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구묘

연구분야 : A020600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클래스 : 건축물(시설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064

STNet ID : 1003680

한자 : 墳丘墓
기타 : Bungumyo
영어 : Mounded tomb

a04-07 건축물(시설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즙석분구묘 () [ 葺石墳丘墓 ]

R1:개념적

RT (관련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고분 () [ 古墳 ]

RT (관련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옹관묘 () [ 甕棺墓 ]

RT (관련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석실분 () [ 石室墳 ]

RT (관련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토광묘 () [ 土壙墓 ]

RT (관련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석곽묘 () [ 石槨墓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나주 신촌리 9호분

考古學資料를 통한 百濟 泗沘遷都의 再認識

A New Perception about Baekje's Transfer of the Capital to Sabi.

백제문화 | 2 | 43 | 2010 | 한국고대사

考古學資料를 통한 百濟 泗沘遷都의 再認識

A New Perception about Baekje's Transfer of the Capital to Sabi.

백제문화 | 2 | 43 | 2010 | 한국고대사

영산강유역 호형토기의 조업과 훼기 연구 - 광주 평동유적 분구묘 출토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oduction and Destruction of Jar Vessel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 Focusing on the jar vessels discovered in the mounded tombs of the Pyeongdong site in Gwangju-

야외고고학 | 14 | 2012 | 고고학

중서부지역 마한계 분묘의 인식과 시공간적 전개과정

The cognition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Mahan tombs in Korea's mid–western region

한국상고사학보 | 71 | 71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