羊从天上而来
비교문학 |
57 |
2012 |
인문학
高麗末~朝鮮前期 球形浮屠 硏究
A Study on the Spherical-shaped Stupa in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Joseon Period
불교미술사학 |
13 |
2012 |
미술사
高麗末~朝鮮前期 球形浮屠 硏究
A Study on the Spherical-shaped Stupa in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Joseon Period
불교미술사학 |
13 |
2012 |
미술사
영어권 중국사 개설서에 보이는 한국 관련 지도의 실태 분석
An Examination of Korea-Related Maps Seen in the Survey Books of Chinese History Written in English
동북아역사논총 |
27 |
2010 |
역사학
영어권 중국사 개설서에 보이는 한국 관련 지도의 실태 분석
An Examination of Korea-Related Maps Seen in the Survey Books of Chinese History Written in English
동북아역사논총 |
|
27 |
2010 |
역사학
몽골의 침략과 고려 무인정권 및 삼별초의 ‘島嶼海洋戰略’ ― 그 동아시아적 의의 ―
The Mongol Invasion of Goryeo and Goryeo's “Island-Marine Military Strategy (島嶼海洋戰略)”
동양사학연구 |
115 |
2011 |
역사학
서울지역 佛敎文化의 展開 過程과 特徵 -石造美術을 中心으로-
A Study on the Features and Development of Buddhist Culture in Seoul Area -Focus on Stone Buddhist Art-
서울과 역사 |
77 |
2011 |
역사학
서울지역 佛敎文化의 展開 過程과 特徵 -石造美術을 中心으로-
A Study on the Features and Development of Buddhist Culture in Seoul Area -Focus on Stone Buddhist Art-
서울과 역사 |
77 |
2011 |
역사학
高麗末~朝鮮前期 球形浮屠 硏究
A Study on the Spherical-shaped Stupa in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Joseon Period
불교미술사학 |
13 |
2012 |
미술사
일제침략기 중국사회의 ‘한국’ 인식 - 한국관련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
Chinese Awareness of Korea in Japanese Colonial Rule - Focused on the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Korea-
진단학보 |
113 |
2011 |
역사학
松隱 朴翊先生墓 出土遺物의 考古學的 解釋
An Archaeologicl Interpretation on the artefacts found from Park Ik Tomb
선사와 고대 |
33 |
2010 |
역사학
松隱 朴翊先生墓 出土遺物의 考古學的 解釋
An Archaeologicl Interpretation on the artefacts found from Park Ik Tomb
선사와 고대 |
|
33 |
2010 |
역사학
새로운 세계사의 재편을 위한 방향 모색 -중앙아시아사 연구의 경향-
Search for New Directions toward the Reorganization of World History: Trends in the Studies of Central Asian History, 2008-2011
역사학보 |
215 |
2012 |
역사학
북한의 고려시대 문학사 기술, 그 특징과 한계
The aspect of writing the history of literature during the Korea dynasty written by North Korea government agency, especially its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한의 고려시대 문학사 기술, 그 특징과 한계
The aspect of writing the history of literature during the Korea dynasty written by North Korea government agency, especially its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남 청신리 석탑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ive-storied Pagoda in the Haenam temple site
호남학 |
51 |
2012 |
기타인문학
浙東 연해안에서 高麗人의 수로 교통 -교통 유적과 지명을 중심으로 -
Transportation Places of historic interests for people of Goryeo(高麗) to broad through Zhedong(浙東) watercourse
중국사연구 |
64 |
2010 |
동양사
浙東 연해안에서 高麗人의 수로 교통 -교통 유적과 지명을 중심으로 -
Transportation Places of historic interests for people of Goryeo(高麗) to broad through Zhedong(浙東) watercourse
중국사연구 |
|
64 |
2010 |
동양사
향가 문법 형태의 표기에 반영된 고형(古形)과 개신형(改新形)
The old and renovated grammatical morphemes that is scribed on the Shilla Hangga
동악어문학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향가 문법 형태의 표기에 반영된 고형(古形)과 개신형(改新形)
The old and renovated grammatical morphemes that is scribed on the Shilla Hangga
동악어문학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체를 매장했던 승려들 ─매골승(埋骨僧)과 삼매히지리(三昧聖)
The Monks Who Bury a Corpse ―Maegolseung (埋骨僧) and Sammmai Hijiri (三昧聖)
불교학연구 |
31 |
2012 |
불교학
새로운 세계사의 재편을 위한 방향 모색 -중앙아시아사 연구의 경향-
