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실분

연구분야 : A020600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클래스 : 건축물(시설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938

STNet ID : 1005001

한자 : 石室墳
동의어(UF) : 돌방무덤(--房--)
동의어(UF) : 석실묘(石室墓)
영어 : stone chamber tomb

a04-07 건축물(시설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Type (개념범주type)

 

 

무덤 ()

N1:종류

hasKind (종류)

 

 

여러방무덤 () [ --房-- ]

hasKind (종류)

 

 

외방무덤 () [ --房--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중국계 봉토분

RT (관련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분구묘 () [ 墳丘墓 ]

R5:물리적

hasForm (형태/외형)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안악3호분 [ 安岳三號墳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석실봉토분 [ 石室封土墳 ]

考古學資料를 통한 百濟 泗沘遷都의 再認識

A New Perception about Baekje's Transfer of the Capital to Sabi.

백제문화 | 2 | 43 | 2010 | 한국고대사

考古學資料를 통한 百濟 泗沘遷都의 再認識

A New Perception about Baekje's Transfer of the Capital to Sabi.

백제문화 | 2 | 43 | 2010 | 한국고대사

백제 벽화고분의 조영과 문화 계통

A study on the mural painting tomb of Baekje

한국고대사연구 | 61 | 2011 | 한국고대사

4~6세기 북한강 유역 고분의 특징과 축조배경 고찰

Consideration about features and construction supports of ancient tombs around North Han River in 4~6 century

고구려발해연구 | 37 | | 2010 | 한국고대사

발해 석실분의 형식과 구조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type and structure of Balhae’s stone chamber tomb

고구려발해연구 | 39 | 2011 | 한국고대사

百濟 漢城期의 石室墳 特徵과 性格 考察 ― 최근 발굴된 백제 석실분을 중심으로 ―

The feature and characteristics of Stone chamber tomb in the Bakjae Han Seong period ― Based on the excavation of The Bakjae Stone Chamber Tomb ―

사림 | 37 | 2010 | 역사학

百濟 漢城期의 石室墳 特徵과 性格 考察 ― 최근 발굴된 백제 석실분을 중심으로 ―

The feature and characteristics of Stone chamber tomb in the Bakjae Han Seong period ― Based on the excavation of The Bakjae Stone Chamber Tomb ―

사림 | | 37 | 2010 | 역사학

신라 석실분 수용의 사회⋅문화적 배경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for Accepting the Stone Chamber Tomb in Silla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라 석실분 수용의 사회⋅문화적 배경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for Accepting the Stone Chamber Tomb in Silla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