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왕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1314

한자 : 法王
재위기간 : 599-600
동의어(UF) : 부여선(夫餘宣)
동의어(UF) : 여선(餘宣)
동의어(UF) : 부여효순(夫餘孝順)

y01-01 실존인물

시대

백제 시대 (百濟時代)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Type (개념범주type)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왕(王) () [ 王 ]

P:개념속성연관

hasNationality (국적)

 

x01-02 국가명 국가명

백제 () [ 百濟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무왕 (600-641) [ 武王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혜왕 (598-599) [ 惠王 ]

한국고유철학(4)의 다섯 가지 발전단계 -조선천독의 상호존중원리에서 민족연방국의 생명생존권으로-

The Five Stages of Original Korean Philosophy(4) -From the Mutual Respects of Joseon-Heaven to the Rights for Life-Living of Nation Federation-

단군학연구 | 22 | 2010 | 기타역사학

백제 왕흥사의 창건과정과 미륵사

A Process to Establish Weangheungsa Temple[王興寺] and Mireuksa Temple[彌勒寺] in Baekje[百濟]

史叢(사총) | 70 | 2010 | 기타역사일반

백제 왕흥사의 창건과정과 미륵사

A Process to Establish Weangheungsa Temple[王興寺] and Mireuksa Temple[彌勒寺] in Baekje[百濟]

史叢(사총) | | 70 | 2010 | 기타역사일반

백제 왕흥사의 창건과정과 미륵사

A Process to Establish Weangheungsa Temple[王興寺] and Mireuksa Temple[彌勒寺] in Baekje[百濟]

史叢 | 70 | 2010 | 인문학

백제 왕흥사의 창건과정과 미륵사

A Process to Establish Weangheungsa Temple[王興寺] and Mireuksa Temple[彌勒寺] in Baekje[百濟]

史叢 | | 70 | 2010 | 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