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部地域 突帶文土器文化의 展開樣相 -江原嶺西地域을 中心으로-
Development of 'Doldae Mun' Pottery Culture in Jungbu region - Focused on Yeongseo Region of Gwangwon Province -
한국상고사학보 |
75 |
75 |
2012 |
역사학
放射性炭素年代測定法의 原理와 活用(II) –考古學的 活用과 適用事例–
The Principles and Application of Radiocarbon Dating (II) : Archaeological Application and Instances
한국고고학보 |
81 |
2011 |
역사학
시대변천에 따른 주거지 입지환경 변화 연구 - 대전분지의 청동기시대와 원삼국시대를 사례로 -
Study on changes of environment of location of dwelling site based on change of period - Cases of Daejeon Basin in the Bronze Age and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한국지형학회지 |
19 |
2 |
2012 |
지리학
江原 嶺東地域 靑銅器時代 벼農事와 農耕集約化
Prehistoric Rice Cultivation and Agricultural Intensification in the Yeongdong Region, Gwangwon, South Korea
한국고고학보 |
79 |
2011 |
역사학
천안 백석동유적그룹 청동기인들의 지형인식과 주거지 입지선택 - 구릉사면의 미지형과 청동기시대 주거지와의 대응관계에 주목하여 -
Selection and Awareness of Landfom for Residential Location of People Who Lived in Cheonan Baekseokdong Relic Group in the Bronze Age - Focus on Correspondence Relationships between Micro-Landforms of the Hillslope and Bronze Age s Dwelling Site-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0 |
4 |
2010 |
기타지리학
천안 백석동유적그룹 청동기인들의 지형인식과 주거지 입지선택 - 구릉사면의 미지형과 청동기시대 주거지와의 대응관계에 주목하여 -
Selection and Awareness of Landfom for Residential Location of People Who Lived in Cheonan Baekseokdong Relic Group in the Bronze Age - Focus on Correspondence Relationships between Micro-Landforms of the Hillslope and Bronze Age s Dwelling Site-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0 |
4 |
2010 |
기타지리학
동북아시아적 관점에서 본 북한 청동기시대의 형성과 전개
Reexamination of bronze Age in North Korea in the context of Coarse plain pottery cultural area in North-eastern Asia
동북아역사논총 |
33 |
2011 |
역사학
중부지역 신석기∼청동기시대 취락의 공간 구조와 그 의미
Settlement Structure and its Significance in the Central Region during the Neolithic to Bronze Age
고고학 |
11 |
2 |
2012 |
역사학
가야의 미술과 정신세계 - 암각화 -
Gaya Art and Spiritual World: Origin of Petroglyph in Goryeong and Its Changes
영남학 |
46 |
2010 |
유교학
가야의 미술과 정신세계 - 암각화 -
Gaya Art and Spiritual World: Origin of Petroglyph in Goryeong and Its Changes
영남학 |
|
46 |
2010 |
유교학
청동기시대 조기 설정과 송국리유형 형성 논쟁에 대한 비판적 검토-2000년대 이후 경기지역 발굴성과를 중심으로-
A critical review of creation of Early bronze age and formation argument of Songgukri assemblage
고고학 |
9 |
2 |
2010 |
역사학
청동기시대 조기 설정과 송국리유형 형성 논쟁에 대한 비판적 검토-2000년대 이후 경기지역 발굴성과를 중심으로-
A critical review of creation of Early bronze age and formation argument of Songgukri assemblage
고고학 |
9 |
2 |
2010 |
역사학
GIS 분석과 사면 미지형별 경사도를 이용한 충남 아산지역에 있어서 청동기시대 주거지 입지의 최적 지형환경
Optimum Geomorphological Environment of Location of Dwelling Site in Bronze Age in Asan Area Using GIS Analysis -Paying Attention to the Gradient of Each of Micro-Landforms of Hillslope -
한국지형학회지 |
18 |
2 |
2011 |
지리학
충남 천안 백석동 청동기 시대 주거지 밀집 구역의 지형 환경
Geomorphological Environments of High-density Residential Zone in Baekseokdong, Cheonan, Chungnam in the Bronze Age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7 |
3 |
2011 |
지리학
어망추로 본 청동기시대 어로 양상 -포항지역 출토품을 중심으로-
Bronze Age Fishing Practices as Observed from Fishing Net Weights -Focusing on Material from the Pohang Area -
야외고고학 |
14 |
2012 |
고고학
천안 백석동 청동기시대 취락의 편년과 구조
The Chronology and Structure of the Bronze Age Settlement of Baekseok-dong
야외고고학 |
10 |
2011 |
고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