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기

연구분야 : A020000 인문학 > 역사학

클래스 : 도구/수단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833

STNet ID : 1000885

한자 : 靑銅器
영어 : Bronze

a04-06 도구/수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청동기 시대 () [ 靑銅器時代 ]

N1:종류

hasKind (종류)

 

a04-02 재료/부품 재료/부품

중국 동북 지방 초기 청동기 [ 中國東北地方初期靑銅器 ]

R1:개념적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청동기 문화 [ 靑銅器文化 ]

RT (관련어)

 

x02-01 시대 시대

청동기 시대 () [ 靑銅器時代 ]

韓國 先史時代 女性과 女性性

A Study of Women and Female Identity in Korean Prehistory

한국고고학보 | 78 | 2011 | 역사학

盤龜臺 岩刻畵에 表出된 陸地動物의 再認識 - 動物飼育 問題와 編年의 再檢討 -

A Reinterpretation of Terrestrial Animals Depicted on the Rock Art of Bangu-dae in Conjunction with the Problems of Animal Domestication and Chronology

한국신석기연구 | 23 | 2012 | 역사학

영산강 유역 초기 벼농사의 전개

Intensification of Rice Agriculture in the Yeongsan River Drainage Basin Indicated by Pottery Impression, Pollen, and Carbonized Rice

한국고고학보 | 75 | 2010 | 역사학

영산강 유역 초기 벼농사의 전개

Intensification of Rice Agriculture in the Yeongsan River Drainage Basin Indicated by Pottery Impression, Pollen, and Carbonized Rice

한국고고학보 | | 75 | 2010 | 역사학

요서지역 출토 상주 청동기와 기자조선 문제

Problems of Shang Zhou Dyansty's Bronzeware and the Kija-Joseon excavated from the Liao-xi Areas

백산학보 | 88 | 2010 | 역사학

요서지역 출토 상주 청동기와 기자조선 문제

Problems of Shang Zhou Dyansty's Bronzeware and the Kija-Joseon excavated from the Liao-xi Areas

백산학보 | | 88 | 2010 | 역사학

만경강유역의 점토대토기문화기 목관묘 연구

A Study of Clay-stripe Pottery Culture Period Wooden Coffin Tombs in the Watershed Area of River Mankyung

호남고고학보 | 39 | 2011 | 역사학

商, 西周시대 商 樣式 圖象文字의 추이 ― 『殷周金文集成』 정리를 통한 商族 추이의 추론 ―

商ㆍ西周时代商代样式图象文字的演变

중국고중세사연구 | 24 | 2010 | 역사학

商, 西周시대 商 樣式 圖象文字의 추이 ― 『殷周金文集成』 정리를 통한 商族 추이의 추론 ―

商ㆍ西周时代商代样式图象文字的演变

중국고중세사연구 | | 24 | 2010 | 역사학

中部地域 粘土帶土器文化의 時間性과 空間性

The Cronology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ottery With Clay Strip Culture Originating From Central South Korea

호서고고학 | 24 | 2011 | 기타고고학

동북아시아적 관점에서 본 북한 청동기시대의 형성과 전개

Reexamination of bronze Age in North Korea in the context of Coarse plain pottery cultural area in North-eastern Asia

동북아역사논총 | 33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