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

연구분야 : B101101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한국

클래스 : 바다/강/호수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255

STNet ID : 1000192

한자 : 錦江

x01-05 바다/강/호수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a03-03 자연(광물) 자연(광물)

4대강 [ 四大江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강(江) () [ 江 ]

R1:개념적

hasTributary (합류/통합의 대상)

 

 

수분천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금강 유역 () [ 錦江流域 ]

RT (관련어)

 

x01-02 국가명 국가명

백제 () [ 百濟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물이용 부담금 () [ --利用負擔金 ]

百濟 漢城期의 石室墳 特徵과 性格 考察 ― 최근 발굴된 백제 석실분을 중심으로 ―

The feature and characteristics of Stone chamber tomb in the Bakjae Han Seong period ― Based on the excavation of The Bakjae Stone Chamber Tomb ―

사림 | 37 | 2010 | 역사학

百濟 漢城期의 石室墳 特徵과 性格 考察 ― 최근 발굴된 백제 석실분을 중심으로 ―

The feature and characteristics of Stone chamber tomb in the Bakjae Han Seong period ― Based on the excavation of The Bakjae Stone Chamber Tomb ―

사림 | | 37 | 2010 | 역사학

삼예사원의 챰(vcham)에 대한 고찰

关于桑耶寺羌姆的考察

역사민속학 | 33 | 2010 | 역사학

삼예사원의 챰(vcham)에 대한 고찰

关于桑耶寺羌姆的考察

역사민속학 | | 33 | 2010 | 역사학

[律譜](檀大本)의 위상과 錦江 유역 시조문화의 영향

The Status of 『Yulboe』 and Influence of culture of Sijo in Watershed of Keum-Kang

한국학논집 | 48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