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신화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3923

STNet ID : 1002552

한자 : 檀君神話
영어 : Dangun Myth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2-01 문헌명 문헌명
y02-01 문헌명 /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삼국유사 () [ 三國遺事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창조 신화 [ 創造神話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건국 신화 () [ 建國神話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x01-06 천문(체)명 천문(체)명

북극오성 () [ 北極五星 ]

hasIssue (이슈/주제)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단군 () [ 檀君 ]

hasIssue (이슈/주제)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생명 존중 사상 () [ 生命尊重思想 ]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홍익인간 () [ 弘益人間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민간 의료 () [ 民間醫療 ]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고조선 문화 () [ 古朝鮮文化 ]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선도 문화 () [ 仙道文化 ]

이승휴의 역사관

Yi Syung Hyu' Perspective of History

韓國史學史學報 | 21 | 2010 | 역사학

이승휴의 역사관

Yi Syung Hyu' Perspective of History

韓國史學史學報 | | 21 | 2010 | 역사학

해 속의 삼족오를 통해 본 ‘3’의 의미 고찰 - ‘해 속의 삼족오’와 한국 사상에 반영된 천지인 합일 사상-

The meaning of ‘3’ discussed through the three-legged crow in the sun - With reference to the ideology of the union of heaven, earth and man -

단군학연구 | 25 | 25 | 2011 | 기타역사학

한국 곰 신화에 나타난 자연과 인간의 문제

The problem in the Korea Bear Myth between Nature and Humans

민속학연구 | 29 | 2011 | 역사학

영화 <무산일기>에 나타난 두 가지 시선과 그 서사적 의미

A study on the meaning and two viewpoints in the film

통일인문학 | 52 | 2011 | 기타인문학

교육이념인 ‘弘益人間’의 유교철학적 고찰

Confucianism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f the educational idea, ‘Hongik-ingan(弘益人間)'

동양철학연구 | 70 | 2012 | 철학

고조선・부여・고구려의 역사적 계승관계 연구

A Study on Historical Inheritance Relationships of Gojoseon, Puyeo, and Goguryo

史叢(사총) | 74 | 2011 | 기타역사일반

다문화시대 이물교혼담의 해석과 스토리텔링의 방향

Interpretations of Tales about Marriage between Man and Animal and Directions of Storytelling in the Multicultural Age

우리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다문화시대 이물교혼담의 해석과 스토리텔링의 방향

Interpretations of Tales about Marriage between Man and Animal and Directions of Storytelling in the Multicultural Age

우리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일본 국학과 근대한국 범부 김정설의 국학사상 고찰

日本の國學と近代韓國の凡父金鼎卨の國學思想考察

동아시아불교문화 | 11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한국적 경영의 근원에 대한 종단 연구:그 학문적 정초를 위한 시론(試論)

A Longitudinal Study on the Origin of Korean Management : Essay to Lay the Academic Foundation

인사조직연구 | 18 | 4 | 2010 | 경영학

한국적 경영의 근원에 대한 종단 연구:그 학문적 정초를 위한 시론(試論)

A Longitudinal Study on the Origin of Korean Management : Essay to Lay the Academic Foundation

인사조직연구 | 18 | 4 | 2010 | 경영학

『임진록』의 작가의식과 민족의식 고찰 ― 민족의식의 자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mjinrok’s Authors’ Professionalism and National Consciousness

한국사상과 문화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이을호의 한사상 -현대 한국철학사의 한 풍경-

李乙浩的‘한’(han)思想

孔子學 | 18 | 2010 | 기타유교학

이을호의 한사상 -현대 한국철학사의 한 풍경-

李乙浩的‘한’(han)思想

孔子學 | | 18 | 2010 | 기타유교학

고구려 世界觀念의 확립과정 탐구

Exploring the Establishment of ‘World’ Perception of Koguryo

고구려발해연구 | 41 | 2011 | 한국고대사

한일고대사의 올바른 인식의 중대성

The Significance of Proper Cognition on Korean and Japanese Ancient History

仙道文化 | 10 | 2011 | 기타철학일반

단군신화에 나타난 웅녀의 역할

The Role of Woong-Nye in the Myth of Dan-Gun

여성과 역사 | 16 | 2012 | 여성사(역사학)

<단군신화>에 대한 현대 독자의 수용 양상과 특성

Receptive Aspects of Dangun Myth and Characteristics of Receptions

국어교육학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檀君의 우리 사상으로 굳히기와 효교육문화의 전개

Consolidation of Korean Thought by Dangun and Introduction of Culture of Filial Piety Education

한국사상과 문화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

<단군신화>에 대한 현대 독자의 수용 양상과 특성

Receptive Aspects of Dangun Myth and Characteristics of Receptions

국어교육학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화적 공존을 위한 단군신화의 재해석

Reinterpretation of ‘the Myth of Dangun’ for Cultural Coexistence

글로벌문화콘텐츠 | 8 | 2012 | 기타인문학

야담잡지를 통한 역사소설가로서의 김동인 재조명: 일제강점기 단군 소설화 양상과 관련하여

The reillustration of the Kim Dong-in as a historical novelist through an unofficial historical story: On the feature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period's Dangun novelization

비교문학 | 57 | 2012 | 인문학

檀君神話 小考

Characteristics of Thinking Structure in the Legend of Tan-gun

사림 | 41 | 2012 | 역사학

‘단군신화’의 한국어 교재 수용 양상 고찰 및 수록 기준 모색 : 원전 수용방식을 중심으로

A Review of a Aspect of ‘Dan Goon myth’ in Korean Language Text Book and a Search of a Standard for ‘Dan Goon myth’ in Korean Textbook

한국학 | 33 | 4 | 2010 | 기타인문학

‘단군신화’의 한국어 교재 수용 양상 고찰 및 수록 기준 모색 : 원전 수용방식을 중심으로

A Review of a Aspect of ‘Dan Goon myth’ in Korean Language Text Book and a Search of a Standard for ‘Dan Goon myth’ in Korean Textbook

한국학 | 33 | 4 | 2010 | 기타인문학

한·일 신화의 비교연구 ― 단군 신화와 니니기노미코토 신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 고찰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Japanese Myth ―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Dangun Myth and the Myth of Niniginomigoto(邇邇藝命)

국학연구 | 20 | 2012 | 기타인문학

단군신화를 통한 고려인 정체성 교육

Education in Identity for Koreans through the Myth of Dangun

한국사상과 문화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단군신화를 통한 고려인 정체성 교육

Education in Identity for Koreans through the Myth of Dangun

한국사상과 문화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단군신화’의 한국어 교재 수용 양상 고찰 및 수록 기준 모색 : 원전 수용방식을 중심으로

A Review of a Aspect of ‘Dan Goon myth’ in Korean Language Text Book and a Search of a Standard for ‘Dan Goon myth’ in Korean Textbook

한국학 | 33 | 4 | 2010 | 기타인문학

‘단군신화’의 한국어 교재 수용 양상 고찰 및 수록 기준 모색 : 원전 수용방식을 중심으로

A Review of a Aspect of ‘Dan Goon myth’ in Korean Language Text Book and a Search of a Standard for ‘Dan Goon myth’ in Korean Textbook

한국학 | 33 | 4 | 2010 | 기타인문학

<단군신화(檀君神話)> 영역자(英譯者)의 시각(視角) 일고찰

A Study on the Translator’s Viewpoint of “Myth of Dangun” in English

국제어문 |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