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사

연구분야 : A020300 인문학 > 역사학 > 동양사

클래스 : 변천/과정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589

STNet ID : 2000270

한자 : 東洋史
영어 : Oriental history

b02-04 변천/과정

d01-03 분과학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동양 역사 [ 東洋歷史 ]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세계사 () [ 世界史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일본사 [ 日本史 ]

hasBranch (분기/분과)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중국사 [ 中國史 ]

hasBranch (분기/분과)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인도사 [ 印度史 ]

hasBranch (분기/분과)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한국사 [ 韓國史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역사학회 [ 歷史學會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동양사학회 [ 東洋史學會 ]

‘事大’와 ‘交隣’과 ‘小中華’라는 틀의 초시간적인 그리고 초공간적인 맥락

The Trans-temporal and Trans-spatial Contexts of “Sadae", “Kyorin", and “Sojunghwa" as the Historical Frameworks of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韓國史學報 | 42 | 2011 | 역사학

東洋史 硏究成果와 새로운 연구방향의 摸索 -현황과 과제 극복을 위한 탐색-

東洋史的研究成果以及對新的研究方向的摸索 - 對現狀和應克服的課題的探索 -

역사와 담론 | 61 | 2012 | 역사학

중국에는 역사가 없는가? — 지나사, 동양사에서 중국사에 이르기까지 —

Does Our Country Have no History? ― The Historical Descriptions of the History of Shina, Oriental History and Chinese History ―

개념과 소통 | 8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