Search for New Directions toward the Reorganization of World History: Trends in the Studies of Central Asian History, 2008-2011
역사학보 |
215 |
2012 |
역사학
北宋 神宗朝의 對外交易 政策과 高麗
Foreign Trade Policy of Shenjong(神宗) dynasty of Nothern Sung and Koryo
동양사학연구 |
115 |
2011 |
역사학
신라에서 고려로 군현제 구성과 운영체계의 변화 -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Transformation of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from Silla through Goryeo – Focusing on Jeolla-do Area
남도문화연구 |
22 |
2012 |
기타인문학
<<詞話叢編>>에 실린 韓國詞 資料 考察
<詞話叢編>收載的韓國詞資料考
중국학연구 |
59 |
2012 |
중국어와문학
개태사 석조삼존불입상 조성배경 再考 -太祖 王建軍 屯營址 馬城의 위치와 관련하여-
The reconsideration of construction background about The Stone Buddha Triad image at Gaetaesa
백산학보 |
92 |
2012 |
역사학
1388년명 은제아미타여래삼존좌상 발원문의 검토와 의의
Review and Significance about Record of Silver Amitabha Triad Buddha Statue in 1383 inscription
이화사학연구 |
43 |
2011 |
기타역사일반
檀君 國祖 意識과 境域 認識의 變遷 -『舊三國史』와 관련하여-
Consciousness of Dangun(檀君) as the Country Originator and Transition in the Boundaries - In the Relation with Gu-Samguksa (Ol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
한국사상사학 |
40 |
2012 |
역사학
The Development of the Buddhist Relic Cult from Unified Silla to Early Koryŏ
통일신라기와 고려 초기 불사리 신앙의 전개
종교와 문화 |
18 |
2010 |
기타종교학
The Development of the Buddhist Relic Cult from Unified Silla to Early Koryŏ
통일신라기와 고려 초기 불사리 신앙의 전개
종교와 문화 |
|
18 |
2010 |
기타종교학
北宋 神宗朝의 對外交易 政策과 高麗
Foreign Trade Policy of Shenjong(神宗) dynasty of Nothern Sung and Koryo
동양사학연구 |
115 |
2011 |
역사학
Development of Theme and Icon in Evening Bell from Misty Temple(煙寺晩鐘) of Eight Views of Xiao and Xiang in Goryeo Dynasty
煙寺晩鐘の主題と図様の変遷
인문과학연구 |
31 |
2011 |
기타인문학
宋代 東亞 海域上 漂流民의 發生과 送還
宋代東亞海域上漂流民的發生與送還(The Birth and Return of the Castaway at Sea during the Song Dynasty in East Asia)
중국사연구 |
65 |
2010 |
동양사
宋代 東亞 海域上 漂流民의 發生과 送還
宋代東亞海域上漂流民的發生與送還(The Birth and Return of the Castaway at Sea during the Song Dynasty in East Asia)
중국사연구 |
|
65 |
2010 |
동양사
1293~1303년 高麗 서해안 ‘元 水驛’의 置廢와 그 의미
The Deployment(1293) and Dismantlement(1303) of Sea Stations, by the Mongol Yuan Empire along the Southern Coastline of the Korean Peninsula(Goryeo)
한국중세사연구 |
33 |
2012 |
역사학
고려∼조선시대 梵字眞言이 새겨진 石造物의 현황과 의미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of things and Significance to the Stone Art of Sanskrit in Korea and Chosun Dynasty
역사민속학 |
36 |
2011 |
역사학
宋代 東亞 海域上 漂流民의 發生과 送還
宋代東亞海域上漂流民的發生與送還(The Birth and Return of the Castaway at Sea during the Song Dynasty in East Asia)
중국사연구 |
65 |
2010 |
동양사
宋代 東亞 海域上 漂流民의 發生과 送還
宋代東亞海域上漂流民的發生與送還(The Birth and Return of the Castaway at Sea during the Song Dynasty in East Asia)
중국사연구 |
|
65 |
2010 |
동양사
金에 파견된 高麗使臣의 사행로와 사행여정
The Moving Route and the Process of Goryeo(高麗) Envoys Dispatched to the Jin Dynasty(金)
한국중세사연구 |
33 |
2012 |
역사학
중세 왜구의 경계침탈로 본 한・일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based on the boundary disseisin of Wakou in the medieval age
한일관계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金에 파견된 高麗使臣의 사행로와 사행여정
The Moving Route and the Process of Goryeo(高麗) Envoys Dispatched to the Jin Dynasty(金)
한국중세사연구 |
33 |
2012 |
역사학
고려 및 조선전기 도교의 비교와 그를 통한 고려 도교의 복원 -태일 신앙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Taoism in Goryeo and the early Joseon and the Restoration of Taoism in Goryeo
韓國史學報 |
40 |
2010 |
역사학
고려 및 조선전기 도교의 비교와 그를 통한 고려 도교의 복원 -태일 신앙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Taoism in Goryeo and the early Joseon and the Restoration of Taoism in Goryeo
