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덕왕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246

STNet ID : 1003787

한자 : 威德王
기타 : King Wideok
재위기간 : 554-598

y01-01 실존인물

시대

삼국시대 (三國時代)

국적

백제 (百濟)

생몰년_t

525-598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Type (개념범주type)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왕(王) () [ 王 ]

R1:개념적

RT (관련어)

 

 

아좌태자

R2:기능적

isFounderOf (기관/단체명)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왕흥사 () [ 王興寺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혜왕 (598-599) [ 惠王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성왕 (523-554) [ 聖王 ]

무왕의 세력기반으로서 익산의 위상과 의미

Iksan’s phase and meaning as King Moo’s foundation of influence

한국고대사연구 | 60 | 2010 | 한국고대사

무왕의 세력기반으로서 익산의 위상과 의미

Iksan’s phase and meaning as King Moo’s foundation of influence

한국고대사연구 | | 60 | 2010 | 한국고대사

武王代 6部체제와 益山

6Bu(部) system of king Mu's and Ik san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武王代 6部체제와 益山

6Bu(部) system of king Mu's and Ik san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

백제 聖王․威德王代의 倭系百濟官僚

Bureaucrats of Baekje from Wae(倭) in the reign of King Seong(聖) and King Widuck(威德)of the Baekje Dynasty

사림 | 39 | 2011 | 역사학

백제 왕흥사의 창건과정과 미륵사

A Process to Establish Weangheungsa Temple[王興寺] and Mireuksa Temple[彌勒寺] in Baekje[百濟]

史叢(사총) | 70 | 2010 | 기타역사일반

백제 왕흥사의 창건과정과 미륵사

A Process to Establish Weangheungsa Temple[王興寺] and Mireuksa Temple[彌勒寺] in Baekje[百濟]

史叢(사총) | | 70 | 2010 | 기타역사일반

백제 왕흥사의 창건과정과 미륵사

A Process to Establish Weangheungsa Temple[王興寺] and Mireuksa Temple[彌勒寺] in Baekje[百濟]

史叢 | 70 | 2010 | 인문학

백제 왕흥사의 창건과정과 미륵사

A Process to Establish Weangheungsa Temple[王興寺] and Mireuksa Temple[彌勒寺] in Baekje[百濟]

史叢 | | 70 | 2010 | 인문학

사비시대 백제의 대왜 불교 교류와 慧聰

Buddhism Exchange with Japan in Sabi Era of Baekje Dynasty and Monk Hechong

한국사상사학 | 34 | 2010 | 역사학

사비시대 백제의 대왜 불교 교류와 慧聰

Buddhism Exchange with Japan in Sabi Era of Baekje Dynasty and Monk Hechong

한국사상사학 | | 34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