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묘

연구분야 : A020100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클래스 : 인위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587

STNet ID : 1000430

한자 : 墳墓

e04-01 인위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뫼 (무덤)

UF (비우선어)

 

 

구총 [ 丘冢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제사 재산 [ 祭祀財産 ]

N1:종류

hasKind (종류)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고분 () [ 古墳 ]

hasKind (종류)

 

 

방형분 [ 方形墳 ]

hasKind (종류)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고인돌 [ 支石墓 ]

hasKind (종류)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주구석관묘 [ 周溝石棺墓 ]

hasKind (종류)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능(陵) () [ 陵 ]

hasKind (종류)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전방후원분 [ 前方後圓墳 ]

hasKind (종류)

 

 

원(園) (묘지) [ 園 ]

hasKind (종류)

 

 

무연고 분묘 [ 無緣故墳墓 ]

hasKind (종류)

 

A04 인공물 인공물

선영 [ 先塋 ]

R1:개념적

RT (관련어)

 

 

성묘(산소) [ 省墓 ]

RT (관련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묘지명 () [ 墓誌銘 ]

RT (관련어)

 

 

봉심 [ 奉審 ]

RT (관련어)

 

 

봉분 [ 封墳 ]

RT (관련어)

 

a04-02 재료/부품 재료/부품

묘갈 [ 墓碣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면례 [ 緬禮 ]

RT (관련어)

 

 

파토 [ 破土 ]

RT (관련어)

 

 

송추 [ 松楸 ]

RT (관련어)

 

a01-06 인간(직업/지위/역할) 인간(직업/지위/역할)

산지기 [ 山--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장례풍속 [ 葬禮風俗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장례문화 [ 葬禮文化 ]

RT (관련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묘지 () [ 墓地 ]

R2:기능적

isManagedBy (관리 주체)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제사 주재자 [ 祭祀主宰者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고구려 고분 () [ 高句麗古墳 ]

중부지역 신석기∼청동기시대 취락의 공간 구조와 그 의미

Settlement Structure and its Significance in the Central Region during the Neolithic to Bronze Age

고고학 | 11 | 2 | 2012 | 역사학

宋․遼․金․元 수저(匙箸) 編年硏究 - 어미형숟가락의 출현 -

A study on the Chronology of chinese(Song~Yuan) Spoons - tenancy Fishtail-edge spoon -

문물연구 | 17 | 17 | 2010 | 역사학

宋․遼․金․元 수저(匙箸) 編年硏究 - 어미형숟가락의 출현 -

A study on the Chronology of chinese(Song~Yuan) Spoons - tenancy Fishtail-edge spoon -

문물연구 | 17 | 17 | 2010 | 역사학

『장사 등에 관한 법률』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Study on the 『Law of Funeral』

지적과 국토정보 | 41 | 2 | 2011 |

분묘기지권의 존속기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rms of the Site Right of Graveyards

토지법학 | 27 | 1 | 2011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