韓國史學報 |
|
40 |
2010 |
역사학
泉州與新羅·高麗關係歷史文化遺存
Historical and Cultural Relics in Exchanges between Quanzhou and Silla/Koryo
『도서문화』 |
36 |
2010 |
기타인문학
泉州與新羅·高麗關係歷史文化遺存
Historical and Cultural Relics in Exchanges between Quanzhou and Silla/Koryo
『도서문화』 |
|
36 |
2010 |
기타인문학
金에 파견된 高麗使臣의 사행로와 사행여정
The Moving Route and the Process of Goryeo(高麗) Envoys Dispatched to the Jin Dynasty(金)
한국중세사연구 |
33 |
2012 |
역사학
金에 파견된 高麗使臣의 사행로와 사행여정
The Moving Route and the Process of Goryeo(高麗) Envoys Dispatched to the Jin Dynasty(金)
한국중세사연구 |
33 |
2012 |
역사학
발해 수령과 고려 도령의 상관성 검토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ryong in Balhae and Doryong in Korea
고구려발해연구 |
42 |
2012 |
한국고대사
12세기 초 국제 정세와 麗金 간의 전쟁과 외교
War and Diplomacy between Goryeo and Jin in the Early Twelfth Century
동북아역사논총 |
34 |
2011 |
역사학
高麗 茶詩에 나타난 脫俗과 養生의 美學
A Study on Korea Poetry of Tea Up To the Period of Koryo Dynasty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高麗 茶詩에 나타난 脫俗과 養生의 美學
A Study on Korea Poetry of Tea Up To the Period of Koryo Dynasty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女楽の色彩表現に表われた六条院の秩序 -「赤」⋅「青」⋅「高麗」の象徴性に着目して-
일본언어문화 |
17 |
2010 |
기타일본어학
女楽の色彩表現に表われた六条院の秩序 -「赤」⋅「青」⋅「高麗」の象徴性に着目して-
일본언어문화 |
|
17 |
2010 |
기타일본어학
李奎報 題畵詩를 통한 高麗 花鳥畫의 一考察
A Study on the Flower and Bird Paintings of Goryeo: Focusing on Yi Gyu-bo's Poems on Paintings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李奎報 題畵詩를 통한 高麗 花鳥畫의 一考察
A Study on the Flower and Bird Paintings of Goryeo: Focusing on Yi Gyu-bo's Poems on Paintings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
12세기 초 국제 정세와 麗金 간의 전쟁과 외교
War and Diplomacy between Goryeo and Jin in the Early Twelfth Century
동북아역사논총 |
34 |
2011 |
역사학
고려 및 조선전기 도교의 비교와 그를 통한 고려 도교의 복원 -태일 신앙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Taoism in Goryeo and the early Joseon and the Restoration of Taoism in Goryeo
韓國史學報 |
40 |
2010 |
역사학
고려 및 조선전기 도교의 비교와 그를 통한 고려 도교의 복원 -태일 신앙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Taoism in Goryeo and the early Joseon and the Restoration of Taoism in Goryeo
韓國史學報 |
|
40 |
2010 |
역사학
宋元版의 資料에 收錄되어 있는 高麗王朝 關聯記事의 硏究
A Study of Accounts on the Koryo Dynasty in Literature of the Sung-Yuan Period
역사교육논집 |
46 |
2011 |
역사학
잠언 31:10-31의 여성 활동과 고려시대의 여성 활동
Activities of Women in the Book of Proverbs 31:10-31 and the Goryeo Dynasty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79 |
2012 |
기독교신학
원 간섭기 金就礪像의 형성과 當代史 연구
Studies on the Formation of Gim Chwi-ryeo(金就礪)'s historical image in the early 14th century of Goryeo dynasty
한국사상사학 |
41 |
2012 |
역사학
발해 수령과 고려 도령의 상관성 검토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ryong in Balhae and Doryong in Korea
고구려발해연구 |
42 |
2012 |
한국고대사
李穀과 鄭誧의 詞에 투영된 “蔚州八景” 형상 考
A Study on Lee Gok and Jung Po Ci Poetry Writer’s Expressed of the Eight Sceneries in Ulsan City
仙道文化 |
9 |
2010 |
기타철학일반
李穀과 鄭誧의 詞에 투영된 “蔚州八景” 형상 考
A Study on Lee Gok and Jung Po Ci Poetry Writer’s Expressed of the Eight Sceneries in Ulsan City
仙道文化 |
9 |
|
2010 |
기타철학일반
발해 수령과 고려 도령의 상관성 검토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ryong in Balhae and Doryong in Korea
고구려발해연구 |
42 |
2012 |
한국고대사
왜구 문제를 통해 본 고려 사람들과 일본인들의 교류의 역사-<왜구와 고려․일본 관계사>에 대한 서평
book review
한국학 |
35 |
3 |
2012 |
기타인문학
徐熙(942~998)의 외교담판에 담긴 의미와 그 영향 - 현대 韓中關係에 가로놓인 ‘歷史論爭'의 극복과 관련하여 -
The understanding of and research into SeoHee's diplomatic negotiations.
