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클래스 : 국가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998

STNet ID : 1000405

한자 : 百濟
중국어 : 百济
일본어 : 百済

x01-02 국가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백잔 [ 百殘 ]

UF (비우선어)

 

 

남부여 () [ 南扶餘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삼국 [ 三國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x03-06-02 교환/교류/교제 교환/교류/교제

대당 외교 [ 大唐外交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백제본기 (백제삼서) [ 百濟本記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6 문서(보고서)명 문서(보고서)명

백제본기 (삼국사기) [ 百濟本紀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x02-01 시대 시대

한성기 (BC18-475) [ 漢城期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부소산성 () [ 扶蘇山城 ]

RT (관련어)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백제악 () [ 百濟樂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오노 야스마로 [ 太安麻呂 ]

RT (관련어)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공주 (충청남도) [ 公州 ]

RT (관련어)

 

x01-02 국가명 국가명

고대 일본 () [ 古代日本 ]

RT (관련어)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한성 (백제) [ 漢城 ]

RT (관련어)

 

x01-05 바다/강/호수명 바다/강/호수명

금강 [ 錦江 ]

RT (관련어)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나제동맹 () [ 羅濟同盟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몽촌토성 () [ 夢村土城 ]

RT (관련어)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대성팔족 [ 大姓八族 ]

RT (관련어)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백제 부흥 운동 () [ 百濟復興運動 ]

RT (관련어)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한국 고대사 () [ 韓國古代史 ]

RT (관련어)

 

y06-02 정부(왕조)명 정부(왕조)명

야마토 정권 () [ 大和政權 ]

RT (관련어)

 

x02-01 시대 시대

삼국시대 [ 三國時代 ]

RT (관련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석실봉토분 [ 石室封土墳 ]

RT (관련어)

 

 

위례성 () [ 慰禮城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백제 문화 () [ 百濟文化 ]

R3:시간적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마한 () [ 馬韓 ]

R4:공간적

isAdjacentTo (근접)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대사 [ 帶沙 ]

CLT:참조용어

isNationalityOf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온조왕 (BC18-28) [ 溫祚王 ]

isNationalityOf  

 

 

아신왕 (392-405) [ 阿莘王 ]

isNationalityOf  

 

 

웅진기 (475-538) [ 熊津期 ]

isNationalityOf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혜왕 (598-599) [ 惠王 ]

isNationalityOf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근초고왕 (346-375) [ 近肖古王 ]

isNationalityOf  

 

 

진사왕 (385-392) [ 辰斯王 ]

isNationalityOf  

 

 

침류왕 (384-385) [ 枕流王 ]

isNationalityOf  

 

 

계왕 (344-346) [ 契王 ]

isNationalityOf  

 

 

구이신왕 (420-427) [ 久爾辛王 ]

isNationalityOf  

 

 

비류왕 (304-344) [ 比流王 ]

isNationalityOf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비유왕 (427-455) [ 毗有王 ]

isNationalityOf  

 

 

분서왕 (298-304) [ 汾西王 ]

isNationalityOf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개로왕 (455-475) [ 蓋鹵王 ]

isNationalityOf  

 

 

책계왕 (286-298) [ 責稽王 ]

isNationalityOf  

 

 

문주왕 (475-477) [ 文周王 ]

isNationalityOf  

 

 

고이왕 (234-286) [ 古爾王 ]

isNationalityOf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동성왕 (479-501) [ 東城王 ]

isNationalityOf  

 

 

사반왕 (234-234) [ 沙伴王 ]

isNationalityOf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무령왕 (501-523) [ 武寧王 ]

isNationalityOf  

 

 

초고왕 (166-214) [ 肖古王 ]

isNationalityOf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성왕 (523-554) [ 聖王 ]

isNationalityOf  

 

 

개루왕 (128-166) [ 蓋婁王 ]

isNationalityOf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법왕 (599-600) [ 法王 ]

isNationalityOf  

 

 

기루왕 (77-128) [ 己婁王 ]

isNationalityOf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무왕 (600-641) [ 武王 ]

isNationalityOf  

 

