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B020301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한국정치 > 한국정치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048

STNet ID : 9007241

한자 : 檀君
음차어 : Dangun
음차어 : Tangun

y01-01 실존인물

국적

고조선 (古朝鮮)

생몰년_t

?-?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왕검 [ 王儉 ]

UF (비우선어)

 

 

단웅천왕 [ 檀雄天王 ]

UF (비우선어)

 

 

단군 왕검 [ 檀君王儉 ]

UF (비우선어)

 

 

환검 () [ 桓儉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단군신화 () [ 檀君神話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태백일사 [ 太白逸史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단조사고 [ 檀祖事攷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단군교 [ 檀君敎 ]

RT (관련어)

모자

y01-02 가상인물 가상인물

웅녀 [ 熊女 ]

RT (관련어)

부자

y01-02 가상인물 가상인물

환웅 [ 桓雄 ]

R2:기능적

isFounderOf (기관/단체명)

 

x01-02 국가명 국가명

고조선 () [ 古朝鮮 ]

太白山 天祭壇과 摩尼山 塹城壇의 儀禮 비교

Comparative Study on the Rites in Cheonjedan[天祭壇] at the top of Mt. Taebaek and Chamsungdan[塹城壇] at the top of Mt. Mani

동아시아고대학 | 23 | 2010 | 기타인문학

太白山 天祭壇과 摩尼山 塹城壇의 儀禮 비교

Comparative Study on the Rites in Cheonjedan[天祭壇] at the top of Mt. Taebaek and Chamsungdan[塹城壇] at the top of Mt. Mani

동아시아고대학 | | 23 | 2010 | 기타인문학

개천절과 강화도 참성단

The National Foundation Day of Korea and Chamsungdan Altar in Kanghwa Island

동아시아고대학 | 23 | 2010 | 기타인문학

개천절과 강화도 참성단

The National Foundation Day of Korea and Chamsungdan Altar in Kanghwa Island

동아시아고대학 | | 23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선도(韓國仙道)의 지감(止感)ㆍ조식(調息)ㆍ금촉(禁觸)에 관한 小考

A Study Regarding JiGam(止感)ㆍJoShik(調息)ㆍKeumChok(禁觸) in the Korean Sundo(仙道)

仙道文化 | 13 | 2012 | 기타철학일반

한국선도의 기원과 근거 문제

韓國仙道之起源與根據問題

도교문화연구 | 34 | 2011 | 종교학

근대 동아시아 3국의 신화적 국조 인식

The Comparative Studies on Ideas of Mythical State Founders in East Asia

단군학연구 | 23 | 2010 | 기타역사학

근대 동아시아 3국의 신화적 국조 인식

The Comparative Studies on Ideas of Mythical State Founders in East Asia

단군학연구 | 23 | | 2010 | 기타역사학

최남선의 불함문화론

The Study of Bulhammunhwaroneun by Choe, Nam Seon

仙道文化 | 11 | 2011 | 기타철학일반

단군을 배경으로 한 독립운동가 -경상도, 안동 지역을 중심으로-

DANGUN(檀君)-faith in the Background Independence Activist

仙道文化 | 11 | 2011 | 기타철학일반

권덕규의 단군 천부경 연구

權德奎的檀君天符經研究

仙道文化 | 13 | 2012 | 기타철학일반

參佺戒經에 內在한 효사상 연구

A Study on the Thought of Filial Piety in the Chamjeongyegyeong

한국사상과 문화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

식민주의적 고조선사 인식의 비판과 과제

Critical examination about Japanese colonial history of Gojosun and Tasks

한국고대사연구 | 61 | 2011 | 한국고대사

고조선과 고구려 건국신화의 구조주의적 분석

A Study on the National Birth Myth of Old Choson and Koguryo With the Structural View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역사의 거울에 비춰 본 한국인 정체성

Korean Identity Reflected In The Mirror Of History

韓國史學史學報 | 21 | 2010 | 역사학

역사의 거울에 비춰 본 한국인 정체성

Korean Identity Reflected In The Mirror Of History

韓國史學史學報 | | 21 | 2010 | 역사학

일제하 항일운동 배경으로서의 단군의 위상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a Role of Dangun as the Background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仙道文化 | 10 | 2011 | 기타철학일반

조선후기 역사학과 신채호, 그리고 21세기

A Study on Shin Chaeho's Historical Studies- between Late Choson Literati and the Contemporary Historians -

한국학논집 | 43 | 2011 | 기타인문학

『天符經』 수용과 근대 지식인들의 이해

The Acceptance of Cheonbugyeong and Korean intellectual's understanding in modern times

남북문화예술연구 | 9 | 2011 | 기타예술일반

檀紀 年號 成立의 歷史的 背景 -檀君紀年意識을 中心으로-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Tangun-Era Establishment -Centering on ‘DANGUNGINYEONEUISIK(檀君纪年意识)’-

仙道文化 | 12 | 2012 | 기타철학일반

삼일신고의 수행론 : 중국도교와 비교하여

A Study on the thoughts of ( Korean Sundo )『Sam-il-shin-go(三一神誥)』 : About the philosophy of Sung-tong-gong-wan and the method of practice

인문학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단군신화>에 대한 현대 독자의 수용 양상과 특성

Receptive Aspects of Dangun Myth and Characteristics of Receptions

국어교육학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참성단에서 행해진 의례의 유형과 성격

The Types and Characters of Rituals performed at Chamseongdan of Mt. Mani

동아시아고대학 | 23 | 2010 | 기타인문학

참성단에서 행해진 의례의 유형과 성격

The Types and Characters of Rituals performed at Chamseongdan of Mt. Mani

동아시아고대학 | | 23 | 2010 | 기타인문학

참성단에서 행해진 의례의 유형과 성격

The Types and Characters of Rituals performed at Chamseongdan of Mt. Mani

동아시아고대학 | 23 | 2010 | 기타인문학

참성단에서 행해진 의례의 유형과 성격

The Types and Characters of Rituals performed at Chamseongdan of Mt. Mani

동아시아고대학 | | 23 | 2010 | 기타인문학

檀君의 우리 사상으로 굳히기와 효교육문화의 전개

Consolidation of Korean Thought by Dangun and Introduction of Culture of Filial Piety Education

한국사상과 문화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 단군 담론에서 ‘신화’ 개념의 형성과 파생문제

A Study on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Shinhwa(신화) in the modern Korea Society by Analysing ‘Dangun(단군)’ Discourse

단군학연구 | 24 | 24 | 2011 | 기타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