민족문화 |
39 |
39 |
2012 |
기타인문학
몽골의 요동·고려 경략 재검토(1211~1259)
再论蒙古对辽东和高丽的战争(1211∼1259) Reexamination of Mongol's Campaigns in Liaodong and Koryo (1211~1259)
역사학보 |
209 |
2011 |
역사학
李齊賢의 蘇軾 豪放詞의 변용 考
A study of GoRyu(高麗) LiQiXian(李齊賢) Ci Poetry(詞)'s receptivity from SuShi(蘇軾) HaoFangCi(豪放詞)
한국시가문화연구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李齊賢의 蘇軾 豪放詞의 변용 考
A study of GoRyu(高麗) LiQiXian(李齊賢) Ci Poetry(詞)'s receptivity from SuShi(蘇軾) HaoFangCi(豪放詞)
한국시가문화연구 |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일 고대의 혼인제와 여성 - 고려와 헤이안조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Marriage Institution and a View of Womanhood in Ancient Korea and Japan - Centering around Koryo and Heian Period -
일본어문학 |
55 |
2011 |
일본어와문학
高丽李穑基于≪春秋≫的理解探讨其历史意识和经世思想
이색의 ≪춘추≫이해를 통한 역사의식과 경세사상의 고찰
중국학 |
42 |
2012 |
기타중문학
忠宣王과 麗蒙 관계 ― 배경적 요인들을 중심으로 ―
The King Chungseon and Relations between Koryo and Mongolia
동양고전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몽골의 침략과 고려 무인정권 및 삼별초의 ‘島嶼海洋戰略’ ― 그 동아시아적 의의 ―
The Mongol Invasion of Goryeo and Goryeo's “Island-Marine Military Strategy (島嶼海洋戰略)”
동양사학연구 |
115 |
2011 |
역사학
12세기 초기의 한국 선종 상황과 조계종 성립시기 소고
The Situation of Seon Schools in Korea during the Early 12th Century and Establishment of Jogye Order
불교학보 |
59 |
2011 |
기타불교학
新羅高麗時代書法資料輯注
신라·고려시대 서예 자료 집주
한국학논집 |
45 |
2011 |
기타인문학
14世紀의 高麗와 日本의 接觸과 交流
The Contact and Exchange between Goryeo and Japan in 14th Century
대구사학 |
100 |
2010 |
역사학
14世紀의 高麗와 日本의 接觸과 交流
The Contact and Exchange between Goryeo and Japan in 14th Century
대구사학 |
100 |
|
2010 |
역사학
徐熙(942~998)의 외교담판에 담긴 의미와 그 영향 - 현대 韓中關係에 가로놓인 ‘歷史論爭'의 극복과 관련하여 -
The understanding of and research into SeoHee's diplomatic negotiations.
민족문화 |
39 |
39 |
2012 |
기타인문학
14世紀의 高麗와 日本의 接觸과 交流
The Contact and Exchange between Goryeo and Japan in 14th Century
대구사학 |
100 |
2010 |
역사학
14世紀의 高麗와 日本의 接觸과 交流
The Contact and Exchange between Goryeo and Japan in 14th Century
대구사학 |
100 |
|
2010 |
역사학
新羅高麗時代書法資料輯注
신라·고려시대 서예 자료 집주
한국학논집 |
45 |
2011 |
기타인문학
고려 공예품에 보이는 宋代 ‘倣古器物’의 영향
Influence of the Archaism of the Song Dynasty on Artifacts of the Goryeo Period
미술사연구 |
25 |
2011 |
미술
몽골의 침략과 고려 무인정권 및 삼별초의 ‘島嶼海洋戰略’ ― 그 동아시아적 의의 ―
The Mongol Invasion of Goryeo and Goryeo's “Island-Marine Military Strategy (島嶼海洋戰略)”
동양사학연구 |
115 |
2011 |
역사학
明初與高麗、朝鮮有關遼東流人的交涉問題 — 讀朝鮮文獻《吏文》劄記
Journal of korean Culture |
16 |
2011 |
현대시(국문학)
李齊賢의 蘇軾 豪放詞의 변용 考
A study of GoRyu(高麗) LiQiXian(李齊賢) Ci Poetry(詞)'s receptivity from SuShi(蘇軾) HaoFangCi(豪放詞)
한국시가문화연구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李齊賢의 蘇軾 豪放詞의 변용 考
A study of GoRyu(高麗) LiQiXian(李齊賢) Ci Poetry(詞)'s receptivity from SuShi(蘇軾) HaoFangCi(豪放詞)
한국시가문화연구 |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일 고대의 혼인제와 여성 - 고려와 헤이안조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Marriage Institution and a View of Womanhood in Ancient Korea and Japan - Centering around Koryo and Heian Period -
일본어문학 |
55 |
2011 |
일본어와문학
