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악3호분

연구분야 : A020604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 한국고대고고학
A020609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 문화재학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948

STNet ID : 1005008

한자 : 安岳三號墳

Y04 기념물명(문화재)

유형/장르

벽화 고분 (壁畵古墳)

제작시대

삼국시대 (三國時代)

소재지

유순리 (兪順里)

지정호수_t

북한 국보 제23호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하무덤

UF (비우선어)

 

 

동수묘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풍속화 () [ 風俗畵 ]

R5:물리적

isFormOf (형태/외형의 대상개념)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석실분 () [ 石室墳 ]

고구려 고분벽화에 대한 도상학적 해석과 동아시아적 성찰 (門田誠一, 2011, 『高句麗壁畵古墳と東アジア』, 思文閣出版)

An iconological interpretation of and An East Asian Introspection on Koguryeo Mural Painting

한국사연구 | 154 | 2011 | 역사학

冬壽의 出自로 본 高句麗의 낙랑군지배

Goguryeo's Nakranggun(樂浪郡) Governance through the Analysis on Dong-su(冬壽)'s Background

백산학보 | 88 | 2010 | 역사학

冬壽의 出自로 본 高句麗의 낙랑군지배

Goguryeo's Nakranggun(樂浪郡) Governance through the Analysis on Dong-su(冬壽)'s Background

백산학보 | | 88 | 2010 | 역사학

高句麗 壁畵古墳의 銘文과 被葬者에 관한 諸問題

Study on the inscriptions and the buried of Koguryo mural tomb

고구려발해연구 | 36 | 2010 | 한국고대사

高句麗 壁畵古墳의 銘文과 被葬者에 관한 諸問題

Study on the inscriptions and the buried of Koguryo mural tomb

고구려발해연구 | 36 | | 2010 | 한국고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