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 문화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1176

STNet ID : 9005364

한자 : 古朝鮮文化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상고 시대 [ 上古時代 ]

hasSubject (주제)

해당 국가

x01-02 국가명 국가명

고조선 () [ 古朝鮮 ]

R1:개념적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단군신화 () [ 檀君神話 ]

RT (관련어)

기반 문화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청동기 문화 [ 靑銅器文化 ]

신시고국 환웅족 문화의 ‘해’ 상징과 천신신앙의 지속성

Symbol of ‘Sun’ and Continuity of Belief in the Heavenly Gods in Culture of Hwanung Tribe in Sinsigoguk

단군학연구 | 23 | 2010 | 기타역사학

신시고국 환웅족 문화의 ‘해’ 상징과 천신신앙의 지속성

Symbol of ‘Sun’ and Continuity of Belief in the Heavenly Gods in Culture of Hwanung Tribe in Sinsigoguk

단군학연구 | 23 | | 2010 | 기타역사학

고조선문화의 지속성과 성립과정의 상생적 다문화주의

The Continuity of Go-josean Culture and Symbiotic Multi-culturalism in its Development Process

단군학연구 | 24 | 24 | 2011 | 기타역사학

고조선 관모양식을 이은 고구려 금관의 출현과 발전 재검토

The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Goguryeo’s Golden Crown Inherited from Go-josean’s Jeolpoong form

단군학연구 | 25 | 25 | 2011 | 기타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