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대사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클래스 : 변천/과정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141

STNet ID : 1000990

한자 : 韓國古代史
영어 : Ancient History of Korea

b02-04 변천/과정

d01-03 분과학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한국사 [ 韓國史 ]

N1:종류

hasKind (종류)

 

 

삼국사 (한국) [ 三國史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신단실기 () [ 神壇實記 ]

RT (관련어)

 

x01-02 국가명 국가명

고조선 () [ 古朝鮮 ]

RT (관련어)

 

 

백제사 연구 ()

RT (관련어)

 

 

신라사 연구 ()

RT (관련어)

 

x02-01 시대 시대

통일신라시대 (669-891) [ 統一新羅時代 ]

RT (관련어)

 

x01-02 국가명 국가명

신라 () [ 新羅 ]

RT (관련어)

 

x01-02 국가명 국가명

백제 () [ 百濟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한국 중세사 [ 韓國中世史 ]

An Introductory Study of the “Annals of Koguryŏ” in the Samguk Sagi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 15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중학교 『역사』(상)의 古代史 서술체계와 내용을 통해 본 韓國古代史像

A Review of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 in Terms of Ancient Korean History and Its Structural Framework

동국사학 | 51 | 2011 | 역사학

Goguryeo Buddhism: An Imported Religion in a Multi-ethnic Warrior Kingdom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 15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고대사 연구의 회고와 과제

Reflection and Future Guidance of a Study of Korean Ancient History

한국학논총 | 33 | 2010 | 역사이론

한국고대사 연구의 회고와 과제

Reflection and Future Guidance of a Study of Korean Ancient History

한국학논총 | 33 | | 2010 | 역사이론

한국고대사 관련 中國 金石文 조사 연구 -唐代 자료를 중심으로-

对韩国古代史相关联的中国金石文的调查研究 - 以唐代资料为中心 -

사학연구 | 97 | 2010 | 역사학

한국고대사 관련 中國 金石文 조사 연구 -唐代 자료를 중심으로-

对韩国古代史相关联的中国金石文的调查研究 - 以唐代资料为中心 -

사학연구 | | 97 | 2010 | 역사학

일제강점기 일본인 연구자의 신라 초기불교 연구

Japanese Studies on Early Silla Buddhism during the Colonial period

신라사학보 | 19 | 2010 | 역사학

일제강점기 일본인 연구자의 신라 초기불교 연구

Japanese Studies on Early Silla Buddhism during the Colonial period

신라사학보 | | 19 | 2010 | 역사학

서양 학계의 한국 고대불교사 연구

Western Scholarship on Ancient Korean Buddhism

신라사학보 | 21 | 2011 | 역사학

『이재난고』를 통해 본 황윤석의 한국 고대사 서술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Hwang Yun-seok's Description Type about Korean Ancient History through Ijaenango

전북사학 | 40 | 2012 | 역사학

서구학계와 한국학계의 한국 고대사연구 ―영어권 학자의 한국 삼국시대사 사료의 해석을 중심으로 ―

Studies on Ancient Korean History in the West: Focussing on the Interpretation of material of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English Language Scholarship

아시아문화연구 | 22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