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클래스 : 시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079

STNet ID : 1000465

한자 : 三國時代

x02-01 시대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삼국 [ 三國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x02-01 시대 시대

신라 시대 (BC57-935) [ 新羅時代 ]

hasBranch (분기/분과)

 

x02-01 시대 시대

백제 시대 [ 百濟時代 ]

R1:개념적

RT (관련어)

 

x01-02 국가명 국가명

신라 () [ 新羅 ]

RT (관련어)

 

x02-01 시대 시대

통일신라시대 (669-891) [ 統一新羅時代 ]

RT (관련어)

 

x01-02 국가명 국가명

백제 () [ 百濟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x02-01 시대 시대

남북국 시대 (698-926) [ 南北國時代 ]

飼育種 돼지의 韓半島 出現 時點 및 그 社會經濟的·象徵的 意味

Domesticated pig in Korea: its socioeconomic and symbolic context

한국고고학보 | 79 | 2011 | 역사학

삼국시대 年號銘 金銅佛像의 제작연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ra Named Bronze Buddha Statues of Three Kingdoms Period

韓國史學報 | 44 | 2011 | 역사학

방사성탄소연대로 본 皇南大塚南墳과 須惠器의 실연대 -방사성탄소연대의 적용방법과 타당성 재고-

The calendar date of Hwangnamdaechong Nambun & Sueki -Application method and examination of feasibility-

고문화 | 79 | 2012 | 역사학

통일신라시대 여성의 머리 형태에 관한 연구 -나·당 사신의 교류와 영향을 중심으로-

A Study on Women's Hairstyles in the Unified Silla Age - Centering on Exchange and Influence of Silla-Tang Envoys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 12 | 4 | 2011 | 미용

原三國∼三國時代 금강유역의 주거와 취사시설의 변화로 본 정치적 동향 -기원후 3~5세기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urnace and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in the Proto-Three Kingdoms and Three Kingdoms Periods, Geum River Basin

호서고고학 | 22 | 2010 | 기타고고학

原三國∼三國時代 금강유역의 주거와 취사시설의 변화로 본 정치적 동향 -기원후 3~5세기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urnace and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in the Proto-Three Kingdoms and Three Kingdoms Periods, Geum River Basin

호서고고학 | | 22 | 2010 | 기타고고학

2011년 발간 『중학교 역사(상)』 8종 교과서의 삼국시대 정치사 관련 부분 내용 검토

A Survey on the Parts dealing with the Political History of Three Kingdom Period in 8 kinds of History Textbooks published in 2011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한국고대사연구 | 64 | 2011 | 한국고대사

三國時代 忠孝思想에 對한 考察 — 『三國史記』 「列傳」을 中心으로

A Study of the Though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in Three Kingdom Period - With the focus on 「the Series of Biographies」 in the 『Samguk-Sagi』-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三國時代 忠孝思想에 對한 考察 — 『三國史記』 「列傳」을 中心으로

A Study of the Though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in Three Kingdom Period - With the focus on 「the Series of Biographies」 in the 『Samguk-Sagi』-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사극드라마 '서동요(薯童謠)'를 재해석한 퓨전 헤어스타일 연구

A Study on the Hair Style in Reinterpretation of the Historical Drama 'Seodongyo'

한복문화 | 13 | 1 | 2010 | 의상

사극드라마 '서동요(薯童謠)'를 재해석한 퓨전 헤어스타일 연구

A Study on the Hair Style in Reinterpretation of the Historical Drama 'Seodongyo'

한복문화 | 13 | 1 | 2010 | 의상

서구학계와 한국학계의 한국 고대사연구 ―영어권 학자의 한국 삼국시대사 사료의 해석을 중심으로 ―

Studies on Ancient Korean History in the West: Focussing on the Interpretation of material of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English Language Scholarship

아시아문화연구 | 22 | 2011 | 기타인문학

연구 주제 다변화의 모색: 2010~11년 역사고고학 연구의 동향

Diversification of Themes: A Review of the most Recent Two Years in Historical Archaeology

역사학보 | 215 | 2012 | 역사학

소성실험을 통해 본 삼국시대소성기술 연구 -영남지역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iring Techniqu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rough Firing Experiments -Focusing on the materials of the Yongnam region-

야외고고학 | 9 | 2010 | 고고학

소성실험을 통해 본 삼국시대소성기술 연구 -영남지역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iring Techniqu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rough Firing Experiments -Focusing on the materials of the Yongnam region-

야외고고학 | | 9 | 2010 | 고고학

삼국시대 아궁이틀의 연구 - 아궁이틀의 제작과 사용실험을 바탕으로 -

The study of the Frame of Furnace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호남고고학보 | 35 | 2010 | 역사학

삼국시대 아궁이틀의 연구 - 아궁이틀의 제작과 사용실험을 바탕으로 -

The study of the Frame of Furnace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호남고고학보 | 35 | | 2010 | 역사학

三國時代 嶺南 出土 札甲의 硏究

A Study on the Lamellar Armour Excavated in the Youngnam Area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한국고고학보 | 78 | 2011 | 역사학

삼국시대 색채어의 종류와 길흉표현기능에 관한 연구:삼국사기를 중심으로

The Expression of Goodness and Illness of Color Words in the Samkook Age of the Korean History

한국언론학보 | 55 | 3 | 2011 | 신문방송학

羅州伏岩里3號墳의 區劃築造

The Compartment Construction of Naju Bogam-ri Tomb No. 3

한국고고학보 | 77 | 2010 | 역사학

羅州伏岩里3號墳의 區劃築造

The Compartment Construction of Naju Bogam-ri Tomb No. 3

한국고고학보 | | 77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