 

다루왕 (28-77) [ 多婁王 ]

isNationalityOf  

 

 

근구수왕 (375-384) [ 近仇首王 ]

isNationalityOf  

 

 

구수왕 (214-234) [ 仇首王 ]

isNationalityOf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사비 [ 泗沘 ]

isNationalityOf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웅진 [ 熊津 ]

isNationalityOf  

 

 

삼근왕 (477-479) [ 三斤王 ]

isNationalityOf  

 

 

전지왕 (405-420) [ 腆支王 ]

isNationalityOf  

 

 

사비기 (538-660) [ 泗沘期 ]

isNationalityOf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의자왕 (641-660) [ 義慈王 ]

영어권 중국사 개설서에 보이는 한국 관련 지도의 실태 분석

An Examination of Korea-Related Maps Seen in the Survey Books of Chinese History Written in English

동북아역사논총 | 27 | 2010 | 역사학

영어권 중국사 개설서에 보이는 한국 관련 지도의 실태 분석

An Examination of Korea-Related Maps Seen in the Survey Books of Chinese History Written in English

동북아역사논총 | | 27 | 2010 | 역사학

堤上의 未斯欣 구출과정과 신라의 성장

Process of Saving Misahun by Jesang and Growth of Silla

신라사학보 | 25 | 2012 | 역사학

전북 동부지역 가야와 백제의 역학관계

Relationship between Gaya and Baekje in the Eastern Area of Jeollabuk-do

백제문화 | 2 | 43 | 2010 | 한국고대사

전북 동부지역 가야와 백제의 역학관계

Relationship between Gaya and Baekje in the Eastern Area of Jeollabuk-do

백제문화 | 2 | 43 | 2010 | 한국고대사

百濟와 中國南朝의 金銅一光三尊像에 關한 試論

A study on the Gilt Bronze three Statues in a Halo between Baekje and Chinese Nam-dynasty

문화사학 | 35 | 2011 | 문화사(역사학)

韓日 古代 佛舍利莊嚴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in the Buddhist reliquaries of Ancient Korea and Japan

불교미술사학 | 12 | 2011 | 미술사

馬韓 殘餘故地 前方後圓墳의 造成 背景

The Construct background of the Keyhole-tomes in the Residual Region of Kingdom Mahan

동아시아고대학 | 28 | 2012 | 기타인문학

완형토기로 본 영산강유역과 백제

The Yeongsangang Basin and Baekje revealed by the flat bowl

호남고고학보 | 34 | 2010 | 역사학

완형토기로 본 영산강유역과 백제

The Yeongsangang Basin and Baekje revealed by the flat bowl

호남고고학보 | 34 | | 2010 | 역사학

현행(2011년) 중・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고대한일관계사 서술은 사실을 반영하고 있는가?

Do the Descriptions of Ancient Korea-Japan Relations of Current National History Textbooks for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Reflect Historical Truth at All?

신라사학보 | 24 | 2012 | 역사학

原三國∼三國時代 금강유역의 주거와 취사시설의 변화로 본 정치적 동향 -기원후 3~5세기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urnace and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in the Proto-Three Kingdoms and Three Kingdoms Periods, Geum River Basin

호서고고학 | 22 | 2010 | 기타고고학

原三國∼三國時代 금강유역의 주거와 취사시설의 변화로 본 정치적 동향 -기원후 3~5세기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urnace and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in the Proto-Three Kingdoms and Three Kingdoms Periods, Geum River Basin

호서고고학 | | 22 | 2010 | 기타고고학

張保皐 활동지역을 중심으로 한 고구려・백제 遺民과 신라인들의 佛事活動

以张宝皋活动地域为中心看高句丽, 百济,新罗人的佛事活动

신라사학보 | 18 | 2010 | 역사학

張保皐 활동지역을 중심으로 한 고구려・백제 遺民과 신라인들의 佛事活動

以张宝皋活动地域为中心看高句丽, 百济,新罗人的佛事活动

신라사학보 | | 18 | 2010 | 역사학

全南 東部地域 加耶文化의 起源과 變遷

The Origin and Change of the Gaya Culture in the East Jeollanam-do Area

백제문화 | 45 | 2011 | 한국고대사

서울지역 佛敎文化의 展開 過程과 特徵 -石造美術을 中心으로-

A Study on the Features and Development of Buddhist Culture in Seoul Area -Focus on Stone Buddhist Art-

