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석기 시대

연구분야 : A020600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클래스 : 시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7657

STNet ID : 1002638

한자 : 新石器時代
영어 : Neolithic age
영어 : Neolithic era

x02-01 시대

대상기간_t

약 1만 년 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마제석촉

RT (관련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고인돌 [ 支石墓 ]

RT (관련어)

 

 

간석기 [ 磨製石器 ]

RT (관련어)

지질시대

x02-02 기간 기간

후빙기 [ 後氷期 ]

RT (관련어)

 

a04-02 재료/부품 재료/부품

직물 [ 織物 ]

RT (관련어)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토기 () [ 土器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x02-01 시대 시대

금속기 시대 [ 金屬器時代 ]

precedes (후행(시대,현상))

 

x02-01 시대 시대

청동기 시대 () [ 靑銅器時代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x02-01 시대 시대

구석기 시대 () [ 舊石器時代 ]

선사시대 팥의 이용 및 작물화에 대한 고고학적 검토

Reviewing Domestication of Vigna angularis based on Archaeological Records

한국상고사학보 | 75 | 75 | 2012 | 역사학

중국 신석기시대 채도(彩陶)의 장식 개념과 목적

The concept and purpose of the decoration of the colored porcelains of Chinese Neolithic era

선사와 고대 | 33 | 2010 | 역사학

중국 신석기시대 채도(彩陶)의 장식 개념과 목적

The concept and purpose of the decoration of the colored porcelains of Chinese Neolithic era

선사와 고대 | | 33 | 2010 | 역사학

중부지역 신석기∼청동기시대 취락의 공간 구조와 그 의미

Settlement Structure and its Significance in the Central Region during the Neolithic to Bronze Age

고고학 | 11 | 2 | 2012 | 역사학

1960년대 서울 암사동유적의 조사와 성과 -발굴조사 경위와 내용에 대한 소개를 중심으로-

Excavation and result of Seoul Amsa-dong site in the 1960s

고문화 | 77 | 2011 | 역사학

中國 新石器時代의 顔料

The pigments of Chinese Neolithic age

단군학연구 | 22 | 2010 | 기타역사학

中國 新石器時代의 顔料

The pigments of Chinese Neolithic age

단군학연구 | 22 | | 2010 | 기타역사학

중부 서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유적의 입지 고찰

A Study on the location of Neolithic sites in the midwest costal zone

숭실사학 | 25 | 2010 | 기타역사일반

중부 서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유적의 입지 고찰

A Study on the location of Neolithic sites in the midwest costal zone

숭실사학 | | 25 | 2010 | 기타역사일반

同位元素 分析을 이용한 新石器時代의 食生活과 貝塚 遺蹟의 占有 季節性 硏究

Reconstructing the Neolithic diet and seasonality, Korea, using stable isotopic analysis

동방학 | 21 | 2011 | 기타인문학

동아대박물관 소장 영선동패총 출토유물의 검토 —1930년대 부산고고회 활동을 통해 본 영선동패총—

A Review of Excavated Yeongseon-dong Shell Mounds Possessed by Dong-A University Museum -through this Activity of Busan Archaeology Meeting in 1930-

문물연구 | 22 | 22 | 2012 | 역사학

韓國 新石器時代 무덤의 檢討

A Review of the Neolithic Tombs in Korea

백산학보 | 88 | 2010 | 역사학

韓國 新石器時代 무덤의 檢討

A Review of the Neolithic Tombs in Korea

백산학보 | | 88 | 2010 | 역사학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마제석촉의 연구

A study on the polished stone arrowhead in neolithic of Korea

문물연구 | 17 | 17 | 2010 | 역사학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마제석촉의 연구

A study on the polished stone arrowhead in neolithic of Korea

문물연구 | 17 | 17 | 2010 | 역사학

신석기시대 서해중부지역 상대편년과 취락구조의 특징

Reconsidering Chronological Sequence and Settlement Pattern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during the Neolithic Period

한국상고사학보 | 70 | 70 | 2010 | 역사학

신석기시대 서해중부지역 상대편년과 취락구조의 특징

Reconsidering Chronological Sequence and Settlement Pattern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during the Neolithic Period

한국상고사학보 | 70 | 70 | 2010 | 역사학

제주도 신석기시대 석기 검토

A Study of Stone Tools in the Neolithic Period in Jeju Island

한국신석기연구 | 21 | 2011 | 역사학

신석기시대 남부지역 소형 발형 토기 연구 - 남부지역 전-중기 전환과정 이해를 위한 기초작업-

A study of Small Bowls in Southern Korean Peninsula during the Neolithic Period

한국신석기연구 | 19 | 2010 | 역사학

신석기시대 남부지역 소형 발형 토기 연구 - 남부지역 전-중기 전환과정 이해를 위한 기초작업-

A study of Small Bowls in Southern Korean Peninsula during the Neolithic Period

한국신석기연구 | | 19 | 2010 | 역사학

南部內陸地域 新石器時代 石器의 변천과 양상

Changes and Aspects of Stone Tools of the Southern Inland Areas in New Stone Age

한국신석기연구 | 22 | 2011 | 역사학

신석기시대 야외노지에 대하여 -형식분류를 중심으로

Open-Air Hearths of the Neolithic

고고학 | 10 | 2 | 2011 | 역사학

安城 月井里 新石器時代 住居址의 硏究

A Study of Neolithic Pit House at Woljeong-Ri Site, Anseong City

백산학보 | 93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