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인돌

연구분야 : A020600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클래스 : 건축물(시설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1247

STNet ID : 1001206

한자 : 支石墓
영어 : dolmen

a04-07 건축물(시설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청동기 시대 () [ 靑銅器時代 ]

S:동의

UF (비우선어)

 

 

지석묘 () [ 支石墓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분묘 () [ 墳墓 ]

isKindOf (상위 유형)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무덤 [ 墳墓 ]

isKindOf (상위 유형)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고분 () [ 古墳 ]

N1:종류

hasKind (종류)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남방식 고인돌 [ 云南过-- ]

hasKind (종류)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북방식 고인돌 [ 北方式-- ]

hasKind (종류)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개석식 고인돌 [ 蓋石式--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고창 화순 강화 고인돌 유적 [ 高敞和順江華--遺蹟 ]

RT (관련어)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미송리형 토기 () [ 美松里型土器 ]

RT (관련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옹관묘 () [ 甕棺墓 ]

RT (관련어)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송국리유형 () [ 松菊里類型 ]

RT (관련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적석총 () [ 積石塚 ]

RT (관련어)

 

x02-01 시대 시대

신석기 시대 () [ 新石器時代 ]

RT_X (관련어►)

관련 문화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송국리문화 () [ 松菊里文化 ]

墓域式支石墓의 出現과 社會相 -韓半島南部의 靑銅器時代生計와 墓制의 地域相-

A Study on the Emergence and Social Image of Grave Boundaries-Burial Ground

호서고고학 | 26 | 2012 | 기타고고학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파세마고원의 거석유적

Megalithic Monuments of the Pasema Area in Sumatra, Indonesia

호남고고학보 | 38 | 2011 | 역사학

儀禮, 記念物, 그리고 個人墓의 발전

Ritual, Monument, and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ized Burial

호서고고학 | 26 | 2012 | 기타고고학

인도네시아 숨바섬과 한국 지석묘 사회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Dolmen Society on Sumba Island in Indonesia with the Dolmen Society of the Korean Peninsular

호남고고학보 | 38 | 2011 | 역사학

遼東과 韓半島 靑銅器文化의 變遷과 相互交流

The Interaction of Bronze Culture between The Liaoning Region and Korea Pennisula

한국고대사연구 | 63 | 2011 | 한국고대사

墳墓 築造 社會의 開始

The Beginning of Grave Construction Society

한국고고학보 | 80 | 2011 | 역사학

한국 동심원암각화의 상징-물과 관련하여

The Symbols of Korean Concentric Circle Petroglyphs in Relation to Water

동아시아고대학 | 26 | 2011 | 기타인문학

巨石記念物과 社會政治的 發達에 대한 고고학적 이해 -남한지역 지석묘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이론화를 위하여-

Archaeological Understanding on Megalithic Monuments and Sociopolitical Development: Modeling Social Roles of Dolmens in South Korea

한국상고사학보 | 75 | 75 | 2012 | 역사학

東洲河 流域~蘇子河 下流域의 支石墓와 梁貊

Dolmen and the Liangmo(梁貊) of the Dongzhouhe(東洲河) river area and lower reaches of the Suzihe(蘇子河) river area

동아시아고대학 | 28 | 2012 | 기타인문학

靑銅器文明周邊集團의 墓制와 君長社會 -遼東과 吉林地域의 支石墓와 社會

Burial Practices and Chiefdom Societies of Bronze Age Peripheral Groups: Dolmen and Societies of the Liaodong and Jilin Areas

호서고고학 | 26 | 2012 | 기타고고학

대동강 유역의 고인돌 연구

A Study of Dolmen at the Daedong River Basin

단군학연구 | 25 | 25 | 2011 | 기타역사학

韓國 靑銅器時代 前期 墓制의 樣相

A Study on the Bronze Early Age Tombs in the Korea

문화사학 | 35 | 2011 | 문화사(역사학)

湖西地域支石墓의시·공간적특징

The Temporality and Spatiality of the Hoseo Region Dolmens

한국고고학보 | 74 | 2010 | 역사학

湖西地域支石墓의시·공간적특징

The Temporality and Spatiality of the Hoseo Region Dolmens

한국고고학보 | | 74 | 2010 | 역사학

문화재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대한 연구 - 세계유산 고인돌 유적지 편의시설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Guideline of Public Design for Cultural Assets - Centering on Cases of Public Equipment Design for Dolmen Sites of World Heritage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3 | 2010 | 디자인

문화재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대한 연구 - 세계유산 고인돌 유적지 편의시설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Guideline of Public Design for Cultural Assets - Centering on Cases of Public Equipment Design for Dolmen Sites of World Heritage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6 | 3 | 2010 | 디자인

京畿地域 고인돌의 現況과 特徵

Fact and Figures and Characteristics of Dolmen in Gyeonggi Province

단군학연구 | 23 | 2010 | 기타역사학

京畿地域 고인돌의 現況과 特徵

Fact and Figures and Characteristics of Dolmen in Gyeonggi Province

단군학연구 | 23 | | 2010 | 기타역사학

섬진강유역 지석묘의 전개과정

Dolmens developed in the Seomjin river

한국상고사학보 | 75 | 75 | 2012 | 역사학

遼東 南部 地域 支石墓의 무덤 배치 유형 분류와 조성 맥락

Classification of distribution patterns and context of creation of the dolmen sites of the Southern Liaodong area

한국학논총 | 38 | 2012 | 역사이론

중국 동북 지역 지석묘의 상석 채석과 운반

The mining and transport of dolmen capstones of the Chinese northeast area

고고광장 | 10 | 2012 | 기타고고학

인도네시아 숨바섬의 고인돌

Sumba Island Dolmen of Indonesia

백산학보 | 87 | 2010 | 역사학

인도네시아 숨바섬의 고인돌

Sumba Island Dolmen of Indonesia

백산학보 | | 87 | 2010 | 역사학

湖西地域지석묘의 사회경제적 기능

Socioeconomic Function of Hoseo Dolmens

한국상고사학보 | 68 | 68 | 2010 | 역사학

湖西地域지석묘의 사회경제적 기능

Socioeconomic Function of Hoseo Dolmens

한국상고사학보 | 68 | 68 | 2010 | 역사학

지석묘의 입지특성과 축조방식에 대한 지형학적 고찰 - 효산리·대신리를 중심으로 -

A Geomorphological Study on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Construction Method of Dolmens in Hyosanri·Daesinri

한국지형학회지 | 19 | 3 | 2012 | 지리학

고인돌의 葬制에 대한 연구(Ⅱ) -무덤방의 구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urial method of dolmen(Ⅱ)

단군학연구 | 23 | 2010 | 기타역사학

고인돌의 葬制에 대한 연구(Ⅱ) -무덤방의 구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urial method of dolmen(Ⅱ)

단군학연구 | 23 | | 2010 | 기타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