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方故土意識의推移에관한고찰Ⅰ- 발해멸망~조선후기 -
A Study on Changes of Northern Native Land Awareness Ⅰ -from the Fall of Balhae to the late Joseon period-
고구려발해연구 |
42 |
2012 |
한국고대사
국정 『국사』 교과서(2-6차) 수록 역사 지도의 추이와 경향성
Analysis of 'History maps' inside the National Korean History textbooks (2~6)
역사와 실학 |
41 |
2010 |
기타역사일반
국정 『국사』 교과서(2-6차) 수록 역사 지도의 추이와 경향성
Analysis of 'History maps' inside the National Korean History textbooks (2~6)
역사와 실학 |
|
41 |
2010 |
기타역사일반
기원전 4 ~ 서기 1세기의 고고학자료로 본 흉노와 동아시아 - 흉노학의 정립을 위한 토대구축을 겸하여
Xiongnu in Ancient Culture of East Asia - an Approach to Solve Xiongnu's Chronological and Spacial Paradox with Suggestion of International Xiongnu Studies
중앙아시아연구 |
15 |
2010 |
역사학
기원전 4 ~ 서기 1세기의 고고학자료로 본 흉노와 동아시아 - 흉노학의 정립을 위한 토대구축을 겸하여
Xiongnu in Ancient Culture of East Asia - an Approach to Solve Xiongnu's Chronological and Spacial Paradox with Suggestion of International Xiongnu Studies
중앙아시아연구 |
15 |
|
2010 |
역사학
다뉴뇌문경의 제작기술과 사회 - 일본 교토국립박물관・고려미술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The manufacturing technique and Society of Bronze Mirror with Thunder Design on Their Back
호남고고학보 |
35 |
2010 |
역사학
다뉴뇌문경의 제작기술과 사회 - 일본 교토국립박물관・고려미술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The manufacturing technique and Society of Bronze Mirror with Thunder Design on Their Back
호남고고학보 |
35 |
|
2010 |
역사학
영어권 중국사 개설서에 보이는 한국 관련 지도의 실태 분석
An Examination of Korea-Related Maps Seen in the Survey Books of Chinese History Written in English
동북아역사논총 |
27 |
2010 |
역사학
영어권 중국사 개설서에 보이는 한국 관련 지도의 실태 분석
An Examination of Korea-Related Maps Seen in the Survey Books of Chinese History Written in English
동북아역사논총 |
|
27 |
2010 |
역사학
고조선과 고구려 건국신화의 구조주의적 분석
A Study on the National Birth Myth of Old Choson and Koguryo With the Structural View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三國遺事』와 『潛夫論』의 고조선 인식
The Understandings of the Old Choson in the Samguk yusa and the Qianfu lun
단군학연구 |
22 |
2010 |
기타역사학
『三國遺事』와 『潛夫論』의 고조선 인식
The Understandings of the Old Choson in the Samguk yusa and the Qianfu lun
단군학연구 |
22 |
|
2010 |
기타역사학
식민주의적 고조선사 인식의 비판과 과제
Critical examination about Japanese colonial history of Gojosun and Tasks
한국고대사연구 |
61 |
2011 |
한국고대사
일본 ‘世界史圖錄’에 나타난 古代 韓國史像
Ancient Korean History Written in a illustrated Japanese history book
백제연구 |
54 |
2011 |
역사학
요서지역 출토 상주 청동기와 기자조선 문제
Problems of Shang Zhou Dyansty's Bronzeware and the Kija-Joseon excavated from the Liao-xi Areas
백산학보 |
88 |
2010 |
역사학
요서지역 출토 상주 청동기와 기자조선 문제
Problems of Shang Zhou Dyansty's Bronzeware and the Kija-Joseon excavated from the Liao-xi Areas
백산학보 |
|
88 |
2010 |
역사학
실학자들의 역사지리관과 고조선 한사군 연구
A Study on View of Historical Geography of Sirhak Scholars and Old Chosŏn and Hansagun(Han Chinese Commanderies)
한국고대사연구 |
62 |
2011 |
한국고대사
계보위축변천과정, 왕호신구 토픽 그리고 『환단고기』 신 진위검토방법(2) -환인환국-환웅대인국-삼조선병행 계보-
The Topos called both New and Old Titles of the King and Deflation Interpretation of Dynasty’s Lineages and New Evaluative Method for HwandanGogi. -Successors of (1) Hwanin, (2) Hwanwung Giant, and (3) Gojocheon-
仙道文化 |
10 |
2011 |
기타철학일반
중국학계의 ‘箕子朝鮮’ 연구와 그 비판에 대한 검토
Chinese scholars’ perspective of Kijajoseon(箕子朝鮮) research and about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단군학연구 |
26 |
26 |
2012 |
기타역사학
‘고조선’조와 ‘전조선기’로 본 고조선의 역사적 실체 재인식
New Understanding on Historic Nature of Old Joseon Through ‘Old Joseon Article' and 'Epic of Early Joseon'
단군학연구 |
26 |
26 |
2012 |
기타역사학
한국 고대 전통음식의 형성과 발달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Ancient Korean Traditional Food
단군학연구 |
23 |
2010 |
기타역사학
고조선의 실존문제: 상식적 탐색
The Existence of the Old Choson : An Approach with Common Sense
단군학연구 |
25 |
25 |
2011 |
기타역사학
중국학계의 고조선, 한사군 인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
The Study on China’s Northeast Project in relation to Go-Joseon and Hansa-gun
단군학연구 |
23 |
2010 |
기타역사학
중국학계의 고조선, 한사군 인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
The Study on China’s Northeast Project in relation to Go-Joseon and Hansa-gun
단군학연구 |
23 |
|
2010 |
기타역사학
단군신화에 나타난 웅녀의 역할
The Role of Woong-Nye in the Myth of Dan-Gun
여성과 역사 |
16 |
2012 |
여성사(역사학)
고조선・부여・고구려의 역사적 계승관계 연구
A Study on Historical Inheritance Relationships of Gojoseon, Puyeo, and Goguryo
史叢(사총) |
74 |
2011 |
기타역사일반
고조선 시기 고인돌의 축조 방법 연구(Ⅰ)
Investigation of Constructing Method of Dolmen in the Old Joseon Period(Ⅰ)
단군학연구 |
22 |
2010 |
기타역사학
고조선 시기 고인돌의 축조 방법 연구(Ⅰ)
Investigation of Constructing Method of Dolmen in the Old Joseon Period(Ⅰ)
단군학연구 |
22 |
|
2010 |
기타역사학
古朝鮮의 毛皮貿易과 明刀錢
Fur trade and Knife Money(Mingdao qian, 明刀錢) in Old Chosun
한국고대사연구 |
64 |
2011 |
한국고대사
대릉하∼서북한지역 비파형동검문화의 변동과 고조선의 위치
The Changes of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from Daling river to northwest Korean peninsula areas and the Gojoseon’s Location
한국고대사연구 |
66 |
2012 |
한국고대사
고조선 교육사의 서술 및 인식의 문제
How can we recognize and describe properly the educational history of Gojoseon period?
한국교육사학 |
34 |
1 |
2012 |
교육학
단공십계(丹功十戒)에 나타난 고조선의 신체활동 교육사상
Physical Education Idea of Dangun-Chosun dynasty in Dan-Gong-Sip-Gye
한국체육교육학회지 |
16 |
2 |
2011 |
체육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