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클래스 : 국가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178

STNet ID : 1000548

한자 : 新羅
음차어 : Silla
음차어 : Shilla
기타 : 新罗
영어 : Shilla dynasty

x01-02 국가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삼국 [ 三國 ]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후삼국 () [ 候三國 ]

N2:부분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2 국가명 국가명

우산국 [ 于山國 ]

R1:개념적

affects (영향)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중원 문화 (한국) [ 中原文化 ]

originatesFrom (기원/근원)

 

x01-02 국가명 국가명

사로국 [ 斯盧國 ]

RT (관련어)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해운압신라발해양번사 [ 海運押新羅渤海兩蕃使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벽골제 [ 碧骨堤 ]

RT (관련어)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한국 고대사 () [ 韓國古代史 ]

RT (관련어)

 

x01-05 바다/강/호수명 바다/강/호수명

안압지 [ 雁鴨池 ]

RT (관련어)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신라 삼채 [ 新羅三彩 ]

RT (관련어)

 

x02-01 시대 시대

삼국시대 [ 三國時代 ]

RT (관련어)

 

b02-05 분해/합체 분해/합체
b02-05 분해/합체 /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삼국통일 (신라) [ 三國統一 ]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경주국립공원 () [ 慶州國立公園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만엽집 () [ 萬葉集 ]

RT (관련어)

 

x02-01 시대 시대

통일신라시대 (669-891) [ 統一新羅時代 ]

RT (관련어)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나제동맹 () [ 羅濟同盟 ]

R2:기능적

hasFounder (설립자)

건국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박혁거세 (BC57-4) [ 朴赫居世 ]

CLT:참조용어

isNationalityOf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진흥왕 (540-576) [ 眞興王 ]

isNationalityOf  

 

 

유리이사금 (24-57) [ 儒理尼師今 ]

isNationalityOf  

 

 

남해차차웅 (4-24) [ 南解次次雄 ]

isNationalityOf  

 

 

진성여왕 (887-897) [ 眞聖女王 ]

isNationalityOf  

 

 

경애왕 (924-927) [ 景哀王 ]

isNationalityOf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지증왕 (500-514) [ 智證王 ]

isNationalityOf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법흥왕 (514-540) [ 法興王 ]

isNationalityOf  

 

 

경순왕 (927-935) [ 敬順王 ]

isNationalityOf  

 

 

흥덕왕 (826-836) [ 興德王 ]

isNationalityOf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헌강왕 (875-886) [ 憲康王 ]

isNationalityOf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효소왕 (692-702) [ 孝昭王 ]

isNationalityOf  

 

 

이사금 () [ 尼師今 ]

isNationalityOf  

 

 

차차웅 () [ 次次雄 ]

isNationalityOf  

 

 

거서간 () [ 居西干 ]

팔방금강좌의 황금비율

Golden Ratios in the Eight Direction Diamond Thrones of the Seokgatap

신라문화 | 38 | 2011 | 역사학

팔방금강좌의 황금비율

Golden Ratios in the Eight Direction Diamond Thrones of the Seokgatap

신라문화 | 38 | 2011 | 역사학

팔방금강좌의 황금비율

Golden Ratios in the Eight Direction Diamond Thrones of the Seokgatap

신라문화 | 38 | 2011 | 역사학

팔방금강좌의 황금비율

Golden Ratios in the Eight Direction Diamond Thrones of the Seokgatap

신라문화 | 38 | 2011 | 역사학

팔방금강좌의 황금비율

Golden Ratios in the Eight Direction Diamond Thrones of the Seokgatap

신라문화 | 38 | 2011 | 역사학

팔방금강좌의 황금비율

Golden Ratios in the Eight Direction Diamond Thrones of the Seokgatap

신라문화 | 38 | 2011 | 역사학

영어권 중국사 개설서에 보이는 한국 관련 지도의 실태 분석

An Examination of Korea-Related Maps Seen in the Survey Books of Chinese History Written in English

동북아역사논총 | 27 | 2010 | 역사학

영어권 중국사 개설서에 보이는 한국 관련 지도의 실태 분석

An Examination of Korea-Related Maps Seen in the Survey Books of Chinese History Written in English

동북아역사논총 | | 27 | 2010 | 역사학

영어권 중국사 개설서에 보이는 한국 관련 지도의 실태 분석

An Examination of Korea-Related Maps Seen in the Survey Books of Chinese History Written in English

동북아역사논총 | 27 | 2010 | 역사학

영어권 중국사 개설서에 보이는 한국 관련 지도의 실태 분석

An Examination of Korea-Related Maps Seen in the Survey Books of Chinese History Written in English

동북아역사논총 | | 27 | 2010 | 역사학

9세기 일본 상인과 섬유 제품의 유통

A study on the merchants of ancient Japan and the distribution of textile products in the ninth century

고구려발해연구 | 43 | 2012 | 한국고대사

‘東’의 誕生 - 水雲 崔濟愚의 ‘東學’과 凡父 金鼎卨의 ‘東方學’ -

The Birth of East - Focus on Suun Choi Jewoo’s Donghak and Bombu Kim Jeongsol’s Dongbanghak -

양명학 | 26 | 2010 | 철학

‘東’의 誕生 - 水雲 崔濟愚의 ‘東學’과 凡父 金鼎卨의 ‘東方學’ -

The Birth of East - Focus on Suun Choi Jewoo’s Donghak and Bombu Kim Jeongsol’s Dongbanghak -

양명학 | | 26 | 2010 | 철학

‘東’의 誕生 - 水雲 崔濟愚의 ‘東學’과 凡父 金鼎卨의 ‘東方學’ -

The Birth of East - Focus on Suun Choi Jewoo’s Donghak and Bombu Kim Jeongsol’s Dongbanghak -

양명학 | 26 | 2010 | 철학

‘東’의 誕生 - 水雲 崔濟愚의 ‘東學’과 凡父 金鼎卨의 ‘東方學’ -

The Birth of East - Focus on Suun Choi Jewoo’s Donghak and Bombu Kim Jeongsol’s Dongbanghak -

양명학 | | 26 | 2010 | 철학

석가탑의 황금비율

Golden Ratios of the Sakyamuni Pagoda of the Bulguksa Temple

신라문화 | 36 | 2010 | 역사학

석가탑의 황금비율

Golden Ratios of the Sakyamuni Pagoda of the Bulguksa Temple

신라문화 | | 36 | 2010 | 역사학

韓日 古代 佛舍利莊嚴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in the Buddhist reliquaries of Ancient Korea and Japan

불교미술사학 | 12 | 2011 | 미술사

『삼국사기』잡지의 편찬과 직관지의 체재

The Compilation of the Jabji of the Samguksagi and the format of the Jikgwanji

韓國史學報 | 41 | 2010 | 역사학

『삼국사기』잡지의 편찬과 직관지의 체재

The Compilation of the Jabji of the Samguksagi and the format of the Jikgwanji

韓國史學報 | | 41 | 2010 | 역사학

韓日 古代 佛舍利莊嚴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in the Buddhist reliquaries of Ancient Korea and Japan