李仁老 散文 硏究
A Study of Lee In-Lo`s Prose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중세 왜구의 경계침탈로 본 한・일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based on the boundary disseisin of Wakou in the medieval age
한일관계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大覺國師 義天 ‘傳記’의 유형별 기재방식과 특징
The Record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iography of Uicheon the Daegakguksa
韓國史學報 |
48 |
2012 |
역사학
高麗․朝鮮시대 海路 使行錄에 투영된 媽祖 분석
The Mazu(媽祖) analysis viewed on the traveling records through sea line on Gorye(高麗) and Joseon(朝鮮) era
역사민속학 |
32 |
2010 |
역사학
高麗․朝鮮시대 海路 使行錄에 투영된 媽祖 분석
The Mazu(媽祖) analysis viewed on the traveling records through sea line on Gorye(高麗) and Joseon(朝鮮) era
역사민속학 |
|
32 |
2010 |
역사학
浙東 연해안에서 高麗人의 수로 교통 -교통 유적과 지명을 중심으로 -
Transportation Places of historic interests for people of Goryeo(高麗) to broad through Zhedong(浙東) watercourse
중국사연구 |
64 |
2010 |
동양사
浙東 연해안에서 高麗人의 수로 교통 -교통 유적과 지명을 중심으로 -
Transportation Places of historic interests for people of Goryeo(高麗) to broad through Zhedong(浙東) watercourse
중국사연구 |
|
64 |
2010 |
동양사
고려 공예품에 보이는 宋代 ‘倣古器物’의 영향
Influence of the Archaism of the Song Dynasty on Artifacts of the Goryeo Period
미술사연구 |
25 |
2011 |
미술
‘구어역’(仇於驛)의 위치에 관한 고찰: 불국사 경내 출토 ‘仇於馹’(구어일) 명문기와와 관련하여
A Study on the Location of Post Station’ of Gu-eo in Gyeongju: Based on the Inscribed Roof-tiles Excavated at Bulguk Sa Temple
대구사학 |
98 |
2010 |
역사학
‘구어역’(仇於驛)의 위치에 관한 고찰: 불국사 경내 출토 ‘仇於馹’(구어일) 명문기와와 관련하여
A Study on the Location of Post Station’ of Gu-eo in Gyeongju: Based on the Inscribed Roof-tiles Excavated at Bulguk Sa Temple
대구사학 |
98 |
|
2010 |
역사학
고려시대 東女眞·東眞兵의 강원지역 침입에 대하여 -‘東女眞 海賊’의 침입을 중심으로-
Infiltration of ‘Eastern Jurchen’ and ‘Dong-Jin-byeong’ into Gangwon in Goryeo dynasty - Focused on ‘Eastern Jurchen Pirate’ -
인문과학연구 |
30 |
2011 |
기타인문학
고려와 조선 전기의 위령선 활용 - 동아시아 본초학의 한 사례
The practical use of the Clematis Root during the Koryo to the early days of the Chosŏn ― A case of the East Asian botany
대동문화연구 |
77 |
2012 |
기타인문학
고려 말과 조선 초의 왕릉에서 찾을 수 있는 황금비와 금강비
Gold and Geumgang ratio could be find from tomb of Goryeo and Chosun Dynasty
동방학 |
21 |
2011 |
기타인문학
고려 一品軍 三品軍에 관한 새로운 자료의 소개와 분석
Report and Analysis of New Sources on Ilpum· Sampum Troops in the Goryeo Dynasty
역사와경계 |
78 |
2011 |
역사학
한‧일 간 ‘契’와 ‘契約’의 비교 연구 - 12-15세기 사회적 현상과 관련하여 -
일본연구 |
16 |
2011 |
일본어와문학
고려시대 3대 국가음악기관의 분석적 고찰
A Study on the Music Institute of Koryo Dynasty
인문과학연구 |
14 |
2010 |
기타인문학
고려시대 3대 국가음악기관의 분석적 고찰
A Study on the Music Institute of Koryo Dynasty
인문과학연구 |
|
14 |
2010 |
기타인문학
무로마치 왜구와 조선의 대(對)왜인 정책 -평화와 공존을 위한 조선의 선택-
The Muromatsi Wakou and the Policy Changes of Joseon Kingdoms -The Decision of Joseon Kingdoms for the Peace of East Asia-
일본연구 |
18 |
2012 |
일본어와문학
고려 공예품에 보이는 宋代 ‘倣古器物’의 영향
Influence of the Archaism of the Song Dynasty on Artifacts of the Goryeo Period
미술사연구 |
25 |
2011 |
미술
12世紀 初期 高麗―金 關係의 전개와 상호 인식