서울과 역사 | 77 | 2011 | 역사학

百濟 熊津期 곰 신앙의 역사적 전개와 穴寺

The Idolatry of Bears Bear in Baekje(百濟) Woongjin(熊津) Period and Temples Having “Cave” in Their Names in Gong-Ju(公州)

史叢(사총) | 71 | 2010 | 기타역사일반

百濟 熊津期 곰 신앙의 역사적 전개와 穴寺

The Idolatry of Bears Bear in Baekje(百濟) Woongjin(熊津) Period and Temples Having “Cave” in Their Names in Gong-Ju(公州)

史叢(사총) | | 71 | 2010 | 기타역사일반

高句麗 淸巖里土城 주변 출토 金銅冠의 系譜와 用途

The Genealogy and Owner of Gilt Bronze Crowns Excavated Near the Cheongam-ri Earthen Fortresses of Koguryo

동북아역사논총 | 34 | 2011 | 역사학

한국 고대 목간문화의 기원에 대하여

On the Origin of Wooden Tablet Culture of Ancient Korea

진단학보 | 113 | 2011 | 역사학

任那諸國內 ‘加羅聯盟’의 勢力 變遷과 對外 關係

The Transition of Power of the ‘Union of Garah(加羅聯盟)’ and its Foreign Relations in the States of Imnah(任那)

백산학보 | 86 | 2010 | 역사학

任那諸國內 ‘加羅聯盟’의 勢力 變遷과 對外 關係

The Transition of Power of the ‘Union of Garah(加羅聯盟)’ and its Foreign Relations in the States of Imnah(任那)

백산학보 | | 86 | 2010 | 역사학

마한 사회의 印綬衣幘 전통과 백제의 金銅冠帽 사여

The Tradition on the Seal with a Sash Attached and Official Hat and Robe in Mahan Society and Golden Crown Bestowed by Baekje

역사학연구 | 38 | 2010 | 역사학

마한 사회의 印綬衣幘 전통과 백제의 金銅冠帽 사여

The Tradition on the Seal with a Sash Attached and Official Hat and Robe in Mahan Society and Golden Crown Bestowed by Baekje

역사학연구 | | 38 | 2010 | 역사학

문화유산 디지털복원에 있어서의 영상음악 제작에 대한 고찰; 2010 세계대백제전 영상음악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film scores in digital 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 based on film scoring production for 2010 Great Baekje World Festival

한국영상학회논문집 | 8 | 2 | 2010 | 예술일반

문화유산 디지털복원에 있어서의 영상음악 제작에 대한 고찰; 2010 세계대백제전 영상음악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film scores in digital 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 based on film scoring production for 2010 Great Baekje World Festival

한국영상학회논문집 | 8 | 2 | 2010 | 예술일반

6세기 초 筑紫國 이와이[磐井]의 난과 신라

The Connection between Silla and the Iwai Rebellion in Tsukushi Province during the Early Sixth-century Japan

신라사학보 | 25 | 2012 | 역사학

금석문 목간 자료를 활용한 국어학계의 연구동향과 과제

活用金石文、木简资料的韩国语学界的研究动向和课题

한국고대사연구 | 57 | 2010 | 한국고대사

금석문 목간 자료를 활용한 국어학계의 연구동향과 과제

活用金石文、木简资料的韩国语学界的研究动向和课题

한국고대사연구 | | 57 | 2010 | 한국고대사

公山城 出土 漆甲의 性格에 대한 再檢討

Re-Exa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Lacquered Armor Discovered at Gongsan Fortress

