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통

연구분야 : A020101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역사이론
A030303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4006

STNet ID : 9001263

한자 : 王統

y01-01 실존인물

시대

수시대 (隨時代)

출생지

중국 (中國)

저작

문중자 (文中子)

직업

사상가 (思想家)

생몰년_t

584 ~ 617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중엄 [ 仲淹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유학자 [ 儒學者 ]

R1:개념적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도통 [ 道統 ]

RT (관련어)

 

 

왕발 [ 王勃 ]

17세기 중반 순천 송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의 조성과 늙은 나인 노예성의 발원 -內人 노예성의 발원문을 통하여 본 17세기 조선의 정치사와 나인의 생애사-

An approach of microhistory: the construction of Buddha statue in Songgwangsa temple and the aged court lady, Ro Yesyung's prayer in the 17th century of Joseon Dynasty

호남학 | 51 | 2012 | 기타인문학

우암 송시열의 의리적 예론

Song Siyeol's righteousness centered arguments on the ritual

율곡학연구 | 22 | 2011 | 기타인문학

19세기 朝鮮 國王國葬에 관한 연구 - 純祖․憲宗․哲宗國葬을 중심으로 -

关于19世纪朝鲜国王国葬的研究 - 以纯祖·宪宗·哲宗国葬为中心 -

한국학논총 | 37 | 2012 | 역사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