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왕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7818

STNet ID : 1002645

한자 : 聖王
기타 : King Seong
재위기간 : 523-554

y01-01 실존인물

시대

백제 시대 (百濟時代)

생몰년_t

?-554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Type (개념범주type)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왕(王) () [ 王 ]

P:개념속성연관

hasNationality (국적)

 

x01-02 국가명 국가명

백제 () [ 百濟 ]

S:동의

UF (비우선어)

 

 

성명왕 () [ 聖明王 ]

UF (비우선어)

 

 

명왕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진흥왕 (540-576) [ 眞興王 ]

RT (관련어)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웅진 [ 熊津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담로제 [ 擔魯制 ]

RT (관련어)

 

 

남부여 () [ 南扶餘 ]

RT (관련어)

부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혜왕 (598-599) [ 惠王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위덕왕 (554-598) [ 威德王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무령왕 (501-523) [ 武寧王 ]

百濟 熊津時期의 정국과 大通寺 창건

The Political Situation of Paekche during the Period of Ungjin(熊津) and the Foundation of Daetongsa(大通寺)

한국사연구 | 155 | 2011 | 역사학

百濟 泗沘期 五帝 祭祀와 陵山里寺址

The Ritual for the Five Kings and Neung-San-Li-Sa-Ji of the Baekje Sabi Period

백제문화 | 1 | 42 | 2010 | 한국고대사

百濟 泗沘期 五帝 祭祀와 陵山里寺址

The Ritual for the Five Kings and Neung-San-Li-Sa-Ji of the Baekje Sabi Period

백제문화 | 1 | 42 | 2010 | 한국고대사

방벌(放伐)과 선양(禪讓)의 이중주: 초기 유가사상의 정권에 대한 정당화

The Duet of FangFa(放伐) and ChanRang(禪讓): the Justification of Political Power in early Confucianism

한국정치학회보 | 46 | 1 | 2012 | 정치외교학

조선시대 嗣位儀禮에 대한 연구

Enthronement in deep sorrow in Joseon dynasty

조선시대사학보 | 61 | 2012 | 역사학

성인의 재탄생과 성왕 대 폭군 구조의 형성

The Remake of Saint and the Formation of a Sage King versus Tyrant Structure

정치사상연구 | 17 | 2 | 2011 | 정치외교학

백제 聖王의 죽음과 신라의 ‘國法’

The Death of King Seong of Baekje and the National Law of Shilla

백제문화 | 1 | 47 | 2012 | 한국고대사

백제 聖王․威德王代의 倭系百濟官僚

Bureaucrats of Baekje from Wae(倭) in the reign of King Seong(聖) and King Widuck(威德)of the Baekje Dynasty

사림 | 39 | 2011 | 역사학

백제 성왕대 관산성 전투의 의미

A Meaning of ‘Gwansanseong(管山城)’ Battle in the King Seong Period of Baekje

전북사학 | 36 | 2010 | 역사학

백제 성왕대 관산성 전투의 의미

A Meaning of ‘Gwansanseong(管山城)’ Battle in the King Seong Period of Baekje

전북사학 | | 36 | 2010 | 역사학

백제 성왕의 즉위와 왕권 강화과정

A Study on the Enthronement of King Seong of Baekje and the Reinforcement Process of His Royal Authority

한국상고사학보 | 75 | 75 | 2012 | 역사학

백제 성왕대 22부의 운영과 대성 8족

The Noted 8 families(大姓 8族) in the King Seong(聖王) of Baeje(百濟)

한국학논총 | 37 | 2012 | 역사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