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적 체험을 위한 역사적 장소 탐방 수업 방안
Creative Teaching with Historic Places
역사교육논집 |
49 |
2012 |
역사학
원 간섭기 역사학의 새 경향-當代史 연구
The New Historiography in the 14th Century of Goryeo Dynasty
한국중세사연구 |
31 |
2011 |
역사학
사회사상사적 독립협회 연구의 확립과 문제점 -신용하, 『독립협회 연구』를 중심으로-
The Establishment and the Problems of Research on the Independence Club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Social Thoughts: Focusing on Shin Yongha, [A Study on the Independence Club]
한국사연구 |
149 |
2010 |
역사학
사회사상사적 독립협회 연구의 확립과 문제점 -신용하, 『독립협회 연구』를 중심으로-
The Establishment and the Problems of Research on the Independence Club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Social Thoughts: Focusing on Shin Yongha, [A Study on the Independence Club]
한국사연구 |
|
149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국왕의 南漢山城 행차
Kings’ Visit to Namhansanseong in the Second Half of the Choseon Dynasty
조선시대사학보 |
60 |
2012 |
역사학
大院君執政期 朝鮮社會의 變化와 發展 : James B. Palais의 “Politics and Policy in Traditional Korea”에 대한 서평 논문
Changes and Developments of the Chosŏn Society in the Daewongun Period: A book review of the James B. Palais’s “Politics and Policy in Traditional Korea”
한국학연구 |
24 |
2011 |
기타인문학
백제 의자왕대의 정치와 對中外交 성격 검토
Diplomatic policy toward China of King Uija's Reign in Baekje
백제문화 |
1 |
47 |
2012 |
한국고대사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의‘근대성’ 논의 검토
The modernity problem of Independence Club and ‘People’s Assembly
사림 |
39 |
2011 |
역사학
育英公院의 설립과 운영실태 再考察
Review on the establishment of Yookyounggongwon (the Royal English School) and its management conditions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개화승 이동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f Reformist Monk Lee, Dong-Inn
한국불교학 |
58 |
2010 |
종교학
개화승 이동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f Reformist Monk Lee, Dong-Inn
한국불교학 |
|
58 |
2010 |
종교학
일본의 한국 강제병합과 강대국들의 대응 1895~1910년
Japan’s Annexation of Korea and Foreign Policy of Great Powers 1895-1910
서양사연구 |
42 |
2010 |
기타서양사
일본의 한국 강제병합과 강대국들의 대응 1895~1910년
Japan’s Annexation of Korea and Foreign Policy of Great Powers 1895-1910
서양사연구 |
|
42 |
2010 |
기타서양사
史家之道:李心傳(1167~1244)與《建炎以來繫年要錄》
道統과 治統, 聖人과 帝王: 宋 ~ 淸中期의 道統論을 통해본 士大夫社會에서의 君主權
역사문화연구 |
40 |
2011 |
역사학
『매천야록』에 나타난 황현의 역사인식
Hwang Hyun's Historical View Suggested in Maecheonyarok
한국근현대사연구 |
55 |
2010 |
역사학
『매천야록』에 나타난 황현의 역사인식
Hwang Hyun's Historical View Suggested in Maecheonyarok
한국근현대사연구 |
|
55 |
2010 |
역사학
황제의 궁궐 경운궁
Gyeongungung, the Palace of Emperor
서울학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황제의 궁궐 경운궁
Gyeongungung, the Palace of Emperor
서울학연구 |
|
40 |
2010 |
기타인문학
딘스모어 미국공사의 조선외교 인식과 활동
American Minister, Dinsmore's Activity and Understanding of Joseon Diplomacy
역사학보 |
210 |
2011 |
역사학
『독립신문』에 드러난 군주의 표상과 고종의 실체
The role model of a monarch and the real substance of Kojong revealed in 『The Independent』
대동문화연구 |
78 |
2012 |
