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요

연구분야 :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6959

STNet ID : 1002122

한자 : 薯童謠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백제가요 [ 百濟歌謠 ]

R1:개념적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y02-01 문헌명 /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삼국유사 () [ 三國遺事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선화공주 () [ 善花公主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서동 설화 () [ 薯童說話 ]

청소년의 다문화 의식 함양을 위한 『삼국유사』의 창의적 글쓰기와 독서토론 연구-중학교 교과 <서동요> 교육의 미디어 활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A Study about Creative writing and Reading Discussion of Samgukyusa to build up Juvenile Multicultural Consciousness : Focusing on the Media utilizing possibility of Sudongyo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다문화콘텐츠연구 | 11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서동설화의 기록화 양상 연구

The Study On a way in which Seodong Seolwha has been recorded

배달말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동요>에 나타난 민요적 성격

The Characteristic of folk song in

고전문학과 교육 | 22 | 2011 | 인문학

민요계 향가의 구성 방식과 사랑의 표현 —<서동요>와 <헌화가>의 대비

Composition and Expression of the Hyangga of Folk Song Category —Comparison of with

반교어문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민요계 향가의 구성 방식과 사랑의 표현 —<서동요>와 <헌화가>의 대비

Composition and Expression of the Hyangga of Folk Song Category —Comparison of with

반교어문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민요계 향가의 구성 방식과 사랑의 표현 —<서동요>와 <헌화가>의 대비

Composition and Expression of the Hyangga of Folk Song Category —Comparison of with

반교어문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민요계 향가의 구성 방식과 사랑의 표현 —<서동요>와 <헌화가>의 대비

Composition and Expression of the Hyangga of Folk Song Category —Comparison of with

반교어문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