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 유역

연구분야 : B160100 사회과학 > 지리학 > 지리학일반

클래스 : 자연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4801

STNet ID : 1003212

한자 : 錦江流域
영어 : Geum River Basin
기타 : Geum River Area(GRA)

e04-03 자연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x01-05 바다/강/호수명 바다/강/호수명

금강 [ 錦江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유역 () [ 流域 ]

5-6세기 錦江上流 지역의 정치세력과 그 向方

A Political Force in the Upstream Area of the Geum River in the 5th and 6th Century and its Course

대구사학 | 106 | 2012 | 역사학

原三國∼三國時代 금강유역의 주거와 취사시설의 변화로 본 정치적 동향 -기원후 3~5세기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urnace and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in the Proto-Three Kingdoms and Three Kingdoms Periods, Geum River Basin

호서고고학 | 22 | 2010 | 기타고고학

原三國∼三國時代 금강유역의 주거와 취사시설의 변화로 본 정치적 동향 -기원후 3~5세기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urnace and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in the Proto-Three Kingdoms and Three Kingdoms Periods, Geum River Basin

호서고고학 | | 22 | 2010 | 기타고고학

송원리고분군 출토 백제토기 연구

The study of excavated Baekje potteries from Songwon-ri tombs

선사와 고대 | 33 | 2010 | 역사학

송원리고분군 출토 백제토기 연구

The study of excavated Baekje potteries from Songwon-ri tombs

선사와 고대 | | 33 | 2010 | 역사학

原三國期 錦江流域의 住居와 聚落類型 -湖西地域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sidential and Settlement Types in the Geum River Basin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With a focus on the Hoseo region -

역사와 담론 | 63 | 2012 | 역사학

錦江流域百濟土器窯址의 構造와 生産體制에 대한 一硏究

An Examination of Baekje Pottery Kilns from the Geum River Basin

한국고고학보 | | 76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