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민왕

연구분야 : A020202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고려시대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8582

STNet ID : 1002982

한자 : 恭愍王
영어 : King Gongmin
재위기간 : 1351-1374

y01-01 실존인물

시대

고려시대 (高麗時代)

생몰년_t

1330-1374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Type (개념범주type)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왕(王) () [ 王 ]

P:개념속성연관

hasNationality (국적)

 

x01-02 국가명 국가명

고려 () [ 高麗 ]

R1:개념적

affects (영향)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신진사류 [ 新進士類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공민왕릉 () [ 恭愍王陵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신돈 [ 辛旽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쌍성총관부 [ 雙城摠管府 ]

RT (관련어)

 

x01-02 국가명 국가명

원나라 (1271-1368) [ 元--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보우 [ 普愚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우왕 (1374-1388) [ 禑王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충정왕 (1348-1351) [ 忠定王 ]

R5:물리적

Relative_2 (친인척_역)

부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노국대장공주 [ 魯國大長公主 ]

14세기 高麗 太廟의 혁신과 변천

Goryeo Dynasty's Renovation of Its National Ancestral Shrine in the 14th Century

진단학보 | 109 | 2010 | 역사학

14세기 高麗 太廟의 혁신과 변천

Goryeo Dynasty's Renovation of Its National Ancestral Shrine in the 14th Century

진단학보 | | 109 | 2010 | 역사학

順天 超然亭에 대한 考察

順天の超然亭に対する考察

문화사학 | 37 | 2012 | 문화사(역사학)

映湖樓 차운시에 대하여

淺析映湖樓次韻詩

포은학연구 | 5 | 2010 | 기타인문학

映湖樓 차운시에 대하여

淺析映湖樓次韻詩

포은학연구 | 5 | | 2010 | 기타인문학

안동지역 공민왕 관련 민속의 전승양상과 주민들의 ‘문화 읽기와 쓰기’

Traditional Aspects of Folk Related to King Gongmin and Residents’ Culture Reading and Writing in Andong Area

구비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안동지역 공민왕 관련 민속의 전승양상과 주민들의 ‘문화 읽기와 쓰기’

Traditional Aspects of Folk Related to King Gongmin and Residents’ Culture Reading and Writing in Andong Area

구비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려말 간화선 전통의 확립과정에 대한 검토

How the Ganhwa Tradition Became the Main Stream in the Late Goryeo Dynasty Buddhism ?

보조사상 | 37 | 2012 | 종교학

고려의 北元칭호 사용과 동아시아 인식 -고려의 양면 외교를 중심으로-

Koryo Dynasty's Use of Name North Yuan and Cognitions of East Asia -Focusing on Koryo Dynasty's Double-sided diplomacy-

중앙아시아연구 | 15 | 2010 | 역사학

고려의 北元칭호 사용과 동아시아 인식 -고려의 양면 외교를 중심으로-

Koryo Dynasty's Use of Name North Yuan and Cognitions of East Asia -Focusing on Koryo Dynasty's Double-sided diplomacy-

중앙아시아연구 | 15 | | 2010 | 역사학

공민왕대 초반 군주권 재구축 시도와 奇氏一家 : 1356년(공민왕 5) 개혁을 중심으로

Trials to reconstruct the authority of Koryeo kingship early in king Gongmin’s reign and the Ki family : around the reforms in 1356

한국문화 | 53 | 2011 | 기타인문학

淸州 拱北樓 應製詩板에 보이는 高麗 恭愍王代 중엽의 文臣官僚群

The group of the civil bureaucrats in the mid-period of King Gongmin(恭愍王)'s reign of Koryo(高麗) - A Study on the board written of Ung-je-shi poetry(Ung-je-shi Pan; 應製詩板) at Gongbuk-Ru(拱北樓) in Cheong-Ju(淸州) -

한국학논총 | 33 | 2010 | 역사이론

淸州 拱北樓 應製詩板에 보이는 高麗 恭愍王代 중엽의 文臣官僚群

The group of the civil bureaucrats in the mid-period of King Gongmin(恭愍王)'s reign of Koryo(高麗) - A Study on the board written of Ung-je-shi poetry(Ung-je-shi Pan; 應製詩板) at Gongbuk-Ru(拱北樓) in Cheong-Ju(淸州) -

한국학논총 | 33 | | 2010 | 역사이론

개혁군주 공민왕 : 공민왕의 즉위와 초기 국왕권 강화노력

King Gongmin the reformer : Gongmin's accession and effort to strengthen royal authority

한국인물사연구 | 18 | 2012 | 역사학

고려 공민왕대 정부 주도 교역의 여건 및 특징

The Trade Policy of King Gongmin-wang’s Administration: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한국학 | 34 | 4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