기타인문학
19세기 조선 외교 정책의 변화 -베트남 응우옌 왕조와의 비교-
Changes of diplomatic policy in the 19th Century of Chosŏn - Comparison with the Nguyen Dynasty of Vietnam -
조선시대사학보 |
53 |
2010 |
역사학
19세기 조선 외교 정책의 변화 -베트남 응우옌 왕조와의 비교-
Changes of diplomatic policy in the 19th Century of Chosŏn - Comparison with the Nguyen Dynasty of Vietnam -
조선시대사학보 |
|
53 |
2010 |
역사학
19세기 조선 외교 정책의 변화 -베트남 응우옌 왕조와의 비교-
Changes of diplomatic policy in the 19th Century of Chosŏn - Comparison with the Nguyen Dynasty of Vietnam -
조선시대사학보 |
53 |
2010 |
역사학
19세기 조선 외교 정책의 변화 -베트남 응우옌 왕조와의 비교-
Changes of diplomatic policy in the 19th Century of Chosŏn - Comparison with the Nguyen Dynasty of Vietnam -
조선시대사학보 |
|
53 |
2010 |
역사학
강제병합 100주년, 20세기의 한국근대사 연구를 넘어서
Korean Modern Historical Studies on the Occasion of the First Centennial of the Japanese Annexation: Looking beyond the 20th Century
역사학보 |
215 |
2012 |
역사학
唐 高宗代 對外 政策의 性格과 意味 -唐使 派遣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 and Meaning of Foreign Policy during the Reign of Tang Kao-tsung: Focused on the Dispatch of Tang’s Envoys
중국사연구 |
75 |
2011 |
동양사
高宗의 引俄保國 정책과 宮庭派 관료 李範晉(1853~1911)의 보국활동
Gojong’s Pro-Russian Policy and the Political Activities of the Court Bureaucrat Lee Bum Jin(1853~1911) to Protect Chosun Korea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9 |
2011 |
역사학
아관파천, 1896 : 서울, 도쿄, 모스크바
A Study on the King Kojong`s Flight to the Russian Legation(1896)
사림 |
35 |
2010 |
역사학
아관파천, 1896 : 서울, 도쿄, 모스크바
A Study on the King Kojong`s Flight to the Russian Legation(1896)
사림 |
|
35 |
2010 |
역사학
대한제국의 역사적 종점에 관한 재고찰
The Endpoint of the Daehan(Great Korea) Empire Reconsidered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2 |
2011 |
정치외교학
대한제국의 역사적 종점에 관한 재고찰
The Endpoint of the Daehan(Great Korea) Empire Reconsidered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2 |
2011 |
정치외교학
박규수와 고종의 정치적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political relations between Gyusu Park and King Gojong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1 |
1 |
2012 |
동양정치사상
조선말․대한제국기 뮈텔 주교의 政局 認識과 對政治圈 活動
Bishop Mutel’s Recognition and Confrontation on the Political Situation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and Imperial Korea
교회사연구 |
37 |
2011 |
교회사
하인리히 왕자의 한국 방문 1898/99년
Heinrich Prinz von Preußen in Korea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
21 |
2011 |
역사학
을미사변을 둘러싼 기억과 의문 ― 명성황후 암살자에 관한 기록과 추적 ―
A Question of Memory for the 1895 Queen Min Assassination (Eulmi Incident)
사림 |
41 |
2012 |
역사학
韓末 西歐文物의 受容과 獨逸人 - P. G. von Moellendorff · Antoinette Sontag · Emma Kroebel -
The Acceptance of Western Culture and the Germans in the Period of the End of Chosun Dynasty - P. G. von Moellendorff · Antoinette Sontag · Emma Kroebel -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
23 |
2012 |
역사학
고종 친정 직후 정치적 기반 형성과 그 특징(1874~1876)
A Study on Forming Political Base during the Early Years of Kojong’s Reign(1874~1876)