The Development of relationship & mutual recognition between Goryeo and Jin dynasty in the early years of the 12th century
중국학보 |
61 |
2010 |
중국어와문학
12世紀 初期 高麗―金 關係의 전개와 상호 인식
The Development of relationship & mutual recognition between Goryeo and Jin dynasty in the early years of the 12th century
중국학보 |
|
61 |
2010 |
중국어와문학
고려시대 東女眞·東眞兵의 강원지역 침입에 대하여 -‘東女眞 海賊’의 침입을 중심으로-
Infiltration of ‘Eastern Jurchen’ and ‘Dong-Jin-byeong’ into Gangwon in Goryeo dynasty - Focused on ‘Eastern Jurchen Pirate’ -
인문과학연구 |
30 |
2011 |
기타인문학
고려불화의 미적 특질과 그 계통성
A Study of the Aesthetic Qualities of Goryeo Buddhist Painting and Its Lineage
한국중세사연구 |
32 |
2012 |
역사학
高麗時代 佛事 담당 ‘都監’의 조직과 특징
The Organization and Characteristics of ‘Dogam’ that Manages A Buddhist Service in the Goryeo Dynasty
역사교육 |
121 |
2012 |
역사학
고려시대 牽龍의 운영과 무반관직
Study on the Royal Guard “Gyŏlryong(牽龍)” in the Koryo(918~1392) Dynasty
역사교육 |
117 |
2011 |
역사학
高麗 佛敎詩에서의 소통․수용 문제와 宗敎詩史의 단서
The Matters in Communication and Accommodation of Buddhist Poems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Clue of the History of Religious poems
한국시가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려시대 배(船)의 변화와 그 의미
The Change of Ships in the Goryeo Period and Its Meanings
역사와 세계 |
38 |
2010 |
기타역사일반
고려시대 배(船)의 변화와 그 의미
The Change of Ships in the Goryeo Period and Its Meanings
역사와 세계 |
38 |
|
2010 |
기타역사일반
철령위 위치에 대한 재검토
Reconsideration of Cheollyeongwi’s Location
仙道文化 |
9 |
2010 |
기타철학일반
철령위 위치에 대한 재검토
Reconsideration of Cheollyeongwi’s Location
仙道文化 |
9 |
|
2010 |
기타철학일반
고려의 수군전략과 후삼국통일
Naval Strategies and Reunification of Koryo
동방학지 |
158 |
2012 |
기타인문학
高麗 末期 倭寇의 침입과 기근에 따른 民生
The effect of Whegoo’s invasion and famine toward the livelihoods of the public in the end of the Koryeo
서울과 역사 |
76 |
2010 |
역사학
高麗 末期 倭寇의 침입과 기근에 따른 民生
The effect of Whegoo’s invasion and famine toward the livelihoods of the public in the end of the Koryeo
서울과 역사 |
|
76 |
2010 |
역사학
고려시대 毬庭에 관한 연구
A Study of Gujeong in the Goryeo Dynasty
역사학보 |
212 |
2011 |
역사학
여몽 관계의 성격과 동아시아의 국제관계 - 중국 학계의 '책봉과 조공' 관계 연구의 한계와 문제점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the Mongols, and the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The Limits of “Investiture-Tribute” Relations in Studies on China
동북아역사논총 |
35 |
2012 |
역사학
大覺國師 義天 ‘傳記’의 유형별 기재방식과 특징
The Record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iography of Uicheon the Daegakguksa
韓國史學報 |
48 |
2012 |
역사학
고려불화의 미적 특질과 그 계통성
A Study of the Aesthetic Qualities of Goryeo Buddhist Painting and Its Lineage
한국중세사연구 |
32 |
2012 |
역사학
고려시대 朴恒의 生厓와 活動에 대하여
A Study on Park Hang's Life and Activity in the Goryeo Dynasty Period
전북사학 |
37 |
2010 |
역사학
고려시대 朴恒의 生厓와 活動에 대하여
A Study on Park Hang's Life and Activity in the Goryeo Dynasty Period
전북사학 |
|
37 |
2010 |
역사학
남송․금대 조공체계 속의 고려
Koryo in Tributary Systems of Southern Song and Jin Dynasties
진단학보 |
114 |
2012 |
역사학
고려 천태종의 종파 문제-조선초 천태종의 선종 귀속의 역사적 배경-
