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흥사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A020609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 문화재학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957

STNet ID : 1005015

한자 : 王興寺

Y04 기념물명(문화재)

유형/장르

사찰 (寺刹)

제작시대

백제 시대 (百濟時代)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부여 (충청남도) [ 扶餘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연화문와당 [ 蓮花紋瓦當 ]

N2:부분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철당간

R2:기능적

hasFounder (설립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위덕왕 (554-598) [ 威德王 ]

백제 왕흥사의 창건과정과 미륵사

A Process to Establish Weangheungsa Temple[王興寺] and Mireuksa Temple[彌勒寺] in Baekje[百濟]

史叢 | 70 | 2010 | 인문학

백제 왕흥사의 창건과정과 미륵사

A Process to Establish Weangheungsa Temple[王興寺] and Mireuksa Temple[彌勒寺] in Baekje[百濟]

史叢 | | 70 | 2010 | 인문학

백제 왕흥사의 창건과정과 미륵사

A Process to Establish Weangheungsa Temple[王興寺] and Mireuksa Temple[彌勒寺] in Baekje[百濟]

史叢(사총) | 70 | 2010 | 기타역사일반

백제 왕흥사의 창건과정과 미륵사

A Process to Establish Weangheungsa Temple[王興寺] and Mireuksa Temple[彌勒寺] in Baekje[百濟]

史叢(사총) | | 70 | 2010 | 기타역사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