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

연구분야 : A020600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클래스 : 건축물(시설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851

STNet ID : 1001114

한자 : 古墳
영어 : tomb
영어 : ancient tomb
영어 : ancient tombs

a04-07 건축물(시설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신석기 시대 () [ 新石器時代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분묘 () [ 墳墓 ]

N1:종류

hasKind (종류)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고인돌 [ 支石墓 ]

hasKind (종류)

 

 

고총 고분 () [ 高塚古墳 ]

R1:개념적

RT (관련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고분 벽화 () [ 古墳壁畵 ]

RT (관련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분구묘 () [ 墳丘墓 ]

RT (관련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고총 () [ 古塚 ]

RT (관련어)

 

 

도굴 [ 盜掘 ]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돌식

hasMethod (방법/기법)

 

 

구덩식

N3:사례

hasInstance (사례)

 

X01 지명 지명

마왕퇴 한묘 [ 馬王堆漢墓 ]

hasInstance (사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황남대총 [ 皇南大塚 ]

hasInstance (사례)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기토라고분 () [ 北浦古墳 ]

hasInstance (사례)

 

 

장군총 () [ 將軍塚 ]

CLT:참조용어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무덤 ()

전남동부지역 고분 출토 토기에 대한 검토 - 광양 용강리 유적을 중심으로-

A study on pottery excavated from tombs in east side of Jeollanam-do province - Investigation on remains from Yonggang-ri in Gwangyang -

호남고고학보 | 34 | 2010 | 역사학

전남동부지역 고분 출토 토기에 대한 검토 - 광양 용강리 유적을 중심으로-

A study on pottery excavated from tombs in east side of Jeollanam-do province - Investigation on remains from Yonggang-ri in Gwangyang -

호남고고학보 | 34 | | 2010 | 역사학

고대 창녕지역집단의 고고학적 논의

Archeological Discussion of Ancient Changnyeong Regional Group

군사연구 | 133 | 2012 | 역사학

高句麗人의 死後觀念과 그 表現 -高句麗 古墳壁畵를 중심으로-

The perception of the afterlife and its iconography through the Mural Paintings of Koguryo

韓國史學報 | 48 | 2012 | 역사학

몽골에서 최근 발굴된 돌궐시대 벽화고분의 소개

Newly Excavated Mural Tomb at Shoroon Bumbagar in Mongolia

고구려발해연구 | 43 | 2012 | 한국고대사

墓制를 통해 본 漢城期 百濟의 地域相-龍院里遺蹟圈을 中心으로-

A study on Local identity of Baekje in Hanseong Period - centering on the remains of Yongwon-ri -

백제연구 | 55 | 2012 | 역사학

中國古墳繪畵의 淵源硏究-戰國時代∼漢代楚文化를 중심으로-

The Beginning of Funerary Paintings in Chinese Tombs

고구려발해연구 | 40 | 2011 | 한국고대사

발해 석실분의 형식과 구조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type and structure of Balhae’s stone chamber tomb

고구려발해연구 | 39 | 2011 | 한국고대사

新羅 加耶古墳의 曆年代

The absolute date of Shilla Gaya Tombs

한국상고사학보 | 69 | 69 | 2010 | 역사학

新羅 加耶古墳의 曆年代

The absolute date of Shilla Gaya Tombs

한국상고사학보 | 69 | 69 | 2010 | 역사학

加耶·新羅古墳의 年代觀

The chronological standpoint of Gaya·Silla tombs

고고광장 | 9 | 2011 | 기타고고학

고구려 벽화의 장식 문양과 錦帳의 표현

Pictorial Representation and Function of Embroidery Curtains in Koguryo Murals

고구려발해연구 | 43 | 2012 | 한국고대사

4~6세기 북한강 유역 고분의 특징과 축조배경 고찰

Consideration about features and construction supports of ancient tombs around North Han River in 4~6 century

고구려발해연구 | 37 | | 2010 | 한국고대사

최근 한강 이남에서 발견된 고구려계 고분

A Study on the Newly Discovered Koguryo-style Tombs in the South Region of the Han River

고구려발해연구 | 36 | 2010 | 한국고대사

최근 한강 이남에서 발견된 고구려계 고분

A Study on the Newly Discovered Koguryo-style Tombs in the South Region of the Han River

고구려발해연구 | 36 | | 2010 | 한국고대사

백제 관련 연대결정자료와 연대관

The Chronological Data and Perspective from Paekche Region

호서고고학 | 22 | 2010 | 기타고고학

백제 관련 연대결정자료와 연대관

The Chronological Data and Perspective from Paekche Region

호서고고학 | | 22 | 2010 | 기타고고학

帶金具 副葬 高句麗 古墳의 考古學的 含意

The Archaeologⅰcal meanⅰng of the metal belt burⅰed ⅰn Koguryo Tombs

한국고대사연구 | 59 | 2010 | 한국고대사

帶金具 副葬 高句麗 古墳의 考古學的 含意

The Archaeologⅰcal meanⅰng of the metal belt burⅰed ⅰn Koguryo Tombs

한국고대사연구 | | 59 | 2010 | 한국고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