The Study on a Sectarian Strife of Goryeo’ Cheontae-jong -The Acceptance and Its Meaning through the Merger of Buddhism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韓國史學報 |
40 |
2010 |
역사학
고려 천태종의 종파 문제-조선초 천태종의 선종 귀속의 역사적 배경-
The Study on a Sectarian Strife of Goryeo’ Cheontae-jong -The Acceptance and Its Meaning through the Merger of Buddhism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韓國史學報 |
|
40 |
2010 |
역사학
‘구어역’(仇於驛)의 위치에 관한 고찰: 불국사 경내 출토 ‘仇於馹’(구어일) 명문기와와 관련하여
A Study on the Location of Post Station’ of Gu-eo in Gyeongju: Based on the Inscribed Roof-tiles Excavated at Bulguk Sa Temple
대구사학 |
98 |
2010 |
역사학
‘구어역’(仇於驛)의 위치에 관한 고찰: 불국사 경내 출토 ‘仇於馹’(구어일) 명문기와와 관련하여
A Study on the Location of Post Station’ of Gu-eo in Gyeongju: Based on the Inscribed Roof-tiles Excavated at Bulguk Sa Temple
대구사학 |
98 |
|
2010 |
역사학
특집 : '친원'과 '반원'을 넘어서-13~14세기사에 대한 새로운 이해-
역사와 현실 |
78 |
2010 |
역사학
특집 : '친원'과 '반원'을 넘어서-13~14세기사에 대한 새로운 이해-
역사와 현실 |
|
78 |
2010 |
역사학
고려 一品軍 三品軍에 관한 새로운 자료의 소개와 분석
Report and Analysis of New Sources on Ilpum· Sampum Troops in the Goryeo Dynasty
역사와경계 |
78 |
2011 |
역사학
고려시대의 태자 책봉과 책봉례
The Installation of The Crown Prince in the Koryo Dynasty
역사와경계 |
80 |
2011 |
역사학
고려시대 朴恒의 生厓와 活動에 대하여
A Study on Park Hang's Life and Activity in the Goryeo Dynasty Period
전북사학 |
37 |
2010 |
역사학
고려시대 朴恒의 生厓와 活動에 대하여
A Study on Park Hang's Life and Activity in the Goryeo Dynasty Period
전북사학 |
|
37 |
2010 |
역사학
고려의 北元칭호 사용과 동아시아 인식 -고려의 양면 외교를 중심으로-
Koryo Dynasty's Use of Name North Yuan and Cognitions of East Asia -Focusing on Koryo Dynasty's Double-sided diplomacy-
중앙아시아연구 |
15 |
2010 |
역사학
고려의 北元칭호 사용과 동아시아 인식 -고려의 양면 외교를 중심으로-
Koryo Dynasty's Use of Name North Yuan and Cognitions of East Asia -Focusing on Koryo Dynasty's Double-sided diplomacy-
중앙아시아연구 |
15 |
|
2010 |
역사학
충선왕의 탄생과 결혼, 그리고 정치
Birth and Marriage of King Chungseon and His Politics
한국인물사연구 |
14 |
2010 |
역사학
충선왕의 탄생과 결혼, 그리고 정치
Birth and Marriage of King Chungseon and His Politics
한국인물사연구 |
|
14 |
2010 |
역사학
고려시기 面에 관한 새로운 자료의 소개와 분석
Report and Analysis of New Sources on Myeon(面) in the Goryeo Dynasty
한국중세사연구 |
30 |
2011 |
역사학
여몽 관계의 성격과 동아시아의 국제관계 - 중국 학계의 '책봉과 조공' 관계 연구의 한계와 문제점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the Mongols, and the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The Limits of “Investiture-Tribute” Relations in Studies on China
동북아역사논총 |
35 |
2012 |
역사학
고려시대 毬庭에 관한 연구
A Study of Gujeong in the Goryeo Dynasty
역사학보 |
212 |
2011 |
역사학
고려 예종대 신설제도의 정치적 배경
The Political background of new system during Ye-jong in Koryo
역사학연구 |
46 |
2012 |
역사학
고려시기 面에 관한 새로운 자료의 소개와 분석
Report and Analysis of New Sources on Myeon(面) in the Goryeo Dynasty
한국중세사연구 |
30 |
2011 |
역사학
고려와 조선 전기의 위령선 활용 - 동아시아 본초학의 한 사례
The practical use of the Clematis Root during the Koryo to the early days of the Chosŏn ― A case of the East Asian botany
대동문화연구 |
77 |
2012 |
기타인문학
高麗 德宗․靖宗代 契丹과의 鴨綠江 城橋․城堡問題
The Issue of Apnok River Fortress during the Reign of King Deokjing and Jeongjong in Goryo Dynasty with Khitan
