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삼국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클래스 : 인위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8991

한자 : 候三國

e04-01 인위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신라 하대 (780-935) [ 新羅下代 ]

N2:부분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2 국가명 국가명

신라 () [ 新羅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후고구려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2 국가명 국가명

후백제 () [ 後百濟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b02-05 분해/합체 분해/합체
b02-05 분해/합체 /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후삼국 통일 () [ 後三國統一 ]

『삼국사기』의 삼국인식

Ident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in Samguksagi (三國史記) : An Institution of Time and Space

韓國史學報 | 41 | 2010 | 역사학

『삼국사기』의 삼국인식

Ident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in Samguksagi (三國史記) : An Institution of Time and Space

韓國史學報 | | 41 | 2010 | 역사학

견훤의 군사적 기반

A Study of Gyeon-hwon's Military Basis

신라문화 | 36 | 2010 | 역사학

견훤의 군사적 기반

A Study of Gyeon-hwon's Military Basis

신라문화 | | 36 | 2010 | 역사학

나말여초 사회변동과 후삼국

Social Undergoing and Later Three Kingdoms(後三國) in the Age of the Late Silla(新羅) and the Early Goryeo(高麗)

한국중세사연구 | 29 | 2010 | 역사학

나말여초 사회변동과 후삼국

Social Undergoing and Later Three Kingdoms(後三國) in the Age of the Late Silla(新羅) and the Early Goryeo(高麗)

한국중세사연구 | | 29 | 2010 | 역사학