인문학논총 | 28 | 2012 | 기타인문학

유물의 계획수치 파악을 위한 모델 검토 –풍납토성 목조우물 부재에 대한 검토를 겸하여–

A Review of the Model for Understanding the Initial Planning Figures of Archaeological Remains–With Focus on the Materials of the Wooden Well of Pungnab Earthen Wall Fortress

한국고고학보 | 84 | 2012 | 역사학

백제 聖王․威德王代의 倭系百濟官僚

Bureaucrats of Baekje from Wae(倭) in the reign of King Seong(聖) and King Widuck(威德)of the Baekje Dynasty

사림 | 39 | 2011 | 역사학

한국 고대 전통음식의 형성과 발달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Ancient Korean Traditional Food

단군학연구 | 23 | 2010 | 기타역사학

전남동부지역 고분 출토 토기에 대한 검토 - 광양 용강리 유적을 중심으로-

A study on pottery excavated from tombs in east side of Jeollanam-do province - Investigation on remains from Yonggang-ri in Gwangyang -

호남고고학보 | 34 | 2010 | 역사학

전남동부지역 고분 출토 토기에 대한 검토 - 광양 용강리 유적을 중심으로-

A study on pottery excavated from tombs in east side of Jeollanam-do province - Investigation on remains from Yonggang-ri in Gwangyang -

호남고고학보 | 34 | | 2010 | 역사학

일본 세계문화유산 속의 백제불교

Baekje Buddhism in World Heritage of Japan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5 | 2010 | 원불교학

일본 세계문화유산 속의 백제불교

Baekje Buddhism in World Heritage of Japan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 45 | 2010 | 원불교학

백제권역 동물희생 관련 考古자료의 성격

A Characteristic of Archeological Materials related to Animal Sacrifice in paek-che Area

백제문화 | 1 | 47 | 2012 | 한국고대사

六角形住居址와漢城期百濟聚落

Hexagonal Houses and Baekje Settlements of the Hanseong Period

한국고고학보 | 74 | 2010 | 역사학

六角形住居址와漢城期百濟聚落

Hexagonal Houses and Baekje Settlements of the Hanseong Period

한국고고학보 | | 74 | 2010 | 역사학

660년 신라와 백제의 국경선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Border Line between Silla and Baekje in 660

신라사학보 | 20 | 2010 | 역사학

660년 신라와 백제의 국경선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Border Line between Silla and Baekje in 660

신라사학보 | | 20 | 2010 | 역사학

原三國~百濟 熊津期 의 變遷樣相 및 編年 -漢江 및 錦江流域을 中心으로-

A Study on the Chronology and Changing Process of Bowl from Proto Three Kingdoms Period to Woongjin Phase of Baekje Period

백제연구 | 53 | 2011 | 역사학

장수왕의 외교정책: 고구려 “자주외교”의 두 얼굴

Foreign Policy of King Jangsu of Goguryeo: Two faces of Goguryeo's Independent Diplomacy

국제정치논총 | 50 | 2 | 2010 | 정치외교학

장수왕의 외교정책: 고구려 “자주외교”의 두 얼굴

Foreign Policy of King Jangsu of Goguryeo: Two faces of Goguryeo's Independent Diplomacy

국제정치논총 | 50 | 2 | 2010 | 정치외교학

廣開土王代의 南方 政策과 韓半島 諸國 및 倭의 動向

Goguryeo's policy of advance into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movement of kingdoms in it and Japan under the rule of the Great Gwanggaeto

한국고대사연구 | 67 | 2012 | 한국고대사

영산강유역 前方後圓形墳의 축조와 그 주체

Background and Main agents of the construction of the Keyholeshaped Mound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역사와 담론 | 56 | 2010 | 역사학

영산강유역 前方後圓形墳의 축조와 그 주체

Background and Main agents of the construction of the Keyholeshaped Mound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역사와 담론 | | 56 | 2010 | 역사학

