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말선초

연구분야 : A020202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고려시대사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클래스 : 시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6951

한자 : 麗末鮮初
영어 :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chosun dynasty

x02-01 시대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y06-02 정부(왕조)명 정부(왕조)명

조선 (1392~1910) [ 朝鮮 ]

RT_X (관련어►)

관련 국가

x01-02 국가명 국가명

고려 () [ 高麗 ]

정몽주의 여말선초 종교지형의 변화에 대한 인식 - 현대 다종교․다문화사회에 대한인식을 위한 제언 -

Jeong Mong-ju’s recognition of the religious change at the transitional time from Goryeo to Joseon

포은학연구 | 9 | 2012 | 기타인문학

여말선초 상·제례 변동과 사회적 관계의 재편성

Ritual Change and Transformation of Social Relation Duringthe Transitional Period betwee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한국민족문화 | 44 | 2012 | 기타인문학

麗末鮮初 蔚山地域의 磁器에 대한 硏究 -청자에서 분청사기로의 변화에 대하여-

A Study on Ceramics in Ulsan from the Late Goryeo to the Early Joseon - Regarding changes from celadon to Buncheong ware -

영남고고학 | 55 | 2010 | 역사학

麗末鮮初 蔚山地域의 磁器에 대한 硏究 -청자에서 분청사기로의 변화에 대하여-

A Study on Ceramics in Ulsan from the Late Goryeo to the Early Joseon - Regarding changes from celadon to Buncheong ware -

영남고고학 | | 55 | 2010 | 역사학

여말선초 紅牌·白牌 양식의 변화와 의의

The change and the significance of the form of crimson certificate and white certificate in the late Goryeo period and the early Joseon period

古文書硏究 | 40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