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선왕

연구분야 : A020202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고려시대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0871

STNet ID : 1001198

한자 : 忠宣王
재위기간 : 1298-1298
재위기간 : 1308-1313

y01-01 실존인물

생몰년_t

1275 - 1325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Type (개념범주type)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왕(王) () [ 王 ]

P:개념속성연관

hasNationality (국적)

 

x01-02 국가명 국가명

고려 () [ 高麗 ]

R1:개념적

affects (영향)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신진사류 [ 新進士類 ]

R2:기능적

produces (대상 개념)

 

 

각염법 () [ 榷鹽法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부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충숙왕 (1313-1330) [ 忠肅王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충렬왕 (1274~1308) [ 忠烈王 ]

원 간섭기 역사학의 새 경향-當代史 연구

The New Historiography in the 14th Century of Goryeo Dynasty

한국중세사연구 | 31 | 2011 | 역사학

高麗佛畵의 변죽: 本地, 畵幅, 奉安에 대한 問題

A Study of the Silk Weave, Loom Width and Enshrinement of Goryeo Buddhist Painting

美術史論壇 | 34 | 2012 | 미술

고려후기 元版大藏經 印成과 流通

Imprinting and Distribution of Yuan Tripitaka of the Late Goryeo

중앙사론 | 35 | 2012 | 역사학

14세기 高麗 太廟의 혁신과 변천

Goryeo Dynasty's Renovation of Its National Ancestral Shrine in the 14th Century

진단학보 | 109 | 2010 | 역사학

14세기 高麗 太廟의 혁신과 변천

Goryeo Dynasty's Renovation of Its National Ancestral Shrine in the 14th Century

진단학보 | | 109 | 2010 | 역사학

元 宮廷의 高麗 출신 宦官과 麗元關係

元宫廷的高丽出身宦官与丽元关系

동양사학연구 | 113 | 2010 | 역사학

元 宮廷의 高麗 출신 宦官과 麗元關係

元宫廷的高丽出身宦官与丽元关系

동양사학연구 | | 113 | 2010 | 역사학

萬卷堂과 濟美基德堂에 대한 재검토

A Consideration on the Two Buddhist Shrines of Mangwon-dang and Jemigidok-dang dedicated by King Chungseon of Goryeo dynasty

역사학보 | 210 | 2011 | 역사학

충선왕의 탄생과 결혼, 그리고 정치

Birth and Marriage of King Chungseon and His Politics

한국인물사연구 | 14 | 2010 | 역사학

충선왕의 탄생과 결혼, 그리고 정치

Birth and Marriage of King Chungseon and His Politics

한국인물사연구 | | 14 | 2010 | 역사학

고려 충숙왕 대 科擧制정비의 내용과 의미

King Chungsuk-wang's Restoration of the National Examination System's Conventions, and his objectives

대동문화연구 | 71 | 2010 | 기타인문학

忠宣王과 麗蒙 관계 ― 배경적 요인들을 중심으로 ―

The King Chungseon and Relations between Koryo and Mongolia

동양고전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1307년 “依上國之制, 定軍民” 조치의 내용과 의미-고려 충선왕대 軍役制 정비 방향에 대한 試論-

Goryeo King Chungseon-wang's 1307 attempt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Households and Civilian Supporters, Using Yuan institutions” -A Preliminary discussion of the Military Mobilization Institution of Chungseon-wang's reign-

韓國史學報 | 45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