역사학연구 |
38 |
2010 |
역사학
高麗 德宗․靖宗代 契丹과의 鴨綠江 城橋․城堡問題
The Issue of Apnok River Fortress during the Reign of King Deokjing and Jeongjong in Goryo Dynasty with Khitan
역사학연구 |
|
38 |
2010 |
역사학
浙東 연해안에서 高麗人의 수로 교통 -교통 유적과 지명을 중심으로 -
Transportation Places of historic interests for people of Goryeo(高麗) to broad through Zhedong(浙東) watercourse
중국사연구 |
64 |
2010 |
동양사
浙東 연해안에서 高麗人의 수로 교통 -교통 유적과 지명을 중심으로 -
Transportation Places of historic interests for people of Goryeo(高麗) to broad through Zhedong(浙東) watercourse
중국사연구 |
|
64 |
2010 |
동양사
쿠빌라이와 고려
Qubilai and Koryŏ
역사비평 |
90 |
2010 |
역사학
쿠빌라이와 고려
Qubilai and Koryŏ
역사비평 |
|
90 |
2010 |
역사학
묘지명을 통해 본 고려시대 여인
Koryo Women Shown in Epitaphs
역사학연구 |
38 |
2010 |
역사학
묘지명을 통해 본 고려시대 여인
Koryo Women Shown in Epitaphs
역사학연구 |
|
38 |
2010 |
역사학
고려 말과 조선 초의 왕릉에서 찾을 수 있는 황금비와 금강비
Gold and Geumgang ratio could be find from tomb of Goryeo and Chosun Dynasty
동방학 |
21 |
2011 |
기타인문학
高麗 佛敎詩에서의 소통․수용 문제와 宗敎詩史의 단서
The Matters in Communication and Accommodation of Buddhist Poems of the Goryeo Dynasty and the Clue of the History of Religious poems
한국시가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철령위 위치에 대한 재검토
Reconsideration of Cheollyeongwi’s Location
仙道文化 |
9 |
2010 |
기타철학일반
철령위 위치에 대한 재검토
Reconsideration of Cheollyeongwi’s Location
仙道文化 |
9 |
|
2010 |
기타철학일반
도제의 기원에 관한 연구 - 고려 성종의 12목을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23 |
1 |
2011 |
정치외교학
무로마치 왜구와 조선의 대(對)왜인 정책 -평화와 공존을 위한 조선의 선택-
The Muromatsi Wakou and the Policy Changes of Joseon Kingdoms -The Decision of Joseon Kingdoms for the Peace of East Asia-
일본연구 |
18 |
2012 |
일본어와문학
고려 천태종의 종파 문제-조선초 천태종의 선종 귀속의 역사적 배경-
The Study on a Sectarian Strife of Goryeo’ Cheontae-jong -The Acceptance and Its Meaning through the Merger of Buddhism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韓國史學報 |
40 |
2010 |
역사학
고려 천태종의 종파 문제-조선초 천태종의 선종 귀속의 역사적 배경-
The Study on a Sectarian Strife of Goryeo’ Cheontae-jong -The Acceptance and Its Meaning through the Merger of Buddhism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韓國史學報 |
|
40 |
2010 |
역사학
고려시대 東女眞·東眞兵의 강원지역 침입에 대하여 -‘東女眞 海賊’의 침입을 중심으로-
Infiltration of ‘Eastern Jurchen’ and ‘Dong-Jin-byeong’ into Gangwon in Goryeo dynasty - Focused on ‘Eastern Jurchen Pirate’ -
인문과학연구 |
30 |
2011 |
기타인문학
고려시대 배(船)의 변화와 그 의미
The Change of Ships in the Goryeo Period and Its Meanings
역사와 세계 |
38 |
2010 |
기타역사일반
고려시대 배(船)의 변화와 그 의미
The Change of Ships in the Goryeo Period and Its Meanings
역사와 세계 |
38 |
|
2010 |
기타역사일반
貢女 출신 高麗女人들의 삶
A Life of Korea Women as Kongnyeo
역사와 담론 |
55 |
2010 |
역사학
貢女 출신 高麗女人들의 삶
A Life of Korea Women as Kongnyeo
역사와 담론 |
|
55 |
2010 |
역사학
고려시대 朴恒의 生厓와 活動에 대하여
A Study on Park Hang's Life and Activity in the Goryeo Dynasty Period
전북사학 |
37 |
2010 |
역사학
고려시대 朴恒의 生厓와 活動에 대하여
A Study on Park Hang's Life and Activity in the Goryeo Dynasty Period
전북사학 |
|
37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