백제 칠지도의 제작 연대 재론 - 丙午正陽을 중심으로 -

Rediscussing the date ofChiljido (七支刀), The Seven-Branched Sword of Baekje

백제문화 | 1 | 42 | 2010 | 한국고대사

백제 칠지도의 제작 연대 재론 - 丙午正陽을 중심으로 -

Rediscussing the date ofChiljido (七支刀), The Seven-Branched Sword of Baekje

백제문화 | 1 | 42 | 2010 | 한국고대사

전북지역 백제와 가야의 교통로 연구

A Study of the Traffic Route Baekjeon and Gaya on the Jeollabuk-do Region

한국고대사연구 | 63 | 2011 | 한국고대사

사비기 백제 瓦窯의 구조변화 연구-燒成室과 煙道部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nge of Roof-Tile Klin in the Sabi Period, Baekje

백제문화 | 2 | 43 | 2010 | 한국고대사

사비기 백제 瓦窯의 구조변화 연구-燒成室과 煙道部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nge of Roof-Tile Klin in the Sabi Period, Baekje

백제문화 | 2 | 43 | 2010 | 한국고대사

錦江流域百濟土器窯址의 構造와 生産體制에 대한 一硏究

An Examination of Baekje Pottery Kilns from the Geum River Basin

한국고고학보 | | 76 | 2010 | 역사학

고구려 광개토왕(廣開土王)의 백제 정벌(征伐)이 가진 의미에 대하여 -392년~394년을 중심으로-

The Meaning of Invading Baekje by King Gwanggaeto of Goguryo -Focusing on between 392 A.D.~394 A.D. -

대한정치학회보 | 19 | 2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百濟의 加耶 進出과 ‘泗沘會議’

The Advance of Baekje into Gaya and‘Conference of Sabi’

백제연구 | 55 | 2012 | 역사학

东晋高崧家族墓与百济武宁王陵的比较研究

東晋 高崧 가족묘와 百濟 武寧王陵의 비교 연구 東晋 高崧 가족묘와 百濟 武寧王陵의 비교 연구

백제문화 | 1 | 46 | 2012 | 한국고대사

부여 능산리 사지 출토 백제 면직물연구

Study on the Baekje's Cotton Fabrics Excavated in Neungsan-ri Temple Site

문화재 | 44 | 3 | 2011 | 역사학

日本 出土 百濟(系)土器: 出現과 變遷

Baekje Style Pottery excavated in Japan: Its Advent and Changes

백제연구 | 54 | 2011 | 역사학

湖西地域 百濟住居址의 地上化過程에 관하여

Structural Change of Baekje Houses in the Hoseo Region from Subterranean Houses to on Ground Houses

호서고고학 | 24 | 2011 | 기타고고학

原三國期 錦江流域의 住居와 聚落類型 -湖西地域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sidential and Settlement Types in the Geum River Basin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With a focus on the Hoseo region -

역사와 담론 | 63 | 2012 | 역사학

6세기 말∼7세기 고구려와 백제의 관계 연구 - 단계적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

The relation between Koguryo and Backje in the late 6th and 7th ceuturles

서울과 역사 | 79 | 2011 | 역사학

백제 의자왕대의 정치와 對中外交 성격 검토

Diplomatic policy toward China of King Uija's Reign in Baekje

백제문화 | 1 | 47 | 2012 | 한국고대사

百濟 泗批期寺刹의 伽藍配置와 造營의 特徵 –최근의 발굴조사 성과를 중심으로–

On the temples of Baekje Sabi period

한국상고사학보 | 74 | 74 | 2011 | 역사학

백제 관련 연대결정자료와 연대관

The Chronological Data and Perspective from Paekche Region

호서고고학 | 22 | 2010 | 기타고고학

백제 관련 연대결정자료와 연대관

The Chronological Data and Perspective from Paekche Region

호서고고학 | | 22 | 2010 | 기타고고학

百濟와 西域의 文物交流에 대한 試論

The Research on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Baekje and the West

백제연구 | 55 | 2012 | 역사학

百濟 龜甲文 考察

A Study on the Hexagonal Tortoise-shell Pattern of Baekje

신라사학보 | 18 | 2010 | 역사학

百濟 龜甲文 考察

A Study on the Hexagonal Tortoise-shell Pattern of Baekje

신라사학보 | | 18 | 2010 | 역사학

武寧王代百済の対倭関係

武寧王代 百済의 対倭関係

백제문화 | 1 | 46 | 2012 | 한국고대사

百濟 西海岸地域 竹幕洞祭祀遺蹟에서 發見된 倭人의 痕迹과 그 意味

Traces of Wa People found in the Chungmakdong Ritual Site of West Coast Paekche and Its Signification

