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륵사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클래스 : 건축물/시설물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7298

STNet ID : 1002611

한자 : 彌勒寺

y07-03 건축물/시설물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천비산(天庇山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사찰 () [ 寺刹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d01-01 이론/사상 /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불교 () [ 佛敎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R] 미륵사지서탑 -> 111037 () [ 彌勒寺址石塔 ]

백제 불교의 중국 영향에 대한 비판적 검토

Critical Discussion on Influence of Chinese Buddhism[中國佛敎] on Baekje Buddhism[百濟佛敎]

한국사상사학 | 36 | 2010 | 역사학

백제 불교의 중국 영향에 대한 비판적 검토

Critical Discussion on Influence of Chinese Buddhism[中國佛敎] on Baekje Buddhism[百濟佛敎]

한국사상사학 | | 36 | 2010 | 역사학

서동설화의 기록화 양상 연구

The Study On a way in which Seodong Seolwha has been recorded

배달말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제 왕흥사의 창건과정과 미륵사

A Process to Establish Weangheungsa Temple[王興寺] and Mireuksa Temple[彌勒寺] in Baekje[百濟]

史叢(사총) | 70 | 2010 | 기타역사일반

백제 왕흥사의 창건과정과 미륵사

A Process to Establish Weangheungsa Temple[王興寺] and Mireuksa Temple[彌勒寺] in Baekje[百濟]

史叢(사총) | | 70 | 2010 | 기타역사일반

백제 왕흥사의 창건과정과 미륵사

A Process to Establish Weangheungsa Temple[王興寺] and Mireuksa Temple[彌勒寺] in Baekje[百濟]

史叢 | 70 | 2010 | 인문학

백제 왕흥사의 창건과정과 미륵사

A Process to Establish Weangheungsa Temple[王興寺] and Mireuksa Temple[彌勒寺] in Baekje[百濟]

史叢 | | 70 | 2010 | 인문학

서동설화의 역사적 진실

The Historical Truth of the Seodong Story

역사학보 | 205 | 2010 | 역사학

서동설화의 역사적 진실

The Historical Truth of the Seodong Story

역사학보 | | 205 | 2010 | 역사학

韓日 古代 佛舍利莊嚴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in the Buddhist reliquaries of Ancient Korea and Japan

불교미술사학 | 12 | 2011 | 미술사

백제 미륵사지 서탑 유리제사리병과 고대 동아시아 유리 제작

The Glass Sarira Bottle of the Mireuksa Temple And Glass Manufacturing of East Asian countries

미술자료 | 80 | 2011 | 미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