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

연구분야 : A080000 인문학 > 불교학

클래스 : 인위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916

한자 : 寺刹
동의어(UF) : 절
동의어(UF) : 사원(寺院)
동의어(UF) : 정사(精舍)
동의어(UF) : 승원(僧院)
동의어(UF) : 가람(伽藍)
동의어(UF) : 불교 사원(佛敎寺院)

e04-01 인위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종교 시설 [ 宗敎施設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사관 [ 寺觀 ]

N1:종류

hasKind (종류)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전통 사찰 () [ 傳統寺刹 ]

hasKind (종류)

 

 

중국 사찰 [ 中國寺刹 ]

hasKind (종류)

 

 

한국 사찰 [ 韓國寺刹 ]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암자 [ 庵子 ]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고찰 [ 古刹 ]

hasKind (종류)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원찰 () [ 願刹 ]

N2:부분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예불 공간 () [ 禮佛空間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가람 배치 () [ 伽藍配置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선암사 [ 仙巖寺 ]

hasInstance (사례)

 

 

대곡사 [ 大谷寺 ]

hasInstance (사례)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봉림사 [ 鳳林寺 ]

hasInstance (사례)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미륵사 [ 彌勒寺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천동사 () [ 天童寺 ]

hasInstance (사례)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기원사 [ 祇園寺 ]

CLT:참조용어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수선사 () [ 修禪社 ]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화엄사 () [ 華嚴寺 ]

慶州 출토 羅末麗初 寺刹銘 평기와의 변천과정

A Transforming Process on Temple named roof-tiles between the end of United Silla and the earlier Koryo in Gyeong-ju

신라사학보 | 19 | 2010 | 역사학

慶州 출토 羅末麗初 寺刹銘 평기와의 변천과정

A Transforming Process on Temple named roof-tiles between the end of United Silla and the earlier Koryo in Gyeong-ju

신라사학보 | | 19 | 2010 | 역사학

민법 제275조의 타당성 여부에 관한 연구

A Feasibility Study on the Act 275 of Korea civil Law

법과정책 | 18 | 1 | 2012 | 기타법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4∼5세기 『삼국사기』의 승려 및 사찰

The Relationship between Gaya and Three Kingdoms during 4th through 5th Centuries, Seen from the 『Samkuksaki』

신라문화 | 38 | 2011 | 역사학

4∼5세기 『삼국사기』의 승려 및 사찰

The Relationship between Gaya and Three Kingdoms during 4th through 5th Centuries, Seen from the 『Samkuksaki』

신라문화 | 38 | 2011 | 역사학

百濟 泗批期寺刹의 伽藍配置와 造營의 特徵 –최근의 발굴조사 성과를 중심으로–

On the temples of Baekje Sabi period

한국상고사학보 | 74 | 74 | 2011 | 역사학

조선 초기 개성의 경관 변화

The variation of Kyesung's view in early Chosun dynasty

조선시대사학보 | 62 | 2012 | 역사학

許筠 佛敎詩의 禪的 趣向

Zen Preference of Heo Gyun's Buddhist Poetry

동양고전연구 | 45 | 2011 | 기타인문학

朝鮮前期 寺刹의 亡廢와 遺物의 消失

A Study on the Collapse of Buddhist Temples and the Loss of Their Artifacts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불교학보 | 59 | 2011 | 기타불교학

조선시대 사찰의 꽃살문을 응용한 어패럴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A Study on Apparel Textile Design by the Application of Flower Lattice Pattern of Joseon Buddhist Temples

패션과 니트 | 10 | 1 | 2012 | 패션디자인

사찰(寺刹) 민간의료 전승양상 -한 스님의 사례를 중심으로-

Transmission of A Folk Medicine in Temple -A Case of a Monk in Dono Temple-

한국학논집 | 41 | 2010 | 기타인문학

사찰(寺刹) 민간의료 전승양상 -한 스님의 사례를 중심으로-

Transmission of A Folk Medicine in Temple -A Case of a Monk in Dono Temple-

한국학논집 | | 41 | 2010 | 기타인문학

寺刹의 實體와 法的 性格

A Study on the Nature and Legal Character of Buddhist Temple

토지법학 | 26 | 2 | 2010 | 법학

寺刹의 實體와 法的 性格

A Study on the Nature and Legal Character of Buddhist Temple

토지법학 | 26 | 2 | 2010 | 법학

사찰단청의 배색특성에 따른 공간 해석 연구 -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interpretation of temple color scheme character - focused on the Joseon dynasty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6 | 3 | 2011 | 실내환경디자인

百濟 泗沘期 寺刹 基壇 築造過程과 位階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temple construction process and rank in Sabi period Baekje

한국상고사학보 | 70 | 70 | 2010 | 역사학

百濟 泗沘期 寺刹 基壇 築造過程과 位階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temple construction process and rank in Sabi period Baekje

한국상고사학보 | 70 | 70 | 2010 | 역사학

사찰의 단체성과 법적 성격

Organizational Nature and Legal Character of Buddhist temple

인권과 정의 | 425 | 2012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