선사와 고대 | 33 | 2010 | 역사학

百濟 西海岸地域 竹幕洞祭祀遺蹟에서 發見된 倭人의 痕迹과 그 意味

Traces of Wa People found in the Chungmakdong Ritual Site of West Coast Paekche and Its Signification

선사와 고대 | | 33 | 2010 | 역사학

百濟와 梁의 교섭과 大通寺

Connections between Baekje and Liang, and Daetongsa

한국사연구 | 155 | 2011 | 역사학

【기획논문】 백제의 가야 진출과 倭國- 소위 ‘397년 체제’의 성립과 전개를 중심으로 -

Expansion of Baekie to Kaya, and Wa -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he Year 397 System’ -

지역과 역사 | 29 | 2011 | 역사학

3~5세기 금강유역권의 지역성과 확산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diffusion of Guemgang Basin in the 3rd to 5th century

호남고고학보 | 37 | 2011 | 역사학

百濟 泗沘期 五帝 祭祀와 陵山里寺址

The Ritual for the Five Kings and Neung-San-Li-Sa-Ji of the Baekje Sabi Period

백제문화 | 1 | 42 | 2010 | 한국고대사

百濟 泗沘期 五帝 祭祀와 陵山里寺址

The Ritual for the Five Kings and Neung-San-Li-Sa-Ji of the Baekje Sabi Period

백제문화 | 1 | 42 | 2010 | 한국고대사

扶餘 定林寺 寺名의 유래와 의미에 대한 검토-남조시기 문헌 및 고고자료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A Study for the origin of Jeongnimsa Temple's name in Buyeo-By Studying Chinese's literature and archeological specimens-

韓國史學報 | 45 | 2011 | 역사학

扶餘 定林寺 寺名의 유래와 의미에 대한 검토-남조시기 문헌 및 고고자료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A Study for the origin of Jeongnimsa Temple's name in Buyeo-By Studying Chinese's literature and archeological specimens-

韓國史學報 | 45 | 2011 | 역사학

무덤과 祭祀遺蹟을 통해 본 5∼6세기 百濟와 倭

Baekje and Wa of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Examined Through Tombs and Ritual Sites

韓國史學報 | 45 | 2011 | 역사학

百濟漢城期의 水田에 대하여 - 화성 송산동 농경유적을 중심으로 -

Rice Paddy of Hanseong Baekje Period : Focused on Agricultural Remains in Songsandong, Hwaseong

고고학 | 10 | 2 | 2011 | 역사학

百濟 熊津時期의 정국과 大通寺 창건

The Political Situation of Paekche during the Period of Ungjin(熊津) and the Foundation of Daetongsa(大通寺)

한국사연구 | 155 | 2011 | 역사학

湖南西部地域 考古學資料를 통해 본 熊津期의 地方

A Study on the Local Areas during the Ungjin Period based on the Archeological Data of the Western Areas of Honam

백제연구 | 55 | 2012 | 역사학

陶瓷를 통해 본 4세기 초 百濟와 東晉의 交流

Exchanges between Baekje and Eastern Jin during the early 4th Century as viewed through Porcelains

韓國史學報 | 42 | 2011 | 역사학

百濟 帝釋寺址 出土 塑造像의 분석과 木塔址를 통한 奉安原形 추정

The Analysis of a Figure of Clay excavated at Jesoek Temple Site(rubbish heap) in Baekje and a Wooden Pagoda Site

호서고고학 | 23 | 2010 | 기타고고학

百濟 帝釋寺址 出土 塑造像의 분석과 木塔址를 통한 奉安原形 추정

The Analysis of a Figure of Clay excavated at Jesoek Temple Site(rubbish heap) in Baekje and a Wooden Pagoda Site