한국근현대사연구 |
52 |
2010 |
역사학
고종 친정 직후 정치적 기반 형성과 그 특징(1874~1876)
A Study on Forming Political Base during the Early Years of Kojong’s Reign(1874~1876)
한국근현대사연구 |
|
52 |
2010 |
역사학
고종 친정 직후 정치적 기반 형성과 그 특징(1874~1876)
A Study on Forming Political Base during the Early Years of Kojong’s Reign(1874~1876)
한국근현대사연구 |
52 |
2010 |
역사학
고종 친정 직후 정치적 기반 형성과 그 특징(1874~1876)
A Study on Forming Political Base during the Early Years of Kojong’s Reign(1874~1876)
한국근현대사연구 |
|
52 |
2010 |
역사학
고종시대 군주권 위협 사건에 대한 일고찰
A study on a Threat to Sovereignty during the Period of Kojong(高宗)’s Reign
한국문화연구 |
18 |
2010 |
기타인문학
고종시대 군주권 위협 사건에 대한 일고찰
A study on a Threat to Sovereignty during the Period of Kojong(高宗)’s Reign
한국문화연구 |
18 |
|
2010 |
기타인문학
한ㆍ일 언론 자료를 통한 고종독살설 검토
Study of the hypothesis of poisoning King Gojong based on the Korean and the Japanese press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6 |
2011 |
역사학
1890년대 고종의 통치권력 강화 논리에 대한 일고찰 -君父論과 君師論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ogic behind Consolidate Sovereignty of King Kojong in the 1890s
역사와경계 |
78 |
2011 |
역사학
대한제국기 황실교육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 of Imperial family in the Korea Empire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1880년대 후반~1890년대 전반기 조선의 프랑스 인식
Understanding of Joseon for France during period of between the latter 1880’ and the early 1890’
인문학연구 |
44 |
2012 |
기타인문학
전기 도입에 의한 전통의 균열과 새로운 문명의 학습: 1880~1905년을 중심으로
Acquired Modern Lifestyle through The Electricity in Korea-1880~1905
한국문화 |
59 |
2012 |
기타인문학
고종의 부국강병책에 내재된 무(武)의 재해석 ― 광무(光武)와 체양(體養)의 의미 분석을 중심으로
The Martial Arts and Policy of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 Focused on ‘Bright Martial Arts’ as Era Name and ‘Physical Education’ of Royal Rescript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1 |
2011 |
사회학
1873년 고종의 통치권 장악 과정에 대한 일고찰
A study on process of actual proclamation of Kojong's direct rule
대동문화연구 |
72 |
2010 |
기타인문학
1873년 고종의 통치권 장악 과정에 대한 일고찰
A study on process of actual proclamation of Kojong's direct rule
대동문화연구 |
|
72 |
2010 |
기타인문학
고종의 ‘收夷制夷’적 일본인식과 武備自强策(1876~1881)
A Study on the King Gojong's Self-Strengthening Policy and the Perception of Japan on the Basis of the ‘Suyijeyi(收夷制夷)’, 1876~1881
한국근현대사연구 |
57 |
2011 |
역사학
고종 즉위 초기 군주관 형성과 그 내용
The Formation and Substance of Ideas of Monarch during the Early Years of Kojong's Reign.
이화사학연구 |
42 |
2011 |
기타역사일반
청일전쟁 이전 시기 프랑스 외교관 플랑시의 조․청관계 인식
Understanding of The French diplomat to the Korea-China Relation
대구사학 |
99 |
2010 |
역사학
청일전쟁 이전 시기 프랑스 외교관 플랑시의 조․청관계 인식
Understanding of The French diplomat to the Korea-China Relation
대구사학 |
99 |
|
2010 |
역사학
『集玉齋書目』 분석을 통해 본 고종의 개화서적 수집 실상과 활용
Fact and Use of Enlightenment Books Collected by Gojong through the Analysis of Jibokjae Seomok(Catalogue of Books in Jibokjae, 集玉齋書目)
한국근현대사연구 |
61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