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국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클래스 : 국가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6287

한자 : 倍達國

x01-02 국가명

수도

신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천손문화 [ 天孫文化 ]

S:동의

UF (비우선어)

 

 

배달나라

UF (비우선어)

 

 

단국

UF (비우선어)

 

 

배달

R1:개념적

RT (관련어)

 

a01-04-01 민족/인종/종족 민족/인종/종족

한민족 [ 韓民族 ]

RT (관련어)

 

 

우사

RT (관련어)

 

 

운사

RT (관련어)

 

 

풍백

RT (관련어)

 

 

천부인

R2:기능적

hasFounder (설립자)

 

y01-02 가상인물 가상인물

환웅 [ 桓雄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x01-02 국가명 국가명

고조선 () [ 古朝鮮 ]

紅山文化 玉器에 나타난 ‘朝天’ 사상(2) - ‘2氣’ㆍ‘5氣’ㆍ‘9氣’형 옥기를 중심으로 -

The ‘Jochun(朝天)’ idea in jade tools of Hungshan Culture(紅山文化) - focusing on ‘Two Ki(2氣)-shaped’, ‘Five Ki(5氣)-shaped’ and ‘Nine Ki(9氣)-shaped’ jade tools -

백산학보 | 88 | 2010 | 역사학

紅山文化 玉器에 나타난 ‘朝天’ 사상(2) - ‘2氣’ㆍ‘5氣’ㆍ‘9氣’형 옥기를 중심으로 -

The ‘Jochun(朝天)’ idea in jade tools of Hungshan Culture(紅山文化) - focusing on ‘Two Ki(2氣)-shaped’, ‘Five Ki(5氣)-shaped’ and ‘Nine Ki(9氣)-shaped’ jade tools -

백산학보 | | 88 | 2010 | 역사학

紅山文化 玉器에 나타난 ‘朝天’ 사상(1) -‘1氣’ㆍ‘3氣’형 옥기를 중심으로-

The ‘Jochun(朝天)’ Idea in Jade Tools of Hungshan Culture(紅山文化) -focusing on ‘One Ki(1氣)-shaped’ and ‘Three Ki(3氣)-shaped’ Jade Tools-

仙道文化 | 11 | 2011 | 기타철학일반

배달국 말기 ‘天孫文化’의 재정립과 ‘치우천왕’

The Remediation of ‘Chunson Culture(天孫文化)’ and ‘Chiwoo Hanwoong(蚩尤天王)’ in Late Baedalkook(倍達國)

仙道文化 | 9 | 2010 | 기타철학일반

배달국 말기 ‘天孫文化’의 재정립과 ‘치우천왕’

The Remediation of ‘Chunson Culture(天孫文化)’ and ‘Chiwoo Hanwoong(蚩尤天王)’ in Late Baedalkook(倍達國)

仙道文化 | 9 | | 2010 | 기타철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