호서고고학 | | 23 | 2010 | 기타고고학

百濟 宮城의 苑池와 後苑

The Palatial Garden of Baekje

백제연구 | 53 | 2011 | 역사학

百濟 漢城期의 石室墳 特徵과 性格 考察 ― 최근 발굴된 백제 석실분을 중심으로 ―

The feature and characteristics of Stone chamber tomb in the Bakjae Han Seong period ― Based on the excavation of The Bakjae Stone Chamber Tomb ―

사림 | 37 | 2010 | 역사학

百濟 漢城期의 石室墳 特徵과 性格 考察 ― 최근 발굴된 백제 석실분을 중심으로 ―

The feature and characteristics of Stone chamber tomb in the Bakjae Han Seong period ― Based on the excavation of The Bakjae Stone Chamber Tomb ―

사림 | | 37 | 2010 | 역사학

한반도 취사문화가 일본 古墳시대에 미친 영향과 수용과정 –북부규슈 및 긴키지역을 중심으로–

Diffusion And Spread Process Of Cooking Culture Of Korean Peninsular –focused on northern Kyushu and Kinki region in Japan–

한국상고사학보 | 76 | 76 | 2012 | 역사학

中國 六朝磁器의 百濟 導入背景

An Analysis on Introduction of Chinese Porcelain to the Baekje Territory

한국고고학보 | 83 | 2012 | 역사학

百濟의 瑞祥과 王權

Auspicious things and royal authority in the period of Baekje

백산학보 | 93 | 2012 | 역사학

성왕 초기 가야 지역의 상황과 백제의 대응

The Conditions of Gaya Region and Reaction of Baekje in Early Period of King Sung

한국사상과 문화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성왕 초기 가야 지역의 상황과 백제의 대응

The Conditions of Gaya Region and Reaction of Baekje in Early Period of King Sung

한국사상과 문화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제 목탑에 관한 일고찰 ― 그 사례와 특징 ―

A study on the wooden stupa of Baekje

한국사상과 문화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제 목탑에 관한 일고찰 ― 그 사례와 특징 ―

A study on the wooden stupa of Baekje

한국사상과 문화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百濟金屬工藝의 印刻技法과 魚子文 考察

A Study of the Stamping Technique (印刻技法) and the Fish-egg designs (魚子文) on the Baekje Metal Work

미술자료 | 79 | 2010 | 미술사

百濟金屬工藝의 印刻技法과 魚子文 考察

A Study of the Stamping Technique (印刻技法) and the Fish-egg designs (魚子文) on the Baekje Metal Work

미술자료 | | 79 | 2010 | 미술사

백제의 도읍시기별 기와 문양에 대한 조형적 특징 연구

A study of formative characteristics about roof-tile patterns in Baek-je capital period

기초조형학연구 | 12 | 1 | 2011 | 예술일반

熊津時期 百濟기와의 特徵과 成立過程 - 연화문와당을 중심으로 -

熊津時期の百濟瓦の特徵と成立過程 - 蓮華文瓦當を中心に -

문화사학 | 35 | 2011 | 문화사(역사학)

백제 사비기 부여 부소산사지의 축조기법과 가람배치 검토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attern and Layout of the Buseosan Temple Site in Buyeo in the Sabi Period, Baekje

역사와 담론 | 59 | 2011 | 역사학

6세기 백제의 대왜외교 양상과 의미

6世紀百済の対倭外交の様相と意味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6세기 백제의 대왜외교 양상과 의미

6世紀百済の対倭外交の様相と意味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

百濟 熊津都城 硏究에 관한 檢討

Reviewing Studies on Baekje Ungchindosŏng

동아시아고대학 | 23 | 2010 | 기타인문학

百濟 熊津都城 硏究에 관한 檢討

Reviewing Studies on Baekje Ungchindosŏng

동아시아고대학 | | 23 | 2010 | 기타인문학

백제 부흥 전쟁기 고사비성 전투의 의미

A Meaning of Gosabi Seong Battle during the Reconstruction War of Baekje

한국학 | 35 | 1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