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연구분야 : A020200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클래스 : 변천/과정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183

STNet ID : 1000992

한자 : 韓國史

b02-04 변천/과정

d01-03 분과학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한국 사학

UF (비우선어)

 

 

한국 역사학 [ 韓國歷史學 ]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동양사 [ 東洋史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고구려사 () [ 高句麗史 ]

hasBranch (분기/분과)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한국 근현대사 [ 韓國近現代史 ]

hasBranch (분기/분과)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한국 근대사 [ 韓國近代史 ]

hasBranch (분기/분과)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한국 고대사 () [ 韓國古代史 ]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한국학 [ 韓國學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한국 문화사 [ 韓國文化史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역사학회 [ 歷史學會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5-03 정책(제도)명 정책(제도)명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韓國史能力檢定試驗 ]

‘事大’와 ‘交隣’과 ‘小中華’라는 틀의 초시간적인 그리고 초공간적인 맥락

The Trans-temporal and Trans-spatial Contexts of “Sadae", “Kyorin", and “Sojunghwa" as the Historical Frameworks of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韓國史學報 | 42 | 2011 | 역사학

과학이라는 전통의 창출과 홍이섭의 조선시대 과학사 연구

Inventing a Scientific Tradition in Korean History: Hong Yi-Sup’s Historiography of Chosŏn

역사교육 | 118 | 2011 | 역사학

국사교육에서 조선시대사의 편제와 내용구성

The Formation and Construction of Joseon Era-Related Content in Korean History Education

역사교육 | 123 | 2012 | 역사학

고등학교 한국사 관련 교과서에 나타난 천주교회사 서술

Descriptions of Korean Catholic History in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교회사연구 | 36 | 2011 | 교회사

중학교 역사 과목 구성의 개념적 틀 검토: 한국사와 세계사 연계/통합 내러티브들에 접근하는 방안과 문제

Conceptual Frameworks for Structuring ‘History’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역사교육 | 120 | 2011 | 역사학

중등 역사 교육과정 개발의 현안과 역사교육 개선 방안

Current Issues in the Secondary Level History Curriculum Development and History Education Enhancement

역사교육 | 120 | 2011 | 역사학

집합지성보다는 커뮤니티?: 한국사의 맥락에서 본 인터넷 문화의 특징

Collective Intelligence or Communities?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Internet Culture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 27 | 4 | 2010 | 사회과학일반

집합지성보다는 커뮤니티?: 한국사의 맥락에서 본 인터넷 문화의 특징

Collective Intelligence or Communities?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Internet Culture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 27 | 4 | 2010 | 사회과학일반

『한국사』 교과서에서 동아시아의 역사와 역사교육-한국 근현대사를 중심으로

The History of East Asia and History Education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Sections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

한일관계사연구 | 40 | 2011 | 역사학

『한국사』 교과서 편향성 논란과 교육과정 개정 일정의 문제점

한국사연구 | 153 | 2011 | 역사학

고등학교<한국사> 교육과정 편성과 교과서검정의양상

Organization of Highschool‘ Korean History’Curriculum and Aspects of‘ Korean History’Textbook Approval

역사교육연구 | 12 | 2010 | 역사교육

고등학교<한국사> 교육과정 편성과 교과서검정의양상

Organization of Highschool‘ Korean History’Curriculum and Aspects of‘ Korean History’Textbook Approval

역사교육연구 | | 12 | 2010 | 역사교육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Imagining the Chosŏn Period and the Construction of “Korean History(kuksa)”

사이間SAI | 8 | 2010 | 기타국문학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Imagining the Chosŏn Period and the Construction of “Korean History(kuksa)”

사이間SAI | | 8 | 2010 | 기타국문학

朝-美 修交 이전 서양인들의 한국 역사 서술

Westerners’ Description of Korean History before the Joseon-US Treaty

한국사연구 | 148 | 2010 | 역사학

朝-美 修交 이전 서양인들의 한국 역사 서술

Westerners’ Description of Korean History before the Joseon-US Treaty

한국사연구 | | 148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