불교미술사학 | 12 | 2011 | 미술사

古代 石築山城 懸門 調査硏究

Research on the Suspended Gates(Hyeonmun) of Ancient Stone Mountain Fortresses

야외고고학 | 12 | 2011 | 고고학

韓日 古代 佛舍利莊嚴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in the Buddhist reliquaries of Ancient Korea and Japan

불교미술사학 | 12 | 2011 | 미술사

『삼국사기』잡지의 편찬과 직관지의 체재

The Compilation of the Jabji of the Samguksagi and the format of the Jikgwanji

韓國史學報 | 41 | 2010 | 역사학

『삼국사기』잡지의 편찬과 직관지의 체재

The Compilation of the Jabji of the Samguksagi and the format of the Jikgwanji

韓國史學報 | | 41 | 2010 | 역사학

任那諸國內 ‘加羅聯盟’의 勢力 變遷과 對外 關係

The Transition of Power of the ‘Union of Garah(加羅聯盟)’ and its Foreign Relations in the States of Imnah(任那)

백산학보 | 86 | 2010 | 역사학

任那諸國內 ‘加羅聯盟’의 勢力 變遷과 對外 關係

The Transition of Power of the ‘Union of Garah(加羅聯盟)’ and its Foreign Relations in the States of Imnah(任那)

백산학보 | | 86 | 2010 | 역사학

南北國時代論과 渤海 Diaspora

The Theory of the Period of South & North Countries and Balhae Diaspora

고구려발해연구 | 40 | 2011 | 한국고대사

古代 石築山城 懸門 調査硏究

Research on the Suspended Gates(Hyeonmun) of Ancient Stone Mountain Fortresses

야외고고학 | 12 | 2011 | 고고학

南北國時代論과 渤海 Diaspora

The Theory of the Period of South & North Countries and Balhae Diaspora

고구려발해연구 | 40 | 2011 | 한국고대사

<안민가>의 정치사상

Political Ideas of

우리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안민가>의 정치사상

Political Ideas of

우리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석가탑의 황금비율

Golden Ratios of the Sakyamuni Pagoda of the Bulguksa Temple

신라문화 | 36 | 2010 | 역사학

석가탑의 황금비율

Golden Ratios of the Sakyamuni Pagoda of the Bulguksa Temple

신라문화 | | 36 | 2010 | 역사학

任那諸國內 ‘加羅聯盟’의 勢力 變遷과 對外 關係

The Transition of Power of the ‘Union of Garah(加羅聯盟)’ and its Foreign Relations in the States of Imnah(任那)

백산학보 | 86 | 2010 | 역사학

任那諸國內 ‘加羅聯盟’의 勢力 變遷과 對外 關係

The Transition of Power of the ‘Union of Garah(加羅聯盟)’ and its Foreign Relations in the States of Imnah(任那)

백산학보 | | 86 | 2010 | 역사학

<안민가>의 정치사상

Political Ideas of

우리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안민가>의 정치사상

Political Ideas of

우리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석가탑의 황금비율

Golden Ratios of the Sakyamuni Pagoda of the Bulguksa Temple

신라문화 | 36 | 2010 | 역사학

석가탑의 황금비율

Golden Ratios of the Sakyamuni Pagoda of the Bulguksa Temple

신라문화 | | 36 | 2010 | 역사학

4~6세기 북한강 유역 고분의 특징과 축조배경 고찰

Consideration about features and construction supports of ancient tombs around North Han River in 4~6 century

고구려발해연구 | 37 | | 2010 | 한국고대사

고대 창녕지역집단의 고고학적 논의

Archeological Discussion of Ancient Changnyeong Regional Group

군사연구 | 133 | 2012 | 역사학

古代 安邊地域의 歷史文化에 대한 검토 - 북한지역 향토사 정리를 위한 하나의 시도 -

On the Ancient History and Culture of Anbyeon(安邊)

민족문화논총 | 48 | 2011 | 기타인문학

古代 安邊地域의 歷史文化에 대한 검토 - 북한지역 향토사 정리를 위한 하나의 시도 -

On the Ancient History and Culture of Anbyeon(安邊)

민족문화논총 | 48 | 2011 | 기타인문학

川前里書石 銘文의 書藝史的 考察 ― 6세기 前半 紀年銘을 중심으로

Historical Studies on Calligraphy of Inscription on the Seo-Seok(書石) in Cheonjeon-ri

서예학연구 | 16 | 2010 | 서예

川前里書石 銘文의 書藝史的 考察 ― 6세기 前半 紀年銘을 중심으로

Historical Studies on Calligraphy of Inscription on the Seo-Seok(書石) in Cheonjeon-ri

서예학연구 | | 16 | 2010 | 서예

『삼국사기』잡지의 편찬과 직관지의 체재

The Compilation of the Jabji of the Samguksagi and the format of the Jikgwanji

韓國史學報 | 41 | 2010 | 역사학

『삼국사기』잡지의 편찬과 직관지의 체재

The Compilation of the Jabji of the Samguksagi and the format of the Jikgwanji

韓國史學報 | | 41 | 2010 | 역사학

南北國時代論과 渤海 Diaspora

The Theory of the Period of South & North Countries and Balhae Diaspora

고구려발해연구 | 40 | 2011 | 한국고대사

한국 고대 목간문화의 기원에 대하여

On the Origin of Wooden Tablet Culture of Ancient Korea

진단학보 | 113 | 2011 | 역사학

4~6세기 북한강 유역 고분의 특징과 축조배경 고찰

Consideration about features and construction supports of ancient tombs around North Han River in 4~6 century

고구려발해연구 | 37 | | 2010 | 한국고대사

唐에서 再建된 百濟

Baekje Reconstructed in the Tang Domain

인문학논총 | 15 | 1 | 2010 | 기타인문학

唐에서 再建된 百濟

Baekje Reconstructed in the Tang Domain

인문학논총 | 15 | 1 | 2010 | 기타인문학

喙國(喙己呑)의 위치와 역사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location and history of Takguk

한국고대사연구 | 61 | 2011 | 한국고대사

喙國(喙己呑)의 위치와 역사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location and history of Takguk

한국고대사연구 | 61 | 2011 | 한국고대사

한국 고대 목간문화의 기원에 대하여

On the Origin of Wooden Tablet Culture of Ancient Korea

진단학보 | 113 | 2011 | 역사학

‘東’의 誕生 - 水雲 崔濟愚의 ‘東學’과 凡父 金鼎卨의 ‘東方學’ -

The Birth of East - Focus on Suun Choi Jewoo’s Donghak and Bombu Kim Jeongsol’s Dongbanghak -

양명학 | 26 | 2010 | 철학

‘東’의 誕生 - 水雲 崔濟愚의 ‘東學’과 凡父 金鼎卨의 ‘東方學’ -

The Birth of East - Focus on Suun Choi Jewoo’s Donghak and Bombu Kim Jeongsol’s Dongbanghak -

양명학 | | 26 | 2010 | 철학

古代 安邊地域의 歷史文化에 대한 검토 - 북한지역 향토사 정리를 위한 하나의 시도 -

On the Ancient History and Culture of Anbyeon(安邊)

