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통

연구분야 : A030303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413

한자 : 道統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도통진경 [ 道通眞境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도(道) () [ 道 ]

RT (관련어)

 

 

요순 [ 堯舜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왕통 [ 王統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공자 () [ 孔子 ]

RT (관련어)

 

 

문왕 [ 文王 ]

RT (관련어)

 

 

학통 [ 學統 ]

RT (관련어)

 

a01-05-03 인간(성향) 인간(성향)

사문난적 [ 斯文亂賊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정 [ 二程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맹자 () [ 孟子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주공 [ 周公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무왕 (600-641) [ 武王 ]

대순진리회의 종교교육

The Religious Education of Daesoonjinrihoe

종교연구 | 62 | 2011 | 종교학

도학의 형성, 점필재 김종직과 그의 문생들의 도학사상

The Formation of Dohak (Tao Learning) in the Early Chŏsun Dynasty : Kim Jong-jik and His students’s Dohak

한국학논집 | 45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문묘 향사 위차의 특징과 그 교육적 시사 -명 · 청 시기 중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朝鮮時代文廟享祀位次的特徵及其敎育的啓示 -以與明淸時期比較爲中心-

한국교육사학 | 34 | 3 | 2012 | 교육학

北宋 六賢과 조선후기의 聖賢故事帖

Northen Sung Six Confucian Scholar and The Album of Sage as Historical Figures

동양고전연구 | 47 | 2012 | 기타인문학

주희 인심도심론의 심성론적 함의-인심도심은 이발인가?-

朱子人心道心說在心性論上的涵義-以人心道心與未發已發範疇的相互關係爲中心-

철학연구 | 46 | 2012 | 철학

조선후기 邵雍故事圖의 유형과 표상

Genres and Representations in ShaoYungGoSaDo(Narrative painting of Shao Yung as a historical figure) during Late Joseon Dynasty

석당논총 | 49 | 2011 | 기타인문학

漢唐 經學史에서 본 孟子學 硏究

A study on the Mencius studies of the Han-Tang Confucian classics history

동방학 | 23 | 2012 | 기타인문학

대순사상의 도통관에 있어서 실천수행의 문제

A Study on The Way of Personal Practice in Terms of Dae-soon Thought’s Theory of Doe-Tong

종교교육학연구 | 39 | 2012 | 종교학

대순진리회의 생사관 연구

A Study on the View of Life and Death in Daesoonjinrihoe

신종교연구 | 23 | 23 | 2010 | 종교학

대순진리회의 생사관 연구

A Study on the View of Life and Death in Daesoonjinrihoe

신종교연구 | 23 | 23 | 2010 | 종교학

유교의 이념

Ideas Of Confucianism

동양고전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유교의 이념

Ideas Of Confucianism

동양고전연구 | | 40 | 2010 | 기타인문학

北宋前期、中期儒學的多元發展 -以柳開道統說與孫復尊王論為例-

북송(北宋) 전기(前期)、중기(中期) 유학의 다원화 발전 -유개(柳開)의 도통설과 손복(孫復)의 존왕론 중심-

중국사연구 | 76 | 2012 | 동양사

조선시대 도통(道統) 확립의 계보학: 권력-정치적 시각

Genealogy of the Succession to the Way in Choso ˘n Dynasty: Power Political Perspective

한국정치학회보 | 45 | 4 | 2011 | 정치외교학

道統과 治統, 聖人과 帝王: 宋 ~ 淸中期의 道統論을 통해본 士大夫社會에서의 君主權

The Sovereign Power in the Literati Socie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aotong Discourse from the Song to the Mid Qing Period

역사문화연구 | 40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