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왕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4048

STNet ID : 1002556

한자 : 武王
기타 : King Mu
재위기간 : 600-641

y01-01 실존인물

시대

백제 시대 (百濟時代)

저작

서동요 (薯童謠)

생몰년_t

?-614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Type (개념범주type)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왕(王) () [ 王 ]

P:개념속성연관

hasNationality (국적)

 

x01-02 국가명 국가명

백제 () [ 百濟 ]

S:동의

UF (비우선어)

 

 

장 [ 璋 ]

UF (비우선어)

아명

 

서동 [ 薯童 ]

S:반의

hasAntonym (반의(대응)어)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대성팔족 [ 大姓八族 ]

R1:개념적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선화공주 () [ 善花公主 ]

RT (관련어)

 

a01-04-01 민족/인종/종족 민족/인종/종족

흑수말갈 [ 黑水靺鞨 ]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도통 [ 道統 ]

RT_Y (◄관련어)

주인공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서동 설화 () [ 薯童說話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의자왕 (641-660) [ 義慈王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법왕 (599-600) [ 法王 ]

부여 정림사지 가람배치와 편년적 검토

Study on the layout of the Jeongrim temple site

한국상고사학보 | 76 | 76 | 2012 | 역사학

백제 왕흥사의 창건과정과 미륵사

A Process to Establish Weangheungsa Temple[王興寺] and Mireuksa Temple[彌勒寺] in Baekje[百濟]

史叢 | 70 | 2010 | 인문학

백제 왕흥사의 창건과정과 미륵사

A Process to Establish Weangheungsa Temple[王興寺] and Mireuksa Temple[彌勒寺] in Baekje[百濟]

史叢 | | 70 | 2010 | 인문학

백제 왕흥사의 창건과정과 미륵사

A Process to Establish Weangheungsa Temple[王興寺] and Mireuksa Temple[彌勒寺] in Baekje[百濟]

史叢(사총) | 70 | 2010 | 기타역사일반

백제 왕흥사의 창건과정과 미륵사

A Process to Establish Weangheungsa Temple[王興寺] and Mireuksa Temple[彌勒寺] in Baekje[百濟]

史叢(사총) | | 70 | 2010 | 기타역사일반

백제 무왕대의 대신라 관계

百濟の武王代の対新羅關係

백제문화 | 1 | 42 | 2010 | 한국고대사

백제 무왕대의 대신라 관계

百濟の武王代の対新羅關係

백제문화 | 1 | 42 | 2010 | 한국고대사

武王代 6部체제와 益山

6Bu(部) system of king Mu's and Ik san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武王代 6部체제와 益山

6Bu(部) system of king Mu's and Ik san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

서동설화의 역사적 진실

The Historical Truth of the Seodong Story

역사학보 | 205 | 2010 | 역사학

서동설화의 역사적 진실

The Historical Truth of the Seodong Story

역사학보 | | 205 | 2010 | 역사학

백제 무왕대 6좌평제의 운영과 그 의미

Administration of the 6 Joapyung-system(6佐平制) and its meaning in the King Moo(武王) period of Baekje(百濟)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백제 무왕대 6좌평제의 운영과 그 의미

Administration of the 6 Joapyung-system(6佐平制) and its meaning in the King Moo(武王) period of Baekje(百濟)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

무왕의 세력기반으로서 익산의 위상과 의미

Iksan’s phase and meaning as King Moo’s foundation of influence

한국고대사연구 | 60 | 2010 | 한국고대사

무왕의 세력기반으로서 익산의 위상과 의미

Iksan’s phase and meaning as King Moo’s foundation of influence

한국고대사연구 | | 60 | 2010 | 한국고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