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령왕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7872

STNet ID : 1002651

한자 : 武寧王
기타 : King Muryeong
한자 : 武寧王
재위기간 : 501-523

y01-01 실존인물

시대

삼국시대 (三國時代)

생몰년_t

462-523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Type (개념범주type)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왕(王) () [ 王 ]

P:개념속성연관

hasNationality (국적)

 

x01-02 국가명 국가명

백제 () [ 百濟 ]

R1:개념적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무령왕릉 () [ 武寧王陵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성왕 (523-554) [ 聖王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동성왕 (479-501) [ 東城王 ]

영산강유역 前方後圓形墳의 축조와 그 주체

Background and Main agents of the construction of the Keyholeshaped Mound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역사와 담론 | 56 | 2010 | 역사학

영산강유역 前方後圓形墳의 축조와 그 주체

Background and Main agents of the construction of the Keyholeshaped Mound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역사와 담론 | | 56 | 2010 | 역사학

5~6世紀 高句麗의 南下와 漢江 流域의 領域向方 - 『三國史記』地理志 ‘高句麗故地’의 實際(Ⅱ)-

Goguryeo's Southward Advance in the 5~6th century and the Territorial Trend of Han River Basin

백산학보 | 88 | 2010 | 역사학

5~6世紀 高句麗의 南下와 漢江 流域의 領域向方 - 『三國史記』地理志 ‘高句麗故地’의 實際(Ⅱ)-

Goguryeo's Southward Advance in the 5~6th century and the Territorial Trend of Han River Basin

백산학보 | | 88 | 2010 | 역사학

百濟 熊津時期의 정국과 大通寺 창건

The Political Situation of Paekche during the Period of Ungjin(熊津) and the Foundation of Daetongsa(大通寺)

한국사연구 | 155 | 2011 | 역사학

武寧王代百済の対倭関係

武寧王代 百済의 対倭関係

백제문화 | 1 | 46 | 2012 | 한국고대사

무령왕의 문화산업적 활용

A Study on King Muryeong's Applications in Cultural Business

백제문화 | 1 | 46 | 2012 | 한국고대사

繼體王朝의 등장을 둘러싼 고고학적 환경 - 무령왕대 백제와 왜의 교섭을 이해하기 위한 사전작업 -

繼體王朝の登場をめぐる考古學的環境 - 武寧王代, 百濟の對倭交涉の 理解するための事前作業 -

백제문화 | 1 | 46 | 2012 | 한국고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