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지명

연구분야 : A020106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문화사(역사학)
B110300 사회과학 > 인류학 > 상징과의례
A110202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산문

클래스 : 교재/재료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241

STNet ID : 1000341

한자 : 墓誌銘

a04-03 교재·자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광기 (기록) [ 壙記 ]

UF (비우선어)

 

 

묘명 [ 墓銘 ]

UF (비우선어)

 

 

묘지문

R1:개념적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분묘 () [ 墳墓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장례풍속 [ 葬禮風俗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장례문화 [ 葬禮文化 ]

RT (관련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신도비 [ 神道碑 ]

RT (관련어)

 

a04-02 재료/부품 재료/부품

묘표 [ 墓表 ]

RT (관련어)

 

A04 인공물 인공물

비문 [ 碑文 ]

RT (관련어)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명당 [ 明堂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실인 한양 조씨 묘지문 [ 室人漢陽趙氏墓誌文 ]

hasInstance (사례)

 

 

명성왕후 묘지문 [ 明聖王后誌文 ]

hasInstance (사례)

 

 

유인여산송씨 묘지명 () [ 孺人礪山宋氏墓誌銘 ]

hasInstance (사례)

 

 

망실심부인 묘지명 () [ 亡室沈夫人墓誌銘 ]

고구려 고분벽화에 대한 도상학적 해석과 동아시아적 성찰 (門田誠一, 2011, 『高句麗壁畵古墳と東アジア』, 思文閣出版)

An iconological interpretation of and An East Asian Introspection on Koguryeo Mural Painting

한국사연구 | 154 | 2011 | 역사학

1990년대 이후 고구려 문자자료의 출토현황과 연구동향

Written Koguryo materials newly found since the 1990s, and current studies about them

한국고대사연구 | 57 | 2010 | 한국고대사

1990년대 이후 고구려 문자자료의 출토현황과 연구동향

Written Koguryo materials newly found since the 1990s, and current studies about them

한국고대사연구 | | 57 | 2010 | 한국고대사

고려시대 아미타내영도와 임종의례의 관련성 시론

The Relationship between“ Descent of Amitabha”and Deathbed Rituals of the Goryeo Dynasty

미술자료 | 80 | 2011 | 미술사

大覺國師 義天 ‘傳記’의 유형별 기재방식과 특징

The Record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iography of Uicheon the Daegakguksa

韓國史學報 | 48 | 2012 | 역사학

金昌協의 비판을 통해 본 王世貞 散文의 진면목 - 商販 碑誌文을 중심으로

The truth of Wang Shi Zhen's prose through analyzing Kim, Chang-hyup's remark

한국한문학연구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金昌協의 비판을 통해 본 王世貞 散文의 진면목 - 商販 碑誌文을 중심으로

The truth of Wang Shi Zhen's prose through analyzing Kim, Chang-hyup's remark

한국한문학연구 |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원 간섭기 金就礪像의 형성과 當代史 연구

Studies on the Formation of Gim Chwi-ryeo(金就礪)'s historical image in the early 14th century of Goryeo dynasty

한국사상사학 | 41 | 2012 | 역사학

조선전기 墓誌銘에 나타난 宗親職制 운영

A Study on the Operation Practice of the Official Tittle for Royal Relatives found on Epitaphs in 16th Joseon

서울과 역사 | 79 | 2011 | 역사학

燕巖 朴趾源의 「伯姊贈貞夫人朴氏墓誌銘」 연구 -개작 과정과 글쓰기 방식을 중심으로-

A Study of Yeounarm Jiwon Park's The Epitaph of the Grave of Mrs Park, the Noble Lady and Eldest Sister

漢文學報 | 22 | 2010 | 한문학

燕巖 朴趾源의 「伯姊贈貞夫人朴氏墓誌銘」 연구 -개작 과정과 글쓰기 방식을 중심으로-

A Study of Yeounarm Jiwon Park's The Epitaph of the Grave of Mrs Park, the Noble Lady and Eldest Sister

漢文學報 | 22 | | 2010 | 한문학

묘지명과 열전을 통해서 본 문학성과 역사성의 상호관련 양상 연구 -이자겸 난과 관련된 인물을 중심으로-

Study on comparison between literary characteristic and historicity viewed in Bimyung and Series Biographies -Focus on people related to Yi ja jum war-

동방한문학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墓誌所見唐人的“及第”與“釋褐”

묘지명에서 보이는 당인(唐人)의 “급제(及第)”와 “석갈(釋褐)”

중국사연구 | 76 | 2012 | 동양사

묘지명을 통해 본 고려시대 여인

Koryo Women Shown in Epitaphs

역사학연구 | 38 | 2010 | 역사학

묘지명을 통해 본 고려시대 여인

Koryo Women Shown in Epitaphs

역사학연구 | | 38 | 2010 | 역사학

墓誌所見唐人的“及第”與“釋褐”

묘지명에서 보이는 당인(唐人)의 “급제(及第)”와 “석갈(釋褐)”

중국사연구 | 76 | 2012 | 동양사

고려시대 미정보화 자료의 현황과 전산화 방안 -묘지명, 일반 금석문을 중심으로-

Goryeo Dynasty Treasures Pending Status and Computerized Methods of Data -Focusing on Epitaph-

한국중세사연구 | 30 | 2011 | 역사학

고려시대 묘지명에 보이는 연대와 호칭 표기방식

Terms on epitaphs in Goryeo Dynasty

韓國史學報 | 48 | 2012 | 역사학

고려후기 묘지명의 창작 방식 - 구성 원리를 통해 본 선택과 집중의 양상 -

Introspection on theories constructing epitaphs

한민족문화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려후기 묘지명의 창작 방식 - 구성 원리를 통해 본 선택과 집중의 양상 -

Introspection on theories constructing epitaphs

한민족문화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려시대 묘지명 제작과 ‘알리고 싶은 열망’

Production of epitaph and ‘aspiration to inform’ in Koryo age

대동문화연구 | 79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