민족문화논총 | 48 | 2011 | 기타인문학

금석문 목간 자료를 활용한 국어학계의 연구동향과 과제

活用金石文、木简资料的韩国语学界的研究动向和课题

한국고대사연구 | 57 | 2010 | 한국고대사

금석문 목간 자료를 활용한 국어학계의 연구동향과 과제

活用金石文、木简资料的韩国语学界的研究动向和课题

한국고대사연구 | | 57 | 2010 | 한국고대사

『三國遺事』 皇龍寺九層塔條에 대한 재검토와 阿非의 출자

『三國遺事』皇龍寺九層塔条についての見直しと阿非の出自

한국학논총 | 36 | 2011 | 역사이론

『三國遺事』 皇龍寺九層塔條에 대한 재검토와 阿非의 출자

『三國遺事』皇龍寺九層塔条についての見直しと阿非の出自

한국학논총 | 36 | 2011 | 역사이론

三國時代 吏讀에 대한 基礎的 論議

A basic discussion about the three kingdom age Idu

구결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기획논문】경상도지역의 산성 유적 분포도를 활용한 영남지역 삼국시대 교통로와 방어체계 검토

Review of Transportation and Defence Systems at Three Kingdom Period with Using ‘The Distribution Remains and Sites’

지역과 역사 | 26 | 2010 | 역사학

【기획논문】경상도지역의 산성 유적 분포도를 활용한 영남지역 삼국시대 교통로와 방어체계 검토

Review of Transportation and Defence Systems at Three Kingdom Period with Using ‘The Distribution Remains and Sites’

지역과 역사 | | 26 | 2010 | 역사학

신라사 연구에 있어서 ‘기마민족 이론’의 재고: 등자 및 재갈을 중심으로

A Critical Reexamination of 'Horse-rider Theory' in the Study of Silla History: Focused on Stirrups and Bits

중앙아시아연구 | 15 | 2010 | 역사학

신라사 연구에 있어서 ‘기마민족 이론’의 재고: 등자 및 재갈을 중심으로

A Critical Reexamination of 'Horse-rider Theory' in the Study of Silla History: Focused on Stirrups and Bits

중앙아시아연구 | 15 | | 2010 | 역사학

張保皐 활동지역을 중심으로 한 고구려・백제 遺民과 신라인들의 佛事活動

以张宝皋活动地域为中心看高句丽, 百济,新罗人的佛事活动

신라사학보 | 18 | 2010 | 역사학

張保皐 활동지역을 중심으로 한 고구려・백제 遺民과 신라인들의 佛事活動

以张宝皋活动地域为中心看高句丽, 百济,新罗人的佛事活动

신라사학보 | | 18 | 2010 | 역사학

新羅 移住 高句麗人의 歷史 編纂

Study on the History Compilation by Immigrants from Koguryŏ in Shilla

韓國史學史學報 | 25 | 2012 | 역사학

향가 문법 형태의 표기에 반영된 고형(古形)과 개신형(改新形)

The old and renovated grammatical morphemes that is scribed on the Shilla Hangga

동악어문학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향가 문법 형태의 표기에 반영된 고형(古形)과 개신형(改新形)

The old and renovated grammatical morphemes that is scribed on the Shilla Hangga

동악어문학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고대 전통음식의 형성과 발달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Ancient Korean Traditional Food

단군학연구 | 23 | 2010 | 기타역사학

신라사 연구에 있어서 ‘기마민족 이론’의 재고: 등자 및 재갈을 중심으로

A Critical Reexamination of 'Horse-rider Theory' in the Study of Silla History: Focused on Stirrups and Bits

중앙아시아연구 | 15 | 2010 | 역사학

신라사 연구에 있어서 ‘기마민족 이론’의 재고: 등자 및 재갈을 중심으로

A Critical Reexamination of 'Horse-rider Theory' in the Study of Silla History: Focused on Stirrups and Bits

중앙아시아연구 | 15 | | 2010 | 역사학

662년 김유신의 군량 수송작전

The Provision Transport Operations of Kim Yu-shin in 662

국방연구 | 55 | 3 | 2012 | 정책학

662년 김유신의 군량 수송작전

The Provision Transport Operations of Kim Yu-shin in 662

국방연구 | 55 | 3 | 2012 | 정책학

신라 忠義 관념의 형성과 불교의 世俗五戒

The formation of conception for Loyalty and Sesok-Ogye in Silla-dynasty

대각사상 | 17 | 2012 | 불교학

道倫의 唯識 五種姓說의 이해와 특징

Doryun’s Understanding of the Thesis of Five Spiritual Faculties and its Characteristics

철학사상 | 45 | 2012 | 철학

『三國遺事』 皇龍寺九層塔條에 대한 재검토와 阿非의 출자

『三國遺事』皇龍寺九層塔条についての見直しと阿非の出自

한국학논총 | 36 | 2011 | 역사이론

합일(合一)에의 열망과 경주(신라)의 신화적 형상화 - 김동리 장편 역사소설 「삼국기」(상편), 「대왕암」(하편)을 중심으로

A Desire for Unity and Mythical Embodiment of Gyeongju(Silla) - Focusing on Kim, Dong-Lee’s full-length historical novels - “Samgukgi” (the first volume) and “Daewangam” (the last volume)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기획논문】경상도지역의 산성 유적 분포도를 활용한 영남지역 삼국시대 교통로와 방어체계 검토

Review of Transportation and Defence Systems at Three Kingdom Period with Using ‘The Distribution Remains and Sites’

지역과 역사 | 26 | 2010 | 역사학

【기획논문】경상도지역의 산성 유적 분포도를 활용한 영남지역 삼국시대 교통로와 방어체계 검토

Review of Transportation and Defence Systems at Three Kingdom Period with Using ‘The Distribution Remains and Sites’

지역과 역사 | | 26 | 2010 | 역사학

합일(合一)에의 열망과 경주(신라)의 신화적 형상화 - 김동리 장편 역사소설 「삼국기」(상편), 「대왕암」(하편)을 중심으로

A Desire for Unity and Mythical Embodiment of Gyeongju(Silla) - Focusing on Kim, Dong-Lee’s full-length historical novels - “Samgukgi” (the first volume) and “Daewangam” (the last volume)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대 한일교섭의 가교, 거제도 -가야의 瀆盧國과 신라의 裳郡-

古代韓日交涉の架橋, 巨濟島 -加耶の瀆盧国と新羅の裳郡-

동아시아고대학 | | 22 | 2010 | 기타인문학

일제강점기(日帝強占期)(1910∼1945) 원효(元曉) 논의에 대한 예비적 고찰

日帝強占期(1910∼1945)元曉再照明に対する予備的考察

일본문화연구 | 34 | 2010 | 일본어와문학

일제강점기(日帝強占期)(1910∼1945) 원효(元曉) 논의에 대한 예비적 고찰

日帝強占期(1910∼1945)元曉再照明に対する予備的考察

일본문화연구 | | 34 | 2010 | 일본어와문학

道倫의 唯識 五種姓說의 이해와 특징

Doryun’s Understanding of the Thesis of Five Spiritual Faculties and its Characteristics

