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소설에 나타난 ‘병원’ 공간 연구-‘산부인과’와 ‘정신병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ospital Space’ in the Female Writer’s Novels -Focus on ‘obstetrics and gynecology’ and ‘mental hospital’-
한국문화연구 |
18 |
2010 |
기타인문학
여성 소설에 나타난 ‘병원’ 공간 연구-‘산부인과’와 ‘정신병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ospital Space’ in the Female Writer’s Novels -Focus on ‘obstetrics and gynecology’ and ‘mental hospital’-
한국문화연구 |
18 |
|
2010 |
기타인문학
1920년대 소설의 인물 형상과 하층민 여성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subaltern in 1920's Novel
한국문예비평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소설의 인물 형상과 하층민 여성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subaltern in 1920's Novel
한국문예비평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라캉의 정신병 이론과 그 사회철학적, 윤리적 의미
A Study on the Lacanian Theory of the Psychosis and its social and ethical meaning
사회와 철학 |
20 |
2010 |
철학일반
라캉의 정신병 이론과 그 사회철학적, 윤리적 의미
A Study on the Lacanian Theory of the Psychosis and its social and ethical meaning
사회와 철학 |
|
20 |
2010 |
철학일반
계시의 수사와 정치학—긴즈버그의「울부짖음」과 「캐디쉬」를 중심으로
The Rhetoric of Revelation and the Politics of Prophecy: A Reading of Ginsberg’s “Howl” and “Kaddish”
영어영문학 |
57 |
4 |
2011 |
영어와문학
니체의‘디오니소스적인 것’과 한국무용
Exploration on Korean dance through Nietzsche's 'The Dionysian'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9 |
2 |
2011 |
체육
푸코와 ‘바깥(le dehors)’의 사유
Foucault et la pensée du dehors
인문학논총 |
15 |
3 |
2010 |
기타인문학
푸코와 ‘바깥(le dehors)’의 사유
Foucault et la pensée du dehors
인문학논총 |
15 |
3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 근현대소설에 나타난 병리성과 문학적 함의에 관한 연구 ―이상 소설에 나타난 은유로서의 질병모티프와 글쓰기 방략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thology of Korean Modern Novels and Literary Complication
영주어문 |
20 |
2010 |
기타국문학
한국 근현대소설에 나타난 병리성과 문학적 함의에 관한 연구 ―이상 소설에 나타난 은유로서의 질병모티프와 글쓰기 방략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thology of Korean Modern Novels and Literary Complication
영주어문 |
20 |
|
2010 |
기타국문학
「누런 벽지」의 페놉티콘: 얼굴 없는 응시의 광기
The Panopticon in “The Yellow Wallpaper”: Madness of The Faceless Gaze
영어영문학연구 |
54 |
1 |
2012 |
영어와문학
자살의 광기와 정치적 욕망: 존 던의 『자살론』 읽기
Madness of Suicide and Political Desire: John Donne’s Biathanatos
중세근세영문학 |
22 |
1 |
2012 |
영어와문학
제국주의적 가부장적 남성 주체의 확립과 식민지 아내: 진 리스의 『드넓은 사가소 바다』
The Formation of Imperial and Patriarchal Masculinity and A Colonial Wife in Jean Rhys’s Wide Sargasso Sea
영미문학교육 |
15 |
2 |
2011 |
영어와문학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에게서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존재
Das Sein des Dionysischen bei Sokrates und Platon
철학탐구 |
30 |
2011 |
철학
포도주, 광기 그리고 나쁜 피 —『제인 에어』속 제국주의 다시 읽기
Wine, Madness and Bad Blood: Re-Reading Imperialism in Jane Eyre
영어영문학 |
57 |
2 |
2011 |
영어와문학
카미유와 폴 클로델의 위대한 열정 - 창조성과 광기, 뮤즈 -
Une grande passion de Camille et Paul Claudel - La créativité & l'insanité, et la Muse
프랑스어문교육 |
40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감옥소설에 나타난 폭력적 광기의 양상 연구 「태형」, 「인간동물원초」, 「선생과 황태자」, 『오래된 정원』을 중심으로
Study of insane in violence shown prison fiction -on focusing 「flogging」, 「human being original」, 「teacher and crown prince」, 『The old garden』-
인문학연구 |
20 |
2011 |
기타인문학
곰브로비치의 <트란스-아틀란틱>에 나타난 ‘정상’과 ‘자유’의 개념
Normalcy and Freedom in Witold Gombrowicz's Trans-Atlantyk
슬라브硏究 |
27 |
1 |
2011 |
지역학
«유럽의 물 Une Eau d'Europe»:랭보의 시적 위기와 전개
«Une Eau d'Europe»: La Crise et L'Évolution poétiques de Rimbaud
유럽사회문화 |
1 |
2012 |
기타인문학
데카르트와 광기
Descartes et la folie
철학연구 |
45 |
2012 |
철학
헤라클레스의 광기와 전쟁신경증
Heracles’ Madness and War Neurosis
영어영문학 |
57 |
5 |
2011 |
영어와문학
한국현대 소설에서 바라본 기독교인의 인간성
The Human Nature of the Korean Christian Described in Modern Christian Novels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74 |
2011 |
기독교신학
헤겔 『정신현상학』에서의 ‘이성과 광기’의 문제- 헤겔의 라캉과의 대화 가능성에서 본 하나의 해석 -
A Study on “Reason and Madness” in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 - An Interpretation searching for the possibility of the dialogue between Hegel and Lacan -
철학연구 |
115 |
2010 |
철학
헤겔 『정신현상학』에서의 ‘이성과 광기’의 문제- 헤겔의 라캉과의 대화 가능성에서 본 하나의 해석 -
A Study on “Reason and Madness” in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 - An Interpretation searching for the possibility of the dialogue between Hegel and Lacan -
철학연구 |
115 |
|
2010 |
철학
르네상스 시기 디종 ‘메르 폴(Mère Folle)’의 상징과 담론 —광기(Folie)를 중심으로—
Symbols and Discourse of ‘Mère-Folle’ of Dijon and their Folly in Renaissance
史叢(사총) |
73 |
2011 |
기타역사일반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시선과 광기의 정치학 : 중편 「소문의 벽」을 중심으로
Politics of Attention & Lunacy appeared in Lee Chung-Joon's Novel
인문학연구 |
43 |
2012 |
기타인문학
카미유와 폴 클로델의 천재성과 열정 - 광기에 대처하는 심리적 탄력성
Le génie et la passion de Camille et Paul Claudel - La résilience psychologique face à l'insanité
한국프랑스학논집 |
75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광기의 언어 : 가르쉰의 「붉은 꽃」을 중심으로
Language of Madness
노어노문학 |
22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광기의 언어 : 가르쉰의 「붉은 꽃」을 중심으로
Language of Madness
노어노문학 |
22 |
2 |
2010 |
러시아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