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개소문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7829

STNet ID : 1002646

한자 : 淵蓋蘇文
음차어 : Yeon Gaesomun

y01-01 실존인물

시대

삼국시대 (三國時代)

직업

장군 (將軍)

생몰년_t

?-665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당 태종 () [ 唐太宗 ]

RT (관련어)

 

y02-06 문서(보고서)명 문서(보고서)명

삼국사기 () [ 三國史記 ]

RT (관련어)

관련인물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천리장성 [ 千里長城 ]

당나라의 고구려 침공과 기마전

Tang’s Invasion into the Goguryeo and Cavalry Battles

군사 | 77 | 2010 | 역사학

당나라의 고구려 침공과 기마전

Tang’s Invasion into the Goguryeo and Cavalry Battles

군사 | | 77 | 2010 | 역사학

新羅의 對倭外交와 金春秋

Silla’s diplomatic relations with Wae and Kim Chun-chu

신라문화 | 37 | 2011 | 역사학

조선후기 설인귀 인식의 맥락과 문학적 반영의 의미

The meaning of the awareness about Seol-in-gwi and the reflection to literature in late Chosun dynasty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6세기 말∼7세기 고구려 지배세력의 대외인식과 대외정책

The foreign relations realization of Koguryo governing power between the late 6th and 7th centuries

민족문화 | 37 | 37 | 2011 | 기타인문학

연개소문의 출자에 관한 몇 가지 의문

Some Questions on the Lineage of Yeongaesomun

한국사상과 문화 | 57 | 2011 | 한국어와문학

淵蓋蘇文 서사의 형성과 전승 경로 - 연개소문의 형상과 관련하여 -

Formation and Transmission of Yeon Gaesomun(淵蓋蘇文) Story - Related to Yeon Gaesomun Figure

동아시아문화연구 | 47 | 2010 | 기타인문학

淵蓋蘇文 서사의 형성과 전승 경로 - 연개소문의 형상과 관련하여 -

Formation and Transmission of Yeon Gaesomun(淵蓋蘇文) Story - Related to Yeon Gaesomun Figure

동아시아문화연구 | | 47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