철학사상 | 45 | 2012 | 철학

고대 한일교섭의 가교, 거제도 -가야의 瀆盧國과 신라의 裳郡-

古代韓日交涉の架橋, 巨濟島 -加耶の瀆盧国と新羅の裳郡-

동아시아고대학 | | 22 | 2010 | 기타인문학

일제강점기(日帝強占期)(1910∼1945) 원효(元曉) 논의에 대한 예비적 고찰

日帝強占期(1910∼1945)元曉再照明に対する予備的考察

일본문화연구 | 34 | 2010 | 일본어와문학

일제강점기(日帝強占期)(1910∼1945) 원효(元曉) 논의에 대한 예비적 고찰

日帝強占期(1910∼1945)元曉再照明に対する予備的考察

일본문화연구 | | 34 | 2010 | 일본어와문학

최치원의「난랑비서」의 해석의 여러 쟁점 : 풍류의 현묘지도(玄妙之道)와 천지인 묘합의 삼재지도(三才之道)

Issues of interpretation on the Rhan-Lang-Bi-Seo「 鸞郞碑序」

한국조직신학논총 | 31 | 2011 | 조직신학

가야지역 고분과 고대 산성의 관계 검토 -경남·고령지역 대형 봉토분과 석축산성을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Tomb and Ancient Mountain Fortress in Gaya Region -Focusing on stone mountain fortress and large burial mound tombs in Gyeongnam, Goreyong region-

고문화 | 78 | 2011 | 역사학

≪十抄詩≫ 所載 中唐 七言律詩 硏究

Seven-character Regulated Poems of Mid-Tang in ShiChaoShi

중국학논총 | 31 | 2011 | 중국어와문학

백제 의자왕대의 정치와 對中外交 성격 검토

Diplomatic policy toward China of King Uija's Reign in Baekje

백제문화 | 1 | 47 | 2012 | 한국고대사

일본 예능의 신 스사노오와 신라와의 연관성 고찰 -이와미카구라(石見神樂)를 매개로 하여-

The association between Shilla and a Japanese god Susanoo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 70 | 3 | 2012 | 무용

安史之亂與海東地域的文化認同 -以渤海、新羅等史料為例-

Journal of korean Culture | 16 | 2011 | 현대시(국문학)

9세기 일본 상인과 섬유 제품의 유통

A study on the merchants of ancient Japan and the distribution of textile products in the ninth century

고구려발해연구 | 43 | 2012 | 한국고대사

慶山 林堂遺蹟 新羅 古墳의 殉葬者 身分 硏究 -出土 人骨의 미토콘드리아 DNA 分析을 中心으로-

A Study on the Status of the Victims of the Silla Sacrificial Burials at Imdang

한국고고학보 | 79 | 2011 | 역사학

변· 진한 및 가야· 신라의 경계-역사지도의 경계 확정을 위한 시고-

弁· 辰韩以及加耶· 新罗之境界-为划定历史地图的境界试探-

한국고대사연구 | 58 | 2010 | 한국고대사

변· 진한 및 가야· 신라의 경계-역사지도의 경계 확정을 위한 시고-

弁· 辰韩以及加耶· 新罗之境界-为划定历史地图的境界试探-

한국고대사연구 | | 58 | 2010 | 한국고대사

新羅와 倭의 교류와 인물전승의 의미 -昔于老와 朴堤上의 경우-

The Interchange between Shila and Wae [Japan] and the Meanings of the Transmission of Historical Characters-The Cases of Seok Wu-ro and Bak Jesang-

고전과 해석 | 8 | 2010 | 국문학사

新羅와 倭의 교류와 인물전승의 의미 -昔于老와 朴堤上의 경우-

The Interchange between Shila and Wae [Japan] and the Meanings of the Transmission of Historical Characters-The Cases of Seok Wu-ro and Bak Jesang-

고전과 해석 | 8 | | 2010 | 국문학사

Fathnāmah-i Sind(신드征復記)의 사료적 가치와 신라관련 부분의 분석

A Study on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Fathnāmah-i Sind and Its Analysis of Silla Parts.

중동문제연구 | 11 | 1 | 2012 | 지역학

백제 의자왕대의 정치와 對中外交 성격 검토

Diplomatic policy toward China of King Uija's Reign in Baekje

백제문화 | 1 | 47 | 2012 | 한국고대사

삼국시대 낙동강 하구의 황산진

Hwangsan−jin in the Mouth of Nakdong River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역사와 세계 | 41 | 2012 | 기타역사일반

신라에서 고려로 군현제 구성과 운영체계의 변화 -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Transformation of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from Silla through Goryeo – Focusing on Jeolla-do Area

남도문화연구 | 22 | 2012 | 기타인문학

The Failure of Baekje’s Prudential Diplomacy: Revisiting the Samguk sagi from an International Relations Perspective

Korea Journal | 50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The Failure of Baekje’s Prudential Diplomacy: Revisiting the Samguk sagi from an International Relations Perspective

Korea Journal | 50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치원의「난랑비서」의 해석의 여러 쟁점 : 풍류의 현묘지도(玄妙之道)와 천지인 묘합의 삼재지도(三才之道)

Issues of interpretation on the Rhan-Lang-Bi-Seo「 鸞郞碑序」

한국조직신학논총 | 31 | 2011 | 조직신학

삼국시대 낙동강 하구의 황산진

Hwangsan−jin in the Mouth of Nakdong River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역사와 세계 | 41 | 2012 | 기타역사일반

처용무와 기온마쓰리의 연관성 고찰-신라와 하타씨를 중심으로-

affinity Investigation of Cheoyongmu and Gion Mathuri: Focused on sinra and hatasi

비교일본학 | 25 | 2011 | 일본문화학

韓國古代瓦當의 毁棄樣相 檢討

A Study of Aspects of Intentionally Damaged Ancient Roof-end Tiles

韓國史學報 | 43 | 2011 | 역사학

高句麗와 新羅 미술이 공존하는 榮州 順興의 邑內里壁畵古墳과 台庄里 於宿墓

Eumnae-ri (邑內里) Mural Tomb and Taejang-ri (台庄里) Tomb of Eosuk (於宿墓) in Sunheung, Yeongju Where Goguryeo and Silla Fine Arts Co-exist

미술자료 | 79 | 2010 | 미술사

조선조 지식인들의 신라인식과 시적 형상화

Recognition about Silla and poetic imagery by intelligentsia in Chosu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2010 | 한문비평

조선조 지식인들의 신라인식과 시적 형상화

Recognition about Silla and poetic imagery by intelligentsia in Chosu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 2010 | 한문비평

불교의 緣起論으로 본 서정주의 시

The Poetry of Seo Jeong-Ju in terms of Buddhist philosophy of Karma

우리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불교의 緣起論으로 본 서정주의 시

The Poetry of Seo Jeong-Ju in terms of Buddhist philosophy of Karma

우리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慶州地域 古代 鐵鏃 硏究

A Study on the Ancient Iron Arrowhead of Gyeongju Region

경주사학 | 31 | 2010 | 기타인문학

慶州地域 古代 鐵鏃 硏究

A Study on the Ancient Iron Arrowhead of Gyeongju Region

경주사학 | | 31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조 지식인들의 신라인식과 시적 형상화

Recognition about Silla and poetic imagery by intelligentsia in Chosu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2010 | 한문비평

조선조 지식인들의 신라인식과 시적 형상화

Recognition about Silla and poetic imagery by intelligentsia in Chosu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 2010 | 한문비평

慶州地域 古代 鐵鏃 硏究

A Study on the Ancient Iron Arrowhead of Gyeongju Region

경주사학 | 31 | 2010 | 기타인문학

慶州地域 古代 鐵鏃 硏究

A Study on the Ancient Iron Arrowhead of Gyeongju Region

경주사학 | | 31 | 2010 | 기타인문학

불교의 緣起論으로 본 서정주의 시

The Poetry of Seo Jeong-Ju in terms of Buddhist philosophy of Karma

우리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불교의 緣起論으로 본 서정주의 시

The Poetry of Seo Jeong-Ju in terms of Buddhist philosophy of Karma

우리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6세기 말∼7세기 고구려 지배세력의 대외인식과 대외정책

The foreign relations realization of Koguryo governing power between the late 6th and 7th centuries

민족문화 | 37 | 37 | 2011 | 기타인문학

1950~60년대 서정주 시 연구 - ‘신라’의 신화적 의미를 중심으로-

A study on Suh Jung-Joo's poetry in the 1950~60s

한국언어문학 | 76 | 2011 | 한국어와문학

百濟의 加耶 進出과 ‘泗沘會議’

The Advance of Baekje into Gaya and‘Conference of Sabi’

백제연구 | 55 | 2012 | 역사학

일본 오키의 지역전승에 나타난 한국상

日本隠岐の地域傳承に現れた韓國像

일어일문학연구 | 82 | 2 | 2012 | 일본어와문학

新羅의 觀音信仰과 바다

The Association of the Sea with the Avalokitesvara-faith(Kwan-eum faith) during the Silla Dynasty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新羅의 觀音信仰과 바다

The Association of the Sea with the Avalokitesvara-faith(Kwan-eum faith) during the Silla Dynasty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

제3장 한국의 호국불교 : 그 역할과 과제

The Korean State-Protection Buddhism : Its Contributions and Tasks

민족사상 | 4 | 2 | 2010 | 한국정치사상

제3장 한국의 호국불교 : 그 역할과 과제

The Korean State-Protection Buddhism : Its Contributions and Tasks

민족사상 | 4 | 2 | 2010 | 한국정치사상

제3장 한국의 호국불교 : 그 역할과 과제

The Korean State-Protection Buddhism : Its Contributions and Tasks

민족사상 | 4 | 2 | 2010 | 한국정치사상

제3장 한국의 호국불교 : 그 역할과 과제

The Korean State-Protection Buddhism : Its Contributions and Tasks

민족사상 | 4 | 2 | 2010 | 한국정치사상

新羅의 觀音信仰과 바다

The Association of the Sea with the Avalokitesvara-faith(Kwan-eum faith) during the Silla Dynasty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新羅의 觀音信仰과 바다

The Association of the Sea with the Avalokitesvara-faith(Kwan-eum faith) during the Silla Dynasty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

고대 페르시아 서사시 쿠쉬나메(Kush-nameh)의 발굴과 신라 관련 내용

A Preliminary Study on KUSH-NAMEH, an Ancient Persian Epic and Its Description on Silla

한국이슬람학회논총 | 20 | 3 | 2010 | 종교학

고대 페르시아 서사시 쿠쉬나메(Kush-nameh)의 발굴과 신라 관련 내용

A Preliminary Study on KUSH-NAMEH, an Ancient Persian Epic and Its Description on Silla

한국이슬람학회논총 | 20 | 3 | 2010 | 종교학

慶山 林堂遺蹟 新羅 古墳의 殉葬者 身分 硏究 -出土 人骨의 미토콘드리아 DNA 分析을 中心으로-

A Study on the Status of the Victims of the Silla Sacrificial Burials at Imdang

한국고고학보 | 79 | 2011 | 역사학

高麗時代 佛事 담당 ‘都監’의 조직과 특징

The Organization and Characteristics of ‘Dogam’ that Manages A Buddhist Service in the Goryeo Dynasty

역사교육 | 121 | 2012 | 역사학

高句麗와 新羅 미술이 공존하는 榮州 順興의 邑內里壁畵古墳과 台庄里 於宿墓

Eumnae-ri (邑內里) Mural Tomb and Taejang-ri (台庄里) Tomb of Eosuk (於宿墓) in Sunheung, Yeongju Where Goguryeo and Silla Fine Arts Co-exist

미술자료 | 79 | 2010 | 미술사

페르시아의 대표 서사시 샤나메 구조에서 본 쿠쉬나메 등장인물 분석

A Study on the Kushnameh Epic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Shahnameh

한국이슬람학회논총 | 22 | 1 | 2012 | 종교학

신라는 왜, 화랑제를 창제하였는가? : 군사·정치·윤리·종교정책을 통해본 花郞制 체육교육정책의 意義

Why did Silla's royal family create Hwarang system? -The Significance of the Hwarang system found in the military, political, ethical and religious Policies of Silla

한국체육정책학회지 | 9 | 3 | 2011 | 체육사

고대 페르시아 서사시 쿠쉬나메(Kush-nameh)의 발굴과 신라 관련 내용

A Preliminary Study on KUSH-NAMEH, an Ancient Persian Epic and Its Description on Silla

한국이슬람학회논총 | 20 | 3 | 2010 | 종교학

고대 페르시아 서사시 쿠쉬나메(Kush-nameh)의 발굴과 신라 관련 내용

A Preliminary Study on KUSH-NAMEH, an Ancient Persian Epic and Its Description on Silla

한국이슬람학회논총 | 20 | 3 | 2010 | 종교학

아이덴티티의 장소로서의 경주

Kyongju as a Place of Identity

한국문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아이덴티티의 장소로서의 경주

Kyongju as a Place of Identity

한국문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라(BC 57~AD 935)의 풍류도와 한철학

Han philosophy and Pung Ryu philosophy of the Silla(BC 57~AD935)

세계헌법연구 | 16 | 3 | 2010 | 법학

신라(BC 57~AD 935)의 풍류도와 한철학

Han philosophy and Pung Ryu philosophy of the Silla(BC 57~AD935)

세계헌법연구 | 16 | 3 | 2010 | 법학

Fathnāmah-i Sind(신드征復記)의 사료적 가치와 신라관련 부분의 분석

A Study on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Fathnāmah-i Sind and Its Analysis of Silla Parts.

중동문제연구 | 11 | 1 | 2012 | 지역학

성왕 초기 가야 지역의 상황과 백제의 대응

The Conditions of Gaya Region and Reaction of Baekje in Early Period of King Sung

한국사상과 문화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성왕 초기 가야 지역의 상황과 백제의 대응

The Conditions of Gaya Region and Reaction of Baekje in Early Period of King Sung

한국사상과 문화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장수왕의 외교정책: 고구려 “자주외교”의 두 얼굴

Foreign Policy of King Jangsu of Goguryeo: Two faces of Goguryeo's Independent Diplomacy

국제정치논총 | 50 | 2 | 2010 | 정치외교학

장수왕의 외교정책: 고구려 “자주외교”의 두 얼굴

Foreign Policy of King Jangsu of Goguryeo: Two faces of Goguryeo's Independent Diplomacy

국제정치논총 | 50 | 2 | 2010 | 정치외교학

660년 신라와 백제의 국경선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Border Line between Silla and Baekje in 660

신라사학보 | 20 | 2010 | 역사학

660년 신라와 백제의 국경선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Border Line between Silla and Baekje in 660

신라사학보 | | 20 | 2010 | 역사학

泉州與新羅·高麗關係歷史文化遺存

Historical and Cultural Relics in Exchanges between Quanzhou and Silla/Koryo

『도서문화』 | 36 | 2010 | 기타인문학

泉州與新羅·高麗關係歷史文化遺存

Historical and Cultural Relics in Exchanges between Quanzhou and Silla/Koryo

『도서문화』 | | 36 | 2010 | 기타인문학

宋代泉州与日本的海路贸易 以外销陶瓷为例

Overseas Trade between Quanzhou and Japan in the Song Dynasty —A Case Study of Export Ceramics—

『도서문화』 | 36 | 2010 | 기타인문학

宋代泉州与日本的海路贸易 以外销陶瓷为例

Overseas Trade between Quanzhou and Japan in the Song Dynasty —A Case Study of Export Ceramics—

『도서문화』 | | 36 | 2010 | 기타인문학

신라 나무인형사자 고찰

A Study of the Shilla's Wooden Lion

이사부와 동해 | 1 | 2010 | 역사학

신라 나무인형사자 고찰

A Study of the Shilla's Wooden Lion

이사부와 동해 | 1 | | 2010 | 역사학

소선 태자의 이방 체험으로 본 <육미당기>

The Experience of a Foreign Land and a Foreign Existence Depicted in the Novel Yukmidanggi

韓國古典硏究 | 25 | 2012 | 고전산문

泉州與新羅·高麗關係歷史文化遺存

Historical and Cultural Relics in Exchanges between Quanzhou and Silla/Koryo

『도서문화』 | 36 | 2010 | 기타인문학

泉州與新羅·高麗關係歷史文化遺存

Historical and Cultural Relics in Exchanges between Quanzhou and Silla/Koryo

『도서문화』 | | 36 | 2010 | 기타인문학

황룡사지 출토 불교조각

Buddhist Statues Discovered at Hwangryongsa Site

신라사학보 | 23 | 2011 | 역사학

加耶·新羅古墳의 年代觀

The chronological standpoint of Gaya·Silla tombs

고고광장 | 9 | 2011 | 기타고고학

高句麗 平原王代 南進과 遣倭使

Declining Northern Qi and Koguryo Sent a Envoy to Wa(倭)

역사와 세계 | 41 | 2012 | 기타역사일반

고대 동해안 지역의 정치적 동향과 우산국

신라문화 | 39 | 2012 | 역사학

성왕 초기 가야 지역의 상황과 백제의 대응

The Conditions of Gaya Region and Reaction of Baekje in Early Period of King Sung

한국사상과 문화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성왕 초기 가야 지역의 상황과 백제의 대응

The Conditions of Gaya Region and Reaction of Baekje in Early Period of King Sung

한국사상과 문화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등학교 역사교과서의 나당전쟁 서술과 개선 방향

The Description Realities and Improving Direction in the Silla-Tang War of History Textbook

역사교육 | 120 | 2011 | 역사학

장수왕의 외교정책: 고구려 “자주외교”의 두 얼굴

Foreign Policy of King Jangsu of Goguryeo: Two faces of Goguryeo's Independent Diplomacy

국제정치논총 | 50 | 2 | 2010 | 정치외교학

장수왕의 외교정책: 고구려 “자주외교”의 두 얼굴

Foreign Policy of King Jangsu of Goguryeo: Two faces of Goguryeo's Independent Diplomacy

국제정치논총 | 50 | 2 | 2010 | 정치외교학

고대 동해안 지역의 정치적 동향과 우산국

신라문화 | 39 | 2012 | 역사학

신라 나무인형사자 고찰

A Study of the Shilla's Wooden Lion

이사부와 동해 | 1 | 2010 | 역사학

신라 나무인형사자 고찰

A Study of the Shilla's Wooden Lion

이사부와 동해 | 1 | | 2010 | 역사학

6세기 초 고구려 ` 신라의 화약과 정계 -「중원 고구려비」와 양국 경계의 재검토 -

역사와 현실 | 76 | 2010 | 역사학

6세기 초 고구려 ` 신라의 화약과 정계 -「중원 고구려비」와 양국 경계의 재검토 -

역사와 현실 | | 76 | 2010 | 역사학

신라는 왜, 화랑제를 창제하였는가? : 군사·정치·윤리·종교정책을 통해본 花郞制 체육교육정책의 意義

Why did Silla's royal family create Hwarang system? -The Significance of the Hwarang system found in the military, political, ethical and religious Policies of Silla

한국체육정책학회지 | 9 | 3 | 2011 | 체육사

660년 신라와 백제의 국경선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Border Line between Silla and Baekje in 660

신라사학보 | 20 | 2010 | 역사학

660년 신라와 백제의 국경선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Border Line between Silla and Baekje in 660

신라사학보 | | 20 | 2010 | 역사학

新羅 中古期 里坊制의 受容과 王京의 中心軸線

The Embracement of Administrative District System of Ri-bang(the Capital area system, 里坊制) and Pivot-line of the Capital City in Medieval Period(中古期) Silla Dynasty

선사와 고대 | 32 | 2010 | 역사학

新羅 中古期 里坊制의 受容과 王京의 中心軸線

The Embracement of Administrative District System of Ri-bang(the Capital area system, 里坊制) and Pivot-line of the Capital City in Medieval Period(中古期) Silla Dynasty

선사와 고대 | | 32 | 2010 | 역사학

신라(BC 57~AD 935)의 풍류도와 한철학

Han philosophy and Pung Ryu philosophy of the Silla(BC 57~AD935)

세계헌법연구 | 16 | 3 | 2010 | 법학

신라(BC 57~AD 935)의 풍류도와 한철학

Han philosophy and Pung Ryu philosophy of the Silla(BC 57~AD935)

세계헌법연구 | 16 | 3 | 2010 | 법학

황룡사지 출토 불교조각

Buddhist Statues Discovered at Hwangryongsa Site

신라사학보 | 23 | 2011 | 역사학

加耶·新羅古墳의 年代觀

The chronological standpoint of Gaya·Silla tombs

고고광장 | 9 | 2011 | 기타고고학

중등학교 역사교과서의 나당전쟁 서술과 개선 방향

The Description Realities and Improving Direction in the Silla-Tang War of History Textbook

역사교육 | 120 | 2011 | 역사학

新羅高麗時代書法資料輯注

신라·고려시대 서예 자료 집주

한국학논집 | 45 | 2011 | 기타인문학

신라 郡縣 중심지의 공간 구조와 地方官衙의 위치-尙·良·康州를 중심으로-

The Structure of the Central Place and the Location of the Governing Office of Silla's Gun-Hyeon

한국고대사연구 | 59 | 2010 | 한국고대사

신라 郡縣 중심지의 공간 구조와 地方官衙의 위치-尙·良·康州를 중심으로-

The Structure of the Central Place and the Location of the Governing Office of Silla's Gun-Hyeon

한국고대사연구 | | 59 | 2010 | 한국고대사

浙東 연해안에서 新羅人의 수로교통 -수로 유적과 지명을 중심으로-

Transportation Places of historic interests for people of Silla(新羅) to broad through Zhedong(浙東) watercourse

신라문화 | 35 | 2010 | 역사학

浙東 연해안에서 新羅人의 수로교통 -수로 유적과 지명을 중심으로-

Transportation Places of historic interests for people of Silla(新羅) to broad through Zhedong(浙東) watercourse

신라문화 | | 35 | 2010 | 역사학

新羅 麻立干時期 對倭戰爭의 影響 -對外關係의 變化와 國防政策의 强化를 중심으로-

Influences in War with Wae(倭) at the Times of the Maripgan(麻立干) Kings of Silla(新羅) -with Special Focus on Changes in Foreign Relations and Bolstering the Military-

한국사연구 | 150 | 2010 | 역사학

新羅 麻立干時期 對倭戰爭의 影響 -對外關係의 變化와 國防政策의 强化를 중심으로-

Influences in War with Wae(倭) at the Times of the Maripgan(麻立干) Kings of Silla(新羅) -with Special Focus on Changes in Foreign Relations and Bolstering the Military-

한국사연구 | | 150 | 2010 | 역사학

7世紀 羅唐關係의 始末

The Whole Story about the Silla-Tang Relation in the 7th Century

영남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신라시대 불교금석문에 나타난 변체한문의 성격과 그 의미

Characteristics of the Text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 Epigraphs in the Silla Period and their Implications

불교학연구 | 32 | 2012 | 불교학

북한강 유역 신라 郡縣의 형성과 구조

The Formation and the Structure of Silla’s Gun-Hyeons in North Han River Valley

漢文古典硏究 | 22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신라의 남부가야 진출과 일본열도 왜의 대응

新羅の南部加耶への進出と日本列島倭の對應

지역과 역사 | 29 | 2011 | 역사학

浙東 연해안에서 新羅人의 수로교통 -수로 유적과 지명을 중심으로-

Transportation Places of historic interests for people of Silla(新羅) to broad through Zhedong(浙東) watercourse

신라문화 | 35 | 2010 | 역사학

浙東 연해안에서 新羅人의 수로교통 -수로 유적과 지명을 중심으로-

Transportation Places of historic interests for people of Silla(新羅) to broad through Zhedong(浙東) watercourse

신라문화 | | 35 | 2010 | 역사학

여주지역 신라 고분의 특징과 성격 고찰

A Study of Features and Character the Silla periods Tomb in YeoJu

백산학보 | 86 | 2010 | 역사학

여주지역 신라 고분의 특징과 성격 고찰

A Study of Features and Character the Silla periods Tomb in YeoJu

백산학보 | | 86 | 2010 | 역사학

신라의 알영 전승 의미와 시조묘

역사와 현실 | 76 | 2010 | 역사학

신라의 알영 전승 의미와 시조묘

역사와 현실 | | 76 | 2010 | 역사학

당대 문인의 신라 인식 ― 당시 속에 나타난 신라 관련 시를 중심으로

중국학논총 | 36 | 2012 | 중국어와문학

북한강 유역 신라 郡縣의 형성과 구조

The Formation and the Structure of Silla’s Gun-Hyeons in North Han River Valley

漢文古典硏究 | 22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신라시대 불교금석문에 나타난 변체한문의 성격과 그 의미

Characteristics of the Text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 Epigraphs in the Silla Period and their Implications

불교학연구 | 32 | 2012 | 불교학

신라의 건국신화와 閼英

Founding Myth of Silla and Aryeong

신라사학보 | 23 | 2011 | 역사학

「安民歌」 창작의 시대적 배경 -安史의 亂과 渤海·日本의 新羅침공계획-

Anmin song & Shilla People

우리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백제 聖王의 죽음과 신라의 ‘國法’

The Death of King Seong of Baekje and the National Law of Shilla

백제문화 | 1 | 47 | 2012 | 한국고대사

新羅 王京의 里坊區劃 및 範圍에 대한 연구 현황과 과제

신라문화 | 40 | 40 | 2012 | 역사학

朴·昔·金 시조신화의 대비를 통화 본 新羅 始祖 관념의 형성 단서

신라문화 | 40 | 40 | 2012 | 역사학

6세기 초 筑紫國 이와이[磐井]의 난과 신라

The Connection between Silla and the Iwai Rebellion in Tsukushi Province during the Early Sixth-century Japan

신라사학보 | 25 | 2012 | 역사학

신라의 6村과 山嶽祭祀

Six Chons in Silla and Rites of Mountains

신라사학보 | 23 | 2011 | 역사학

新羅 景文王代의 政局運營과 災異

신라문화 | 39 | 2012 | 역사학

『삼국사기』 열전에 보이는 4~5세기 신라인의 활약상

Great Activities of the Silla's Heroes during the 4th~5th Century shown in the Bibliography Part of Samguksagi

신라문화 | 38 | 2011 | 역사학

여주지역 신라 고분의 특징과 성격 고찰

A Study of Features and Character the Silla periods Tomb in YeoJu

백산학보 | 86 | 2010 | 역사학

여주지역 신라 고분의 특징과 성격 고찰

A Study of Features and Character the Silla periods Tomb in YeoJu

백산학보 | | 86 | 2010 | 역사학

新羅 中古期 里坊制의 受容과 王京의 中心軸線

The Embracement of Administrative District System of Ri-bang(the Capital area system, 里坊制) and Pivot-line of the Capital City in Medieval Period(中古期) Silla Dynasty

선사와 고대 | 32 | 2010 | 역사학

新羅 中古期 里坊制의 受容과 王京의 中心軸線

The Embracement of Administrative District System of Ri-bang(the Capital area system, 里坊制) and Pivot-line of the Capital City in Medieval Period(中古期) Silla Dynasty

선사와 고대 | | 32 | 2010 | 역사학

新羅 加耶古墳의 曆年代

The absolute date of Shilla Gaya Tombs

한국상고사학보 | 69 | 69 | 2010 | 역사학

新羅 加耶古墳의 曆年代

The absolute date of Shilla Gaya Tombs

한국상고사학보 | 69 | 69 | 2010 | 역사학

신라 선도성모 전승의 역사적 의미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myth of Silla's SeondoSeongmo

사학연구 | 99 | 2010 | 역사학

신라 선도성모 전승의 역사적 의미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myth of Silla's SeondoSeongmo

사학연구 | | 99 | 2010 | 역사학

新羅의 大加耶 복속 과정에 대한 재검토

A re-examination on the process of Silla's subjugation of Daegaya

한국사연구 | 155 | 2011 | 역사학

新羅의 大加耶 복속 과정에 대한 재검토

A re-examination on the process of Silla's subjugation of Daegaya

한국사연구 | 155 | 2011 | 역사학

新羅의 軍事 編制單位와 編成規模

The Military Organization Unit and Organization Size of the Silla Kingdom

역사교육논집 | 46 | 2011 | 역사학

蔚山의 海港都市的 성격과 國際港路 -신라와 관련하여-

Ul-san's characteristics as 'sea-port city' and international sea routes-In relation with Silla

한일관계사연구 | 38 | 2011 | 역사학

신라 中代의 唐 사신 영접 절차와 운용

The Receptionand Management of Envoys from Tan China during the Mid-Silla Period

한국사연구 | 153 | 2011 | 역사학

신라의 남부가야 진출과 일본열도 왜의 대응

新羅の南部加耶への進出と日本列島倭の對應

지역과 역사 | 29 | 2011 | 역사학

중부지방 신라 유적의 연구 및 조사현황과 성격 고찰-서울․경기․강원지역을 중심으로-

Temporal and spatial identity of Silla culture in middle districts -Centering around Seoul, Gyeonggi, Gangwon area(districts)-

문화사학 | 36 | 2011 | 문화사(역사학)

新羅 古式수막새의 製作技法과 系統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Lineage of Shilla Old Style Roof-End Tiles in Gyeongju

한국상고사학보 | 70 | 70 | 2010 | 역사학

新羅 古式수막새의 製作技法과 系統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Lineage of Shilla Old Style Roof-End Tiles in Gyeongju

한국상고사학보 | 70 | 70 | 2010 | 역사학

신라의 6村과 山嶽祭祀

Six Chons in Silla and Rites of Mountains

신라사학보 | 23 | 2011 | 역사학

신라 郡縣 중심지의 공간 구조와 地方官衙의 위치-尙·良·康州를 중심으로-

The Structure of the Central Place and the Location of the Governing Office of Silla's Gun-Hyeon

한국고대사연구 | 59 | 2010 | 한국고대사

신라 郡縣 중심지의 공간 구조와 地方官衙의 위치-尙·良·康州를 중심으로-

The Structure of the Central Place and the Location of the Governing Office of Silla's Gun-Hyeon

한국고대사연구 | | 59 | 2010 | 한국고대사

皇龍寺址 東西 金堂址와 講堂址의 불상봉안 여부와 존상명

The Enshrinement and the Names of Buddhist Statues in the Eastern and Western Golden Halls and the Lecture Hall in Hwangnyongsa Remains

신라사학보 | 23 | 2011 | 역사학

新羅 景文王代의 政局運營과 災異

신라문화 | 39 | 2012 | 역사학

6세기 초 筑紫國 이와이[磐井]의 난과 신라

The Connection between Silla and the Iwai Rebellion in Tsukushi Province during the Early Sixth-century Japan

신라사학보 | 25 | 2012 | 역사학

蔚山의 海港都市的 성격과 國際港路 -신라와 관련하여-

Ul-san's characteristics as 'sea-port city' and international sea routes-In relation with Silla

한일관계사연구 | 38 | 2011 | 역사학

『삼국사기』 열전에 보이는 4~5세기 신라인의 활약상

Great Activities of the Silla's Heroes during the 4th~5th Century shown in the Bibliography Part of Samguksagi

신라문화 | 38 | 2011 | 역사학

중부지방 신라 유적의 연구 및 조사현황과 성격 고찰-서울․경기․강원지역을 중심으로-

Temporal and spatial identity of Silla culture in middle districts -Centering around Seoul, Gyeonggi, Gangwon area(districts)-

문화사학 | 36 | 2011 | 문화사(역사학)

신라 中代의 唐 사신 영접 절차와 운용

The Receptionand Management of Envoys from Tan China during the Mid-Silla Period

한국사연구 | 153 | 2011 | 역사학

7世紀 羅唐關係의 始末

The Whole Story about the Silla-Tang Relation in the 7th Century

영남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신라정신'의 특징 거론에 대한 성찰

A Reflect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irit of Silla

국학연구 | 20 | 2012 | 기타인문학

'신라정신'의 특징 거론에 대한 성찰

A Reflect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irit of Silla

국학연구 | 20 | 2012 | 기타인문학

<迎日冷水里新羅碑>의 書風 연구

A Study of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 Yeongilnangsurisillabi

서예학연구 | 20 | 2012 | 서예

新羅의 軍事 編制單位와 編成規模

The Military Organization Unit and Organization Size of the Silla Kingdom

역사교육논집 | 46 | 2011 | 역사학

<迎日冷水里新羅碑>의 書風 연구

A Study of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 Yeongilnangsurisillabi

서예학연구 | 20 | 2012 | 서예

新羅 月城의 空間構造 認識에 대한 再檢討

A Review of Understandings on Spatial Structure of Silla Wolseong Castle

史叢(사총) | 71 | 2010 | 기타역사일반

新羅 月城의 空間構造 認識에 대한 再檢討

A Review of Understandings on Spatial Structure of Silla Wolseong Castle

史叢(사총) | | 71 | 2010 | 기타역사일반

朴·昔·金 시조신화의 대비를 통화 본 新羅 始祖 관념의 형성 단서

신라문화 | 40 | 40 | 2012 | 역사학

朴·昔·金 시조신화의 대비를 통화 본 新羅 始祖 관념의 형성 단서

신라문화 | 40 | 40 | 2012 | 역사학

백제 聖王의 죽음과 신라의 ‘國法’

The Death of King Seong of Baekje and the National Law of Shilla

백제문화 | 1 | 47 | 2012 | 한국고대사

신라의 건국신화와 閼英

Founding Myth of Silla and Aryeong

신라사학보 | 23 | 2011 | 역사학

신라시대 불교금석문에 나타난 변체한문의 성격과 그 의미

Characteristics of the Text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 Epigraphs in the Silla Period and their Implications

불교학연구 | 32 | 2012 | 불교학

新羅高麗時代書法資料輯注

신라·고려시대 서예 자료 집주

한국학논집 | 45 | 2011 | 기타인문학

新羅 王京의 里坊區劃 및 範圍에 대한 연구 현황과 과제

신라문화 | 40 | 40 | 2012 | 역사학

신라 선도성모 전승의 역사적 의미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myth of Silla's SeondoSeongmo

사학연구 | 99 | 2010 | 역사학

신라 선도성모 전승의 역사적 의미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myth of Silla's SeondoSeongmo

사학연구 | | 99 | 2010 | 역사학

新羅 麻立干時期 對倭戰爭의 影響 -對外關係의 變化와 國防政策의 强化를 중심으로-

Influences in War with Wae(倭) at the Times of the Maripgan(麻立干) Kings of Silla(新羅) -with Special Focus on Changes in Foreign Relations and Bolstering the Military-

한국사연구 | 150 | 2010 | 역사학

新羅 麻立干時期 對倭戰爭의 影響 -對外關係의 變化와 國防政策의 强化를 중심으로-

Influences in War with Wae(倭) at the Times of the Maripgan(麻立干) Kings of Silla(新羅) -with Special Focus on Changes in Foreign Relations and Bolstering the Military-

한국사연구 | | 150 | 2010 | 역사학

新羅 月城의 空間構造 認識에 대한 再檢討

A Review of Understandings on Spatial Structure of Silla Wolseong Castle

史叢(사총) | 71 | 2010 | 기타역사일반

新羅 月城의 空間構造 認識에 대한 再檢討

A Review of Understandings on Spatial Structure of Silla Wolseong Castle

史叢(사총) | | 